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태환의 『조선미』에 나타난 공간성 연구 = A Study of Extensity In ‘The beauty of Joseon’ by Tae Hwan L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6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태환의 『조선미』에 나타난 공간의 구조와 양상을 살펴보고 그 공간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조선미』는 1945년 9월에 간행된 시집으로 해방 후 최초로 간행된 시집이...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태환의 『조선미』에 나타난 공간의 구조와 양상을 살펴보고 그 공간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조선미』는 1945년 9월에 간행된 시집으로 해방 후 최초로 간행된 시집이며 자아를 목도함으로써 정신적 사유를 보여주는 시집이다. 해방 후 첫 시집이라는 사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조선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조선미』는 공간의 구성방식을 달리함으로써 공간성을 지니게 된다. 그 공간은 시적 대상과 화자를 구분하는 자연공간과 화자와 공간을 동일화하는 환경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자연공간에서 순수성과 우월성을 부각함으로써 민족성을 내포하며 환경공간은 화자와 공간을 동일시하여 자아완성 내지 자아발현의 공간성을 지니고 있다. 해방 공간의 혼란스러움에서 『조선미 』는 민족과 자아발현이라는 공간성을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미』에 대한 연구의 첫 시작이다. 해방 공간이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조선미』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resented space structure and appearance, also to investigate spatiality of ‘The beauty of the Joseon’ by Tae Hwan Lee. ‘The beauty of Joseon’ which is the first published book of poems on September in 19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resented space structure and appearance, also to investigate spatiality of ‘The beauty of the Joseon’ by Tae Hwan Lee. ‘The beauty of Joseon’ which is the first published book of poems on September in 1945 righ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shows the spiritual thinking through self-witnessing. This book of poems hardly has been studied, even though it ha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first book of poems after the independence. ‘The beauty of the Joseon’ creates unique extensity with using different approaches of space structures. The space structure contains two separate spaces; natural spaces that divide between the poetic speaker and the object, and environmental spaces that synchronizes the speaker and space. The natural spaces in ‘The beauty of the Joseon’ contains the meaning of ethnicity by emphasizing superiority and purity. The environmental space presents self-completion and self-revelation based on synchronizing the view of the speaker and space. ‘The beauty of the Joseon’ realizes the self-revelation and ethnicity during the chaotic state of affairs after the independence. this study is just the first step in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 beauty of Joseon’ An intensive study of the space of liberation in ‘The beauty of the Joseon’ will be noted in further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직, "해방기 한국시문학사" 민음사 1989

      2 장만호,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39) : 346-376, 2011

      3 레이먼드 윌리엄스(Williams, Raymond), "키워드" 민음사 2010

      4 이태환, "조선미" 샘터 2017

      5 김윤정,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7) : 385-412, 2005

      6 박해광, "정보사회와 재현의 정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0) : 242-281, 2004

      7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8 김종호, "박인환 시의 공간구조와 현실 인식" 인문과학연구소 (31) : 73-97, 2011

      9 아르노 빌라니(Villani, Arnaud),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2

      10 오윤정, "김용호 시의 시적 공간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58 (58): 37-66, 2017

      1 김용직, "해방기 한국시문학사" 민음사 1989

      2 장만호, "해방기 시의 공간 표상 방식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39) : 346-376, 2011

      3 레이먼드 윌리엄스(Williams, Raymond), "키워드" 민음사 2010

      4 이태환, "조선미" 샘터 2017

      5 김윤정,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7) : 385-412, 2005

      6 박해광, "정보사회와 재현의 정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0) : 242-281, 2004

      7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8 김종호, "박인환 시의 공간구조와 현실 인식" 인문과학연구소 (31) : 73-97, 2011

      9 아르노 빌라니(Villani, Arnaud),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2

      10 오윤정, "김용호 시의 시적 공간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58 (58): 37-66, 2017

      11 박선영, "김구용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성 연구 ─ 시집 『시(詩)』를 중심으로 ─" 아시아문화연구소 29 : 117-139, 2013

      12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219-221, 1997

      13 강명관, "국문학과 민족 그리고 근대" 소명출판 2007

      14 가스통 바슐라르(Bachelard, Gaston), "공간의 시학" 동문선 51-58, 2003

      15 심재휘, "『청록집』의 공간 상상력" 민족어문학회 (65) : 379-402, 2012

      16 곽효환, "『청록집』에 나타난 이상공간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17 (17): 115-139, 2016

      17 최승호, "『청록집』 시의 풍경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1) : 205-232, 2013

      18 조현일, "‘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 소명출판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