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경관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토대 구축 =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for Local Scen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72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역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지방 홍보를 활성화시키는데 지역 경관을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 본고는 지역경관 중 集景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 개...

      본고는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역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지방 홍보를 활성화시키는데 지역 경관을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이루어졌다. 본고는 지역경관 중 集景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지방 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단골로 오르는 八景이 대표적인 집경인데, 내용다운 내용 없이 단지 사진 몇 장과 간단한 설명을 첨부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이들 집경이 지역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경관이기보다는 근대 이후 지역 홍보를 위해 설정한 이벤트성 경관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일찍부터 유교문화경관 지역으로 평가된 상주지역에서, 오랜 가문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진주정씨 鄭經世 가문의 '愚伏 20景'을 대상으로 집경의 콘텐츠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집경의 選定과 향유가 조선시대 士林들의 보편적인 문화임을 지적하고, 정경세가 우복 20경을 향유하는 방법에서 직접 명승을 찾아 감상하는 搜討와 서실 벽에 시를 써 붙이고 즐기는 臥遊가 현대식으로 적용하면, 디지털화된 경관을 감상하는 방법과 직접 문화현장을 답사하는 방법과 유사함을 지적하였다.
      본고에서는 집경을 디지털화하고, 문화관광지로 개발하는 등 문화콘텐츠화 하기 위한 기반구축의 일환으로 경관에 대한 재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착안하여 정경세 및 후손들의 차운시를 통해 객관적인 경관 요소, 시적 화자의 움직임, 작자의 심상 등으로 나누어 이를 개별적으로 향유하는 양상과 종합적으로 향유하는 방식을 정리하였다.
      앞으로는 이 정리를 바탕으로 우복20경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작하고 또 현장에서의 원형을 복원한다면 명실공히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discusses a reorganization of the Woobok's 20 Scenes in Sangjoo as part of the efforts to establish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of cultural industry and decentralization. The Woobok's 20 Scenes in Sangju were developed by a...

      This Thesis discusses a reorganization of the Woobok's 20 Scenes in Sangjoo as part of the efforts to establish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21st century of cultural industry and decentralization. The Woobok's 20 Scenes in Sangju were developed by a manager, Kyungse Jung with a specific purpose. The scenes were enjoyed by Confusion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who enjoyed the beauty of the views on the spot or in an indirect manner. To develop and enjoy the scenery like this was characteristic of the Confusion scholars of the Chosun Dynasty.
      By developing the Woobok's 20 Scenes as cultural contents, one can understand the spiritual world and lifestyles of the gentry of those times and use them as educational and cultural contents and marketing resources. In addition, the way the Woobok's 20 Scenes were enjoyed by the Confusion scholars can be applied to developing contents today.
      In other words, the scenery can be developed to give access to people both in cyber space and off line. The Woobok's 20 Scenes can be developed as physical tourist attractions and be introduced on the webpage with relevant information as well. This manner of developing can be applied to all sceneries across the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 사례 및 연구에 대한 검토
      • 3. 정경세의 우복20경 조성과 경영
      • 4. 우복20경의 경관 및 향유양상 재구
      • 5. 결론
      • 1. 서론
      • 2. 선행 사례 및 연구에 대한 검토
      • 3. 정경세의 우복20경 조성과 경영
      • 4. 우복20경의 경관 및 향유양상 재구
      • 5.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