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소현성록>과 <유이양문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omen`s painting in Joseon`s roman fleu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767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글 대하소설 속에 그려진 여성의 일상 가운데 그림 활동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에서 여성의 그림 활동은 여성에게 권장되던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신사임당 같은 여성...

      이 논문은 한글 대하소설 속에 그려진 여성의 일상 가운데 그림 활동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에서 여성의 그림 활동은 여성에게 권장되던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신사임당 같은 여성 화가는 예외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그러나 조선 후기 상층 여성들을 주된 독자층으로 삼았던 대하소설에서 형상화한 그림 그리는 여성은 그같은 여성화가의 존재가 예외적이거나 돌출적이기만 한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소현성록>과 <유이양문록>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 그림 활동은 그것이 여성의 소임이 아니라는 당대 통념적 인식을 전제하면서도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사건의 기록으로서 그림을 그렸다는 특징이 포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림 활동은 객관적 사실의 기록 이상으로 나아가 여성의 내면을 드러내는 한 통로가 되었고, 이는 마침내 여성이 외적 조건의 불리나 고난 속에서도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저력의 바탕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하소설이 이처럼 그림 활동에 적극적인 여성을 형상화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선 후기 사대부가에서 이어져온 사가기록화(私家記錄畵) 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출사, 승직, 생일 같은 집안의 경사를 기념하기 위해 그려진 사가기록화는 가문의 위세를 대내외적으로 강화하는 데 이용되면서 후대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상층 사대부가 여성들 역시 기록화적 그림에 대한 체험과 관심을 가질 기회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한편 <유이양문록>은 여성의 그림 관련 서술에 있어서 중국소설 <오색석>의 삽화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하소설의 창작과 관련하여 중국소설의 삽화가 그 서술의 구상성을 제고하는 데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지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kes note of Women`s painting in Joseon`s roman fleuves. Generally they didn`t think that women were involved in painting in Joseon dynasty. So We consider Shin Saimdang as unusual woman painter. But women painters who made an appearance i...

      This study takes note of Women`s painting in Joseon`s roman fleuves. Generally they didn`t think that women were involved in painting in Joseon dynasty. So We consider Shin Saimdang as unusual woman painter. But women painters who made an appearance in Joseon`s roman fleuves attest to a fact that she was unexceptional. Women artists in Sohyunsungrok(소현성록), Uiyangminrok(유이양문록) painted their daily incidents with a view to recording them. Gradually they represented their inner world by painting. At last they obtained a power of self-protection against adversity. These characters have a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A documentary painting culture that the nobility used with a view to showing off their family continu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currents, women who read roman fleuves voraciously might be concerned with painting. Meanwhile, the illustration of Osaksuk(오색석), it`s the chinese nover, was transcribed into the woman`s painting description in Uiyangminrok(유이양문록). It is remarkable that the Uiyangminrok(유이양문록)`s writer improved the description`s concreteness by the application of chinese nover`s illust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미애, "駱西 尹德熙 繪畵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40 : 2003

      2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돌베개 1-379, 2005

      3 박재연, "중국소설회모본" 강원대출판부 1-281, 1993

      4 이지영, "중국 배경 대하소설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 <유이양문록>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49) : 213-246, 2008

      5 서정민,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121-145, 2010

      6 김성희, "조선시대 여성의 가내외에서의 일상생활 -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여성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2 (42): 33-53, 2004

      7 정병설,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 379-407, 2006

      8 박재연, "윤덕희의 소설경람자" 문헌과해석사 19 : 207-217, 2002

      9 "유이양문록, In 낙선재본 고전소설총서Ⅲ 뉴니냥문녹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0 정선희, "소현성록, In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

      1 차미애, "駱西 尹德熙 繪畵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40 : 2003

      2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돌베개 1-379, 2005

      3 박재연, "중국소설회모본" 강원대출판부 1-281, 1993

      4 이지영, "중국 배경 대하소설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 <유이양문록>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49) : 213-246, 2008

      5 서정민,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121-145, 2010

      6 김성희, "조선시대 여성의 가내외에서의 일상생활 - 조선후기 회화에 나타난 여성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2 (42): 33-53, 2004

      7 정병설,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30) : 379-407, 2006

      8 박재연, "윤덕희의 소설경람자" 문헌과해석사 19 : 207-217, 2002

      9 "유이양문록, In 낙선재본 고전소설총서Ⅲ 뉴니냥문녹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0 정선희, "소현성록, In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

      11 송리화, "삽도와 명청소설의 열독 및 전파" 53 : 38-49, 2003

      12 김수현, "명청 소설의 삽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13 조선미, "명․청대 초상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초상화의 성격, In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항산 안휘준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1권" 사회평론 500-521, 2006

      14 박민정, "명·청대 통속문학삽도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5 차미애, "낙서 윤덕희의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16 박정혜, "그림으로 기록한 가문의 역사: 조선시대 ≪풍산김씨세전서화첩≫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39-286, 2006

      17 조규희, "경화사족의 전쟁 기억과 회화" 부산경남사학회 (71) : 95-124, 2009

      18 周心慧, "古本小說版畵圖錄 (수정증보본)제5책" 학원출판사 1-389, 2000

      19 차충환, "「유이양문록」의 構이成的 性格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107-128, 2008

      20 박숙례, "<유이양문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21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22 정선희, "17세기 후반 국문장편소설의 딸 형상화와 의미 <소현성록>연작을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45) : 425-460, 2009

      23 송성욱, "17세기 중국소설의 번역과 우리 소설과의 관계- 玉嬌梨 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7 : 70-93, 2001

      24 박영희, "17세기 재자가인소설의 수용과 영향-<好逑傳>을 중심으로" 4 : 181-203, 1998

      25 조규희,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경교사족들의 문화와 사가행사도(私家行事圖), In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항산 안휘준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1권" 사회평론 210-23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