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螺鈿漆器의 紋樣 分析 : 18·19世紀를 中心으로 = (An) Analysis on Patterns of NAJEONCHILKI : Focused on the 18th and 19th ce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24007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전통예술대학원: 고미술감정학과 고미술감정전공 2004. 2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35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95p. : 삽도,도판 ; 27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9-90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늬의 發生은 自然과 人間의 創造的 感性이 만나 表現되는 것이므로, 그 시대의 歷史와 文化를 反映한다. 자개와 옻칠로서 完成한 螺鈿漆器는 高級 生活工藝品으로 자개의 華麗함과 검은 ...

      무늬의 發生은 自然과 人間의 創造的 感性이 만나 表現되는 것이므로, 그 시대의 歷史와 文化를 反映한다.
      자개와 옻칠로서 完成한 螺鈿漆器는 高級 生活工藝品으로 자개의 華麗함과 검은 옻칠이 調和를 이룬다. 이들 재료는 神이 인간에게 내린 最高의 膳物로써 이들이 지니는 가치는 어떠한 紋樣을 만들어 내느냐에 달려있다고 하겠다.
      자개의 曲 面積의 限界에서 오는 表現狀의 어려움은 오히려 나전칠기에서 만이 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것으로 特殊한 雰圍氣를 자아낸다.
      多樣한 念願을 담아 紋樣을 새긴 나전칠기는 華麗하면서도 隱隱하고 技藝와 技巧를 同伴한 優雅함이 自然의 純粹함과 어우러져 높은 藝術性을 보이는 東洋特有의 工藝品이다.
      中國은 接漆 · 彫漆 · 木象嵌을 發展시키고, 日本은 漆繒技法의 하나인 시회칠기 즉, "마끼에"와 함께 畵漆工藝가 漆工藝를 대표하며, 우리나라는 우수한 옻과 자개를 取할 수 있는 自然環境과 誠實한 制作過程으로 나전칠기가 優位를 지킨다.
      작은 器物에서부터 規格이 큰 文匣 · 欌 · 籠에 이르기까지 實用性과 아름다움을 간직한 나전칠기는 우리 民族의 자랑이 아닐 수 없다.
      本 論文은 朝鮮朝 18~19세기 나전칠기의 적은 傳世品 중에서 180점의 器物과 紋樣의 關係를 살피면서 그 紋樣分析을 통해 우리나라 特有의 나전칠기 文化의 一部를 硏究하고자 한다.
      첫째, 螺鈿漆器의 一般的인 것을 考察하고
      둘째, 器物의 構成形式, 時代潮流에 따르는 紋樣의 多樣性과 變遷
      셋째, 器物에 새겨진 紋樣과 用度別 · 時代別 紋樣 分類
      넷째, 紋樣의 象徵性과 나전칠기의 特性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全體 器物의 種類는 26여 種이다.
      안방용품에는 상자 · 함 · 빗접 · 반짇고리 등 9種이 보이고, 사랑방용품에는 문구류 · 기호품 등에서 13種이 보이며, 주방용품에는 소반 등 3種이 보인다.
      이 중에서 17~18세기에는 箱子가 主流를 이룬다. 상자의 形式에는 뚜껑이 기물 전체를 덮는 납작한 상자가 있고, 몸체(밑짝)가 깊고 높이(변)가 낮은 뚜껑이 밑짝위에 얹혀지는 높은 상자가 있으며, 뚜껑이 밑짝위에 얹혀지는 낮은 상자가 있다.
      19세기에는 函 · 빗접 · 籠 · 文貝類 · 嗜好品 · 小盤 등 種類가 多樣하다. 그 중에서도 함과 빗접이 많이 보인다.
      全體紋樣의 種類는 125여 種이다.
      안방용품에는 牧丹唐草 · 蓮唐草 · 吉祥語紋 등 114種이 시문되고, 사랑방용품에는 牧丹唐草草 · 竹 · 天桃紋 등 46種이 보이며, 주방용품에는 天桃 · 壽 · 魚紋 등으로 38種이 시문(施紋)되었다.
      시대별로는, 17~18세기에 모란당초 · 연당초 등 46種으로 植物紋이 대부분 이고, 19세기에는 牧丹唐草 · 壽 · 十長生 · 樓閣山水 등 86種이 나타나며, 19세기 말~20세기 초엽에도 天桃 · 十長生 · 牧丹唐草 등 89여 種이 시문되었다.
      이와 같이 19세기에 이르러서는 用度나 時代에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고, 施紋 면적에 調和되는 각종의 문양을 複合的으로 사용하였다.
      圖案構成에 있어서, 箱子에는 上 ·下 문양이 같은 것과 다른 것이 있고, 면마다 다른 것도 있다. 포도문과 같이 한 문양이 기물전체를 덮는 것도 있으며, 補助紋(종속문 이라고도 함)을 두기도 하였다.
      函은 대부분 上 ·下의 문양이 다르다. 앞면에는 左 · 右에 區劃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좌 · 우를 연결하여 구획지은 것도 있다.
      象徵性에 있어서, 안방용품에 새겨진 모란 · 연꽃 · 오리 · 물고기 · 吉祥語紋 등은 富貴 · 多産 · 子孫昌盛 · 夫婦和合 · 女性 · 誠實의 뜻을 담고 있고, 사랑방 용품에 새겨진 竹 · 梅鳥 · 菊 · 牡丹唐草 · 天桃紋은 선비의 節槪 · 友情 · 長壽 등의 의미가 있으며, 주방용품에 새겨진 壽 · 魚 · 天桃 · 雲鶴 등의 문양은 多男 · 長壽 · 多福 등의 의미를 지녔다.
      이렇듯 기물에 새겨진 문양은, 男女와 時代를 超越하여 절실한 念願과 다양한 상징성을 갖고 있으며, 現代의 단순히 裝飾的인 문양과는 구별된다.
      螺鈿漆器의 두드러진 特徵은, 箱子나 函이 主類를 이룬다. 年代가 앞선 것들은 대부분 表面이 곱고 漆이 두꺼우며 단단하고 白骨과의 接着이 좋다. 또한 무늬가 秀麗하고 漆과 잘 어우러져 奇妙한 멋을 풍기며 무늬가 베풀어질 자리에 가장 合當한 색깔의 貝를 取하는 精巧하면서도 誠實한 시문이라 하겠다.
      紋樣의 變遷過程을 살펴보면, 17세기에는 高麗佛敎의 영향으로 모란당초 · 연당초 등 連讀 配列한 唐草紋 계열이 두드러지고 차츰 쇠락(衰落)해짐을 볼 수 있다.
      18세기에는 圖案化된 당초문 계열(系列)의 정연(整然))한 對稱이 흐트러지면서 梅 · 蘭 · 菊 · 竹 · 梅鳥 · 葡菊 등 당시의 文人畵와 연관된 寫實的인 문양이 나타나는 過渡期的 현상을 보이고 있다.
      19세기에는 崇儒抑佛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저변 확대된 佛敎와 民間信仰이 結合되어 韓國的인 意匠으로 土着化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壽福 · 피사의 의미를 가진 大衆的 그림인 民話와의 聯關性도 배제할 수 없다. 山水 · 風景등의 自然紋이 흔해지는 한편 吉祥語紋 · 幾何紋 등 다양한 문양이 나타나고 있다. 동 · 식물을 병행하여 施紋하고 大衆化 · 商業化로 인하여 무늬가 自由奔放해졌으며 端雅함도 줄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말~20세기 초엽에는 籠 · 文匣 등 큰 器物이 제작되고 貝片 또한 커졌으며, 大衆化로 인해 商業化를 加速시켜 漆이 얇고 거칠며 자개가 도드라져 있을 뿐만 아니라 周邊國家의 文化가 加味되어, 器物에 문양을 꽉 채우는 현란(眩亂)함으로 租質化는 더욱 심화(深化)되었다.
      오늘날 나전칠기의 不在現狀으로 이어진 無關心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나전칠기 문화의 繼承 · 發展을 위하여 시급히 해결해야 할 問題點으로 指摘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attern is originated through the meeting of nature and human's creative sensibility, so it represen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its contemporary. 'NAJEONCHILKI', perfected through traditional Korean lacquer and 'Jagae(Mother-of-pearl)', is high-c...

      A pattern is originated through the meeting of nature and human's creative sensibility, so it represen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its contemporary.
      'NAJEONCHILKI', perfected through traditional Korean lacquer and 'Jagae(Mother-of-pearl)', is high-class industrial artwork, which shows the harmony of shiny Jagae and dark lacquer in its fullness. Both are precious gifts given to us from God, which values depend on what pattern they create together.
      Curved surface of Jagae brings about limitations in free expression, but it is a unique feature of Jagae, which endows special sentiment to the piece of work.
      Patterned with long-cherished wishes, NAJEONCHILKI has a luxurious and graceful atmosphere. This unique oriental work of art which harmonizes craft and technique with purity of nature shows artistic sense in its highest.
      China developed decoration techniques such as 'Cheop-chil', 'Cho-chil' and wood inlay. In Japan, 'Sl-HWAE-CHILKI'(also called 'MAKI-E'), using 'Chil-hwae' technique, along with 'HWA-CHIL' crafts represent the Japanese Lacquer artcrafts. NAJEONCHILKI holds a predominant position in Korean artcraft, thanks to natural environment always offering excellent lacquer and Jagae, and its faithful manufacturing process.
      From small items to bigger household goods like 'Mungab(stationary chest)', 'Jang(drawers)' and 'Nong(cabinet)', practicality and beauty of NAJEONCHILKI is pride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items and their patterns and through analysis of the patterns of 180 pieces of work from the 18th and 19th Chosun Dynasty, this article focuses on special cultural feature of Korean NAJEONCHILKI. This study consists.
      1. An overview of general aspects of NAJEONCHILKI
      2. Construction form of craft items, the variety and changes in patterns following historical trends
      3. Categorization of the patterns inlaid in craft items according to historical pattern motives
      4. Symbols and characteristics of Jagae patterns
      There are 26 kinds of the entire NACHEONCHILKI artcrafts items.
      In artcrafts used in women main living room, are 9 kinds like 'Sangja(box)', 'Ham(small chest)', 'Bitcheop(comb case)' and workboxes. In the men room's are 13 kinds like stationary and items that project unique tastes, and 3 kinds like 'Soban(small dining table)', 'Jaengban(tray)' and 'Hamji(wooden bowl)' can be also found in kitchen wares.
      In the 17th~18th century, the main item was 'Sangja(Box)'. There are flat boxes with lids that covers the entire body, tall boxes which short lids that barely covers the top, and also flat ones with short lids.
      You can find a great variety of NAJEONCHILKI items in 19th century, like Ham, Bitcheop, Nong, stationary, items that project unique tastes, Soban etc., among which small chests and comb cases are most frequently seen.
      And there are 125 kinds of NACHEONCHILKI motifs.
      In artcrafts used in women main living room, are 114 kinds of patterns like peony-vine, lotusflower-vine and fortune symbols. In the men room's ones, there are 46 kinds like peony-vine, bamboo and the heavenly peach. And 38 kinds like the heavenly peach, longevity and fish can be also found in kitchen wares.
      Classifying these patterns periodically, in 17th~18th century are plant patterns the main motif, with a prevalent number of 46 kinds including Peony-vine and lotusflower-vine. In the 19th century appear 86 kinds of patterns, like peony-vine, longevity, the ten longevity creatures, landscapes with house. Dur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 are also 89 kinds like the heavenly peach, the ten longevity creatures and peony-vine. By reaching the 19th century, it becomes hard to classify the main patterns according to period and utility because various patterns, if only they harmonize, were used together by many cases.
      The ornamental design in a Sangja varies in that there are items inlaid with same patterns on both upper part and sides, items with different patterns on upper part and sides, those which contain totally different pattern on each side, also items covered all over with one pattern like grape motif. The existence of supplementary patterns also mos a classification possible.
      By Ham, the patterns on upper part and sides mostly differ. The front side is inlaid with or without any division between left and right, but also connected with patterns in spite of right and left.
      Looking closely at the symbolical meaning of the patterns, peony lotusflower, duck, fish, fortune symbols etc. founded in women's quarter represent wealth, fecundity, prosperity for descendants, harmony in marriage, woman and fidelity. The bamboo, birds on ume blossoms, chrysanthemum, peony-vine, the heavenly peach motif of the men's quarter represent honor, fellowship and longevity of the gentleman. At last, the longevity, fish, the heavenly peach and crane-on-clouds pattern of kitchen wares have meanings of desire for sons, longevity and fortune.
      As you can easily guess, patterns have carried on the most wanted wishes of people- regardless of gender and period, so it differs greatly with patterns of our time which are focused simply on its ornamental feature.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NAJEONCHILKI is that Sangja and Ham are the main items of this art, and that items which periodically precedes are mostly in a very lovely state- smooth surface, thick & solid lacquer and nice glueing. Even Jagae is chosen perfectly. It's color is very cautiously selected, so only pieces which suits the place has been inlaid. All together you can see a masterpiece with graceful patterns harmonizing with dark lacquer.
      In the 17th century, due to the influence of Koryo Buddhism you can see a prominence and later a decline of vine motifs, peony-vines and lotusflower-vines arranged successively.
      In the 18th century, with the dishevelment of symmetric vine patterns, realistic elements influenced by paintings from literary artists, like ume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bamboo, birds on ume blossoms, grape began to show up, representing a transition of moving to the next generation.
      Even though the 'Policy of suppor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exercise a great effect on the 19th century, Buddhism which has been already spreaded around the people, and joined by folk beliefs, has settled itself deeply in Korean decorative design. It also shows a strong connection with popular folk paintings which contain wishes for long life, happiness and power to drive away bad ghosts.
      While natural motifs like landscape and scenery are becoming more common, various fortune-wishing and geometrical motifs also show up. There is also a trend of inlaying animals and plants side by side. It shows that through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the patterns became more liberalized and their elegance diminished.
      Dur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re comes a certain diminution of refinement and quality. Bigger items like Nong and Mungab were produced, so Jagae pieces also became more bigger. Mass production brought about thin lacquer, rough surfaces, and uneven Jagae work. Adding to this, a new trend of our neighbor's culture, filling up the whole side with motifs, helps only to deepen the diminution process by disorganizing the exterior.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is unique Korean NAJEONCHILKI, the general indifference of korean people due to the absence of this wonderful artcraft in daily life, turns out to be the most immediate problem to sol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國文抄錄 = ⅰ
      • 表目次 = ⅴ
      • 圖版目錄 = ⅵ
      • Ⅰ. 序論 = 1
      • 목차 = ⅳ
      • 國文抄錄 = ⅰ
      • 表目次 = ⅴ
      • 圖版目錄 = ⅵ
      • Ⅰ. 序論 = 1
      • 1. 硏究目的 = 1
      • 2. 硏究範圍 및 方法 = 2
      • Ⅱ. 螺鈿漆器의 一般的 考察 = 3
      • 1. 起源 및 意義 = 3
      • 2. 製作 技法과 材料 = 5
      • Ⅲ. 18ㆍ19세기 螺鈿漆器의 紋樣 分析 = 8
      • 1. 時代 背景 = 8
      • 2. 器物에 따른 紋樣의 分類 = 9
      • 1) 器物의 形態와 圖案構成 = 9
      • 2) 紋樣의 種類 및 分類 = 31
      • 3) 緖樣의 象徵性 = 47
      • Ⅳ. 結論 = 54
      • -圖版- = 57
      • 參考次獻 = 89
      • ABSTRACT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