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 청량산·지리산·가야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7th Century Sansuyugi, seen in the Yeongnam Province : Focusing on Cheon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6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 travel essay collection titled Sansuyugi, written by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men (Scholars) left this collection after making a tour of Cheong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It discussed specifica...

      This study analyzed a travel essay collection titled Sansuyugi, written by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men (Scholars) left this collection after making a tour of Cheong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It discussed specifically the spatial perception and the orientation, seen in the writings of the Yeongnam region.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Sansuyuram (journey for beautiful landscapes) in the 17th century Yeongnam region. The whole heritage culture of the previous periods was transmitted at that time, and the Sansuyuram was rediscovered with the compilation of the record of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noble family and county society as well as the landscapes of the Yeongnam region.
      Second, it examined spatial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Sansuyugi. First of all, scholars of those days recognized that Cheongryang mountain was a place (求道空間) to seek for the truth after traveling remains of Yi Hwang. Secondly, scholars perceived that Jiri mountain was a place (愛民空間) of loving people after making a tour of Chosik's remains and Cheonghak-dong. Finally, They perceived Gaya mountain as Utopia(超世空間).
      Third, it examined the intention of 17th's century's literary men through the spatial perception that they had in view of Sansuyugi. First of all, they observed and penetrated the essence of the things, and purified their mind and emotions. Then, they handed down the Confucian scholar spirit of the Yeongnam region through Sansuyuram. Finally, they came to seek for the equal pleasure of the human beings.
      Fourth, it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Sansuyugi in the Youngnam province through spatial perception and orientation. First of all, scholars of those days equated Cheongryang mountain and Jiri mountain, and Yi Hwang and Chosik. Next, scholars practiced the love of learning. Lastly, they consolidated the unity of the Youngnam school.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seen in Sansuyugi of the Yeongnam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s as follows: First, self-cultivating value was contained in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Yeongnam province. Next,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seen in the Youngnam province is the comprehensive work, which inherited the sightseeing of the early streams of the Sarim school and the Dohak school. Lastly, Historical evidence and record was demonstrated before the 17th century's Sansuyugi.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17th century Yeongnam region, Cheong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It confirmed the spatial perception of literary men(scholars) for the landscapes of Youngnam regions amid the confusing situation of factional politic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econd, it studied the tradition and transition of the heritage culture in the 17th century when early Sarim school and Dohak school appeared among the literary men. Following Kim Jong-jik, Yi Hwang, literary men (scholars) formed the literary group of those days and handed down the heritage cultures of the sages of the old who had sought for the truth. Third, it examined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in terms of self-cultivation. There is a saying ‘A person reading books is a literary man (讀書曰 士).’ it reveals the culture of true literary men by exploring the orientation of self-cultivating or self-training from the special experience of landscape sightseeing (Sansuyuram).
      This discussion examined spatial perception and orientation, contained in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Youngnam province. However, there are some remaining issues to be addressed. First, the length of period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expansion of regions is required. Third, parts should be di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선행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1
      • 1.2. 연구 범위 및 서술 방법 10
      • 2.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람의 배경 16
      • 2.1. 전대 유산문화의 계승 16
      • 1. 서론 1
      • 1.1. 선행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1
      • 1.2. 연구 범위 및 서술 방법 10
      • 2.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람의 배경 16
      • 2.1. 전대 유산문화의 계승 16
      • 2.2. 영남 산수의 재발견 28
      • 3. 산수유기에 나타난 공간인식 41
      • 3.1. 청량산 기행과 求道空間 41
      • 3.1.1. 도산서원과 퇴계 사적 기행 42
      • 3.1.2. 구도공간으로서의 청량산 54
      • 3.2. 지리산 기행과 愛民空間 66
      • 3.2.1. 덕천서원과 청학동 기행 66
      • 3.2.2. 애민공간으로서의 지리산 78
      • 3.3. 가야산 기행과 超世空間 88
      • 3.3.1. 홍류동과 해인사 기행 88
      • 3.3.2. 초세공간으로서의 가야산 97
      • 4. 공간인식을 통해 본 선비들의 지향 107
      • 4.1. 觀物과 性情涵養 107
      • 4.1.1. 관물을 통한 고증과 기록 108
      • 4.1.2. 溫柔敦厚와 浩然之氣 구현 117
      • 4.2. 영남 사림정신의 전승 129
      • 4.2.1. 隱求之士와의 만남 129
      • 4.2.2. 道學精神의 발현 139
      • 4.3. 同人之遊의 즐거움 150
      • 4.3.1. 道義之交의 실현 151
      • 4.3.2. 仙境과 풍류의 향유 164
      • 5. 영남지역 산수유기에 나타난 의미 174
      • 5.1. 영남 山水와 宗師의 동일화 174
      • 5.2. 영남 선비의 好學과 실천 185
      • 5.3. 영남학파의 결속력 강화 198
      • 6. 결론 212
      • 참고문헌 216
      • 영문초록 22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현순, "null",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 사논문, 2006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정우락, "남명학의 생성공간", 역락, 2104

      4 정우락, "남명과 퇴계사이", 경인문화사, 2008

      5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6 김병규, "문학과 철학의 사이", 이문출판사, 1984

      7 이재익, "「두류산 유산기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석사논문, 1988

      8 김학수,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박사논문, 2008

      9 호승희, "「조선 전기 유산록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18, pp.97-126, 1995

      10 우인수, "조선후기 산림세력연구", 일조각, 1999

      1 박현순, "null",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 사논문, 2006

      2 이택후, "화하미학", 동문선, 1990

      3 정우락, "남명학의 생성공간", 역락, 2104

      4 정우락, "남명과 퇴계사이", 경인문화사, 2008

      5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6 김병규, "문학과 철학의 사이", 이문출판사, 1984

      7 이재익, "「두류산 유산기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석사논문, 1988

      8 김학수,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박사논문, 2008

      9 호승희, "「조선 전기 유산록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18, pp.97-126, 1995

      10 우인수, "조선후기 산림세력연구", 일조각, 1999

      11 이경구,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푸른역사, 2009

      12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3 이혜순, "조선중기의 遊山記 문학", 집문당, 1997

      14 김영호, 정우락, "논어의 종합적 고찰", 심산, 2003

      15 이상균, "「조선시대 유람문화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논문, 2013

      16 홍성욱, "「유몽인의 두류기행록연구」", 계명한문학연구 15, pp.37-59, 2001

      17 정우락,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역락, 2009

      18 윤미란, "「조선시대 한라산 遊記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19 이구의, "「漢詩에 나타난 伽倻山의 形狀」", 한국사상문 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70, pp.95-120, 2013

      20 이태희, "「조선시대 四郡 산수유기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 사논문, 2015

      21 박현민,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논문, 2006

      22 오주학, "「우담 정시한의 山中日記의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5

      23 김미선, "「임진왜란기 해외체험 포로실기 연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 사논문, 2013

      24 오이환, "「진양지의 출판」, 동방학지 15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pp.77-109, 2011

      25 이경순,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 사논문, 2014

      26 노경희, "「17세기 전반기 관료문인의 산수유기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과 석사논문, 2001

      27 홍성욱, "「조선전기 유두류록의 지리산 형상화연구」", 한국학논집 17, pp.23-53, 1999

      28 이종묵, "「퇴계학파와 청량산」, 정신문화연구 85", 한국학중앙연구원, pp.3-31, 2001

      29 정지아, "「淸凉山 遊山錄과 智異山 遊山錄 比較 硏究」",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박사논문, 2018

      30 이경순, "「1688년 정시한의 팔공산 유람」, 역사와 경계 69", 부산경남사학회, pp.41-72, 2008

      31 박용국, "「진양지 효행 자료의 성격」, 남명학 22", 남명학연구원, pp.335-366, 2017

      32 차장섭, "조선후기 서원의 위상 -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새물결, 2015

      33 최석기, "「南冥의 山水遊覽에 대하여」, 南冥學硏究 5", 慶尙大學校 南冥學硏 究所, pp.319-347, 1995

      34 김덕현, "「경남문화의 지리적 이해」, 경남문화연구 30", 경상대학교 경남문화 연구소, pp.7-40, 2009

      35 이종묵, "「남명 조식의 삶과 시」, 한국한시작가연구 5", 한국한시학회, pp.137-169, 2000

      36 강정화,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한문학보 25", 우리한문학회, pp.173-209, 2011

      37 정우락, "「도산서원에 대한 문화론적 독해」, 영남학 27", 경북대학교 영남문 화연구원, pp.241-288, 2015

      38 추제협,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과 퇴계학」, 영남학 25", 경북대학교 영남문 화연구원, pp.211-242, 2014

      39 강정화,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청학동 유람과 공간 인식」", 藏書閣 36, pp.124-145, 2016

      40 윤종빈, "「圭菴 宋麟壽의 生涯와 經世思想」, 유학연구 13", 충남대학교 유학 연구소, pp.129-171, 2006

      41 우인수, "「인조반정 전후의 산림과 산림정치」, 남명학 16", 남명학연구원, pp.35-61, 2011

      42 김도공, "「元曉의 修行體系 硏究 : 大乘起信論疏를 中心으로」", 원광대학교 불 교학과 박사 논문, 2002

      43 양보경, "「조선시대 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 사논문, 1987

      44 양보경,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 인문과학논집 4", 강남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pp.203-225, 1997

      45 김문식, "「16-17세기 한강 정구의 지리지 편찬」, 민족문화 29", 한국고전번 역원, pp.173-218, 2006

      46 김낙진, "「정시한의 산중일기와 구도자의 삶」, 퇴계학보 139", 퇴계학연구원, pp.79-116, 2016

      47 황위주, "「日記類 資料의 國譯 現況과 課題」, 고전번역연구 1", 한국고전번역 학회, pp.29-60, 2010

      48 김남형, "「식산 이만부의 기행시에 대하여」, 한문교육연구 12", 한국한문교육 학회, pp.313-332, 1998

      49 오주학, "「우담 정시한 산중일기 일고찰」, 한문학논집 26", 근역한문학회, pp.5-32, 2008

      50 박 주, "「17세기 晉州지역의 孝子, 烈女-晉陽志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연구 1, pp.109-124, 1998

      51 최은주, "「조선 시대 일기 자료의 실상과 가치」, 大東漢文學 30", 대동한문학 회, pp.5-40, 2009

      52 김종구, "「퇴계와 고족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문교육연구 48", 한국한문 교육학회, pp.289-328, 2017

      53 최윤진, "「16, 17세기에 편찬된 慶尙道의 私撰 邑誌」, 전북사학 17", 전북사 학회, pp.19-52, 1994

      54 박영민, "「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0",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원, pp.73-98, 2004

      55 권태을, "「식산 이만부의 지행록 연구 -그의 실심사상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한민 족어문학 14 , pp.111-131, 1987

      56 염정섭,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 역사와 현실 24", 한국역사 연구회, pp.220-263, 1997

      57 최석기,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南冥學硏究 40", 경상대 학교 남명학연구소, pp.165-194, 2013

      58 최은숙,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 양상과 표현방식」, 온지논총 41", 온지학 회, pp.143-174, 2014

      59 신영주, "「陶谷集 解題 - 陶谷 李宜顯의 생애와 저술에 관하여 –」", 고전번 역원, 2014

      60 황위주, "「朝鮮時代 日記資料와 ‘秋淵先生日記’」, 大東漢文學 30", 대동한문학 회, pp.257-283, 2009

      61 차장섭, "「陶山書院의 政治, 社會的 役割과 位相」, 歷史敎育論集 54", 역사교 육학회, pp.151-187, 2015

      62 김경수, "「정구의 함주지 연구」, 우강권태원교수정년기념논총", 世宗文化社, pp.581-605, 1994

      63 정순우, "「퇴계와 남명을 통해서 본 ‘선비’의 두 유형」(남명학 17", 남명학 연구원, pp.107-175, 2012

      64 양보경, "「16-17세기 읍지의 편찬배경과 그 성격」, 대한지리학회지 18", 대 한지리학회, pp.51-71, 1983

      65 강정화, "「19-20세기 江右學者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한문학보 22", 우 리한문학회, pp.509-543, 2010

      66 신대현, "「山中日記를 통한 17세기 佛敎文化 考察」, 文化史學 45", 한국문 화사학회, pp.97-122, 2016

      67 김종구, "「안덕문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존현의식과 풍류」, 남명학 21", 남명 학연구원, pp.253-291, 2016

      68 김미선,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호남문화연구 58", 전남 대학교 호남학연구원, pp.41-72, 2015

      69 우응순, "「山水遊記의 전통과 주세붕의 遊淸凉山錄」, 우리문학연구 14", 우리 문학회, pp.87-105, 2001

      70 강구율, "「淸凉山 遊山記에 나타난 영남지식인의 자연인식」, 영남학 4", 경북 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pp.83-115, 2003

      71 강문식, "「진양지의 내용적 특징과 그 의미」, 남명학연구원총서 8", 남명학 연구원, pp.315-343, 2015

      72 박영민, "「淸凉山 遊山과 도덕적 주체의 웅혼미 추구」, 漢子漢文硏究 2", 고 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pp.99-131, 2006

      73 강정화, "「유람록으로 본 지리산의 인물과 그 형상」, 東洋漢文學硏究 37", 동 양한문학회, pp.5-31, 2013

      74 김학수, "「德川書院 : 敬義學을 지향한 조선의 학술문화공간」, 남명학 20", 남명학연구원, pp.7-67, 2015

      75 최석기, "「부사 성여신의 지리산 유람과 선취경향」, 남명학연구원총서 8", 남 명학연구원, pp.197-231, 2015

      76 정우락, "「장복추 문학의 사상적 기저와 그 작품의 경향」, 어문론총 45호", 한국문학언어학회, pp.37-77, 2006

      77 김종구, "「초기 士林派의 山寺와 仙境 인식과 그 의미」, 한민족어문학 70", 한민족어문학회, pp.267-298, 2015

      78 박영민, "「寒岡 鄭逑의 「遊伽倻山錄」과 그 審美境界」,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pp.265-299, 2007

      79 최석기, "「조선중기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과 그 성향」, 경남문화연구 22",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107-137, 2000

      80 정우락, "「남명의 「遊頭流錄」에 나타난 기록성과 문학성」, 南冥學硏究 4",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pp.195-219, 1994

      81 정우락, "「오한 손기양의 문학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 어문학 제102집", 한국어문학회, pp.253-286, 2008

      82 김종구, "「유산기에 나타난 유산과 독서의 상관성과 그 의미」, 어문론총 51", 한국문학언어학회, pp.125-157, 2009

      83 정우락,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退溪學論集 15", 영남퇴계학연구원, pp.177-217, 2014

      84 김상영, "「우담 정시한의 생애과 山中日記 내용 분석」, 中央僧伽大學校 6", 중앙승가대학, 1998

      85 최석기, "「조선시대 士人들의 智異山 天王峯에 대한 인식」, 남도문화연구 21",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pp.79-109, 2011

      86 김남형, "「지행록에 나타난 식산 이만부의 작가의식」, 한국한문학연구 21", 한국한문학회, , pp.273-296, 1998

      87 정우락, "고대일록에 나타난 서술의식과 위기의 일상, 퇴계학과 유교문화 44",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pp.157-188, 2009

      88 강정화, "「智異山 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의 山水認識」, 남명학연구 26",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pp.255-300, 2008

      89 김종구, "「가야산 유산기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유산문화의 유형」, 어문론총 59", 한국문학언어학회, pp.259-289, 2013

      90 정우락, "「18세기 후반 영남문단의 일 경향 : 芝厓 정위의 가문의식」, 남명학  15", 남명학연구원, pp.453-501, 2010

      91 김종구, "「부사 성여신의 유람을 통해 본 은일관 및 경세관과 그 의미」, 우리 말글 76", 우리말글학회, pp.211-240, 2018

      92 김종구, "「다산 정약용의 유람 및 기행에 나타난 풍류와 그 의미」, 한민족어 문학 76", 한민족어문학회, pp.295-331, 2017

      93 김태안, "「16 17세기 안동처사문학의 한 연구-순수처사를 중심으로-」, 大 東漢文學 14", 대동한문학회, pp.273-344, 2001

      94 최석기, "「함양 지역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정신세계」, 경남문화 연구 31",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7-47, 2010

      95 최은숙, "「退溪의 淸凉山詩에 나타난 遊山체험의 詩化 양상과 의미」, 東洋古 典硏究 56", 동양고전학회, pp.9-33, 2014

      96 정우락, "「오운의 시세계에 나타난 흥과 낭만주의적 성격」, 퇴계학과 한국문 화 제40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pp.143-182, 2007

      97 서수용, "「청량산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두 국면」,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1", 민속원, 2007

      98 정치영, "「유산기로 본 조선시대 사대부의 청량산 여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1권 1호", 한국지역지리학회, pp.54-70, 2005

      99 김종구, "「정시한의 산중일기를 통해 본 당대인의 유산문화 연구」, 경북대학 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7

      100 안득용,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山水遊記 硏究 : 農巖 金昌協과 三淵 金 昌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5

      101 박인호, "「유형원의 동국여지지 편찬을 위한 고투와 실학적 지리학」, 조선 사연구 26", 조선사연구회, pp.23-48, 2017

      102 윤천근, "「퇴계 이황의 ‘감성철학’ ― ‘청량산’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퇴계학 보 141", 퇴계학연구원, pp.39-73, 2017

      103 이정희, "「頭流山 遊覽錄에 나타난 嶺南士林의 精神世界 : 朝鮮前期 慶尙右道 士林을 中心으로」", 경상대학교 한문교육석사논문, 1995

      104 최원석, "「한국 이상향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청학동을 사례로- 」, 대한지 리학회지 44권 6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745-760, 2009

      105 권석환, "「명말청초, 조선중후기의 유람문화와 우담 정시한의 산중일기」,  중국문학연구 63", 한국중문학회, pp.1-21, 2016

      106 정만조, "「17-18 세기의 서원, 사우에 대한 시론 - 특히 사림의 건립활동을 중심으로 - 」, 한국사론 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pp.211-280, 1975

      107 정우락, "「조선 중기 강안지역의 문학활동과 그 성격」, 낙중학, 조선시대 낙 동강 중류 지역의 유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108 손유경, "「우담 정시한의 산중일기 연구 -경남 함양 유람에 관한 기록을 중 심으로- 」, 한문고전연구 29",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pp.151-180, 2014

      109 전병철, "「感樹齋 朴汝樑의 지리산 유람과 그 인식 - 「頭流山日錄」의 분석 을 중심으로 - , 경남문화연구 31",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182-211, 2010

      110 김주부, "「息山 李萬敷의 山水紀行文學 硏究 : 地行錄과 陋巷錄을 중심으 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한문학과 박사논문, 2010

      111 최석기,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유람을 통해 본 士意識 -15-16세기 지 리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한문학보 20", 우리한문학회, pp.9-42, 2009

      112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東人의식과 문명의식 : 收隱 문학의 논리와 성격에 관한 서설」", 창작과비평사, 2000

      113 우응순,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 周世鵬과 李 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34권 3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425-446, 2006

      114 정우락,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연구 –임훈, 이황, 조식 의 경우를 중심으로- 」, 퇴계학과 유교문화 34", 경북대학교 퇴계연 구소, pp.133-195, 2004

      115 정목주, "淸凉山의 ‘高山景行’ 이미지 形成 動因과 그 原理 - 옛 선비들의 청 량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 75", 한민족어문학회, pp.73-10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