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時代 嶺東地域의 海防遺蹟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1431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江原大學校 大學院 , 史學科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04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Goryeo's coast defense heritage remaining in Yeongdong area

      • 형태사항

        v,73 L.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L67-71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賊의 해안침입에 대비하여 변경지역에서 연해지역에 이르는 축성과 봉수제의 성립, 그리고 수군의 배치 등의 대응책에 주목하였는데, 당시에 마련된 대응책들이 백성...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賊의 해안침입에 대비하여 변경지역에서 연해지역에 이르는 축성과 봉수제의 성립, 그리고 수군의 배치 등의 대응책에 주목하였는데, 당시에 마련된 대응책들이 백성들을 보호하고 침입자들을 방어하기 위한 고려의 海防체계로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려의 해방체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범위를 강원 영동지역으로 한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고려시대에는 개국초기부터 북진정책을 추진하게 되면서 거란과의 대립으로 변경지역에 대한 축성이 이루어져 왔으며, 東女眞의 침입을 받기 시작하면서 東界地域에 대한 축성도 이루어진다. 동계지역의 축성은 동여진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 진 것인데, 유사시에는 백성들을 據點城이나 해안 인근의 城에 入保시킴과 동시에 방어하였고, 이후에는 이러한 해방체계가 고려 말까지 이어져 왜구의 극심한 침입시에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강원 영동지역의 海防遺蹟은 성곽과 봉수로 나누어진다. 현재 영동지역 성곽유적수는 45개소로 파악되며, 이중 동여진과 왜구의 방어에 활용되었던 성곽은 19개소로 파악된다. 이중에는 고려초 군현의 치소였던 據點城, 해안을 감시하고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던 海岸近接入保城이 있으며, 거점성의 背後城도 포함되어 있다. 영동지역의 烽燧는 22개소로 파악된다. 봉수는 고려 중기 이후에 구축되었으며, 왜구의 침입시기에 고려 조정에서는 각 산성의 인근에 봉수를 설치하여 외적을 방어함에 있어 신속히 연락을 취하도록 하였고, 수도 개경까지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려의 봉수는 전국적으로 구축된 것이 아니었고, 침입이 잦은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었으며, 이후 조선 세종 재위 이전까지는 고려의 봉수제가 그대로 유지되고 세종 재위 후에는 전국의 봉수가 정비되어 발전되었다.
      그리고 戍라는 시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戍는 소규모의 성이며 감시초소의 역할을 하면서 주민들을 入保시키기도 하였다. 현재 조사활동이 전무하여 위치를 비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대부분 봉수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주로 낮은 구릉에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高麗史󰡕에서 봉수를 산성의 인근에 구축하는 내용과 비교해 볼 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 성곽은 입지상으로 산성(테뫼식·포곡식·복합식)과 평산성, 평지성으로 분류되며, 이중 강원 영동지역에는 테뫼식 산성이 가장 많다. 기능상으로는 거점성(군현치소)과 해안근접입보성으로 분류된다. 축성법은 土築, 石築, 土石混築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나는데 한 개소의 성곽에서 다양한 築造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성곽이 初築된 이후부터 계속 修改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축조법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려시대 영동지역 海防의 특징은 동여진과 왜구의 침입횟수나 규모로 볼 때 침입초기에는 소규모의 약탈로 볼 수 있으나, 이후 수많은 침입을 보이기 때문에 고려조정에서는 이들을 방어하기 위해 대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따라서 해안에 인접한 소규모의 입보성들은 外賊의 긴박한 침입상황으로 미루어볼 때 비교적 공역이 적게 들고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토축과 토석혼축 등의 방식으로 많이 나타나고, 석축의 경우에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山石들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는 난층쌓기식이 많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Goryeo's marine defense system including fortification and signal fire in border and coastal areas, and naval force deployment, which are considered as the nation's protection system for citize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Go...

      This study focuses on Goryeo's marine defense system including fortification and signal fire in border and coastal areas, and naval force deployment, which are considered as the nation's protection system for citize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Goryeo's coast defense thoroughly, especially that of Gangwon Yeongdong(eastern) region.
      Goryeo built its fortification at border areas between the Kitan as its aggressive diplomacy toward North, and soon did it in eastern side as attacked by East Jurchen. Fortress walls in eastern region were established to protect the nation from East Jurchen, and it would let the people in base fortress or fortresses nearby in case of emergency. And this works effective later in its defense against Japan at the end of Goeyeo Dynasty. Damages caused by Japan were more severe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than the eastern ones, when the southern and the eastern defense system were similar.
      There are 45 currently remaining fortress in Gangwon eastern region, and 19 of them are believed to be the places where Japan and East Jurchen tried to penetrate. Among the 19 are the strongpoint cast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a coastal protection castle that watched the ocean for protection, and a support castle for the strongpoint castle. The signal fire system was built in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and advanced in times of Japanese pirates, that Goryeo could establish a quick transaction with the capital by building signal fire system near each castle, and even unite in the struggle against the enemy. The signal fire system was constructed mostly in coastal areas where Japan frequently attacked. This had remained until King Sejong and was repaired with some advancement.
      This study also emphasizes the defense mechanism. The nation's defense mechanism was mainly a small castle functioning as a watch place and a shelter. Although no precedent inspection on it, thus no specific information on its locations, was given, the small fortress are considered to be located near signal fires, mostly on small hills. This is based on the fact from 'the history of Goryeo' that signal fires were built near fortresses.
      Types of geographical position of fortresses in Gangwon eastern region include Peak-banding style, a valley-surrounding style, and land level style, and the peak-banding style was the most common. And they functioned as stronghold fortresses and coastal shelter castles. Their construction methods include masonry, dirt, and mixed ones, all of which were sometimes used to build one castle. This is because the fortresses had been repaired and reconstructed since their first construction.
      Given the scale and frequency of East Jurchen and Japanese pirates on the eastern region, it mostly suffered on a small scale, but Goryeo government still prepared its protection. Marine defense system was constructed in coastal areas and along invasion routes, and by this, the government managed to watch and protect the areas and to respond quickly from the capital by activating signal fires. Small shelter castles near the ocean were generally built with dirt or dirt mixed with stones, making it quick and less costly to build them. And 'opus incertum' as one of the masonry method was commonly used to build fortresses with mountain stones found around the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고려시대 東界의 군사체계와 外賊의 침입 6
      • 1. 동계지역의 군사방어체계와 변화 6
      • 2. 東女眞의 侵入 10
      • 3. 倭寇의 侵入 15
      • I. 서론 1
      • II. 고려시대 東界의 군사체계와 外賊의 침입 6
      • 1. 동계지역의 군사방어체계와 변화 6
      • 2. 東女眞의 侵入 10
      • 3. 倭寇의 侵入 15
      • III. 영동지역의 海防遺蹟 21
      • 1. 城郭遺蹟 21
      • 2. 烽燧 47
      • 3. 戍 53
      • IV. 영동지역 海防遺蹟의 특징 56
      • 1. 입지상의 특징 56
      • 2. 기능상의 특징 57
      • 3. 축성법상의 특징 60
      • 4. 유물분석 61
      • Ⅴ. 결론 64
      • 參考文獻 67
      • Abstract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