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江原地方 高麗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Koryo Plain Roofing tile excavated from Kangwon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7864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미술사전공 2003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0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ⅶ, 145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42-145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평기와는 지붕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資材로, 木造建物址 내에서 출토되는 다른 유물에 비하여 수적인 면에 있어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출토상태에 있어서도 비교적 ...

      평기와는 지붕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資材로, 木造建物址 내에서 출토되는 다른 유물에 비하여 수적인 면에 있어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출토상태에 있어서도 비교적 변질이 적은 상태로 남게 되어, 유적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그 내·외면에는 제작과정에서 비롯된 흔적들이 잘 남아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와의 기능적 변화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高麗時代에 이르면 평기와의 제작방식이 定型化되면서, 이전 시기에 비해 시대 구분의 근거를 제시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보다 세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그 변화요소를 도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는 층위의 선후관계와 맞물릴 때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글에서는 江原地方에 위치하는 5곳의 건물지 유적(嶺東地域-襄陽 陳田寺址·江陵 屈山寺址·江陵 官衙址 / 嶺西地域-原州 法泉四肢·寧越 興寧寺址) 內 10개의 層位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평기와를 대상으로, 유적별 각 층위에 대해 각각의 時期로 한정시켜 이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기준은 평기와의 規格과 等級에 의거한 計量的 屬性·紋樣의 種類와 構成에 따른 樣式的 屬性·製作過程에서 비롯된 製作技術的 屬性에 두었으며, 그 결과에 따른 속성의 형식분류를 통해 고려시대 평기와의 변천과정을 크게 3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Ⅰ段階(9C후반~10C후반)는 진전사지 1期·관아지 1期·법천사지 1期와 같이 해당유적의 初層 내지는 下部層에서 출토된 평기와가 해당된다. 이 단계의 기와는 統一新羅時代 제작기법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지붕의 시공시 요구되어지는 여러 가지 기능적 사항들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는 시기이다.
      Ⅱ段階(11C전반~13C전반)에 속하는 평기와는 진전사지 2期·굴산사지·법천사지 2期·흥녕사지 1期에서 출토된 것이다. 이 단계에는 보다 다양하고 규칙적인 規格을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선별사용하는 한편, 세부적인 수작업을 요하였던 부분들은 점차 퇴화되고 기능적인 부분들은 보다 간략화된 작업만으로도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제작기법상의 발달을 보이고 있다.
      Ⅲ段階(13C 중반 이후)에 이르면 규격의 등급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융통성있는 조절이 이루어지며, 간략화되었던 세부 요소마저도 퇴화되거나 약식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평기와의 변천과정은 당시 건축의 造營 및 여타 자재의 관리방식과 마찬가지로 기와의 제작 역시 ‘규격’과 같은 부분에 있어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보편적인 규정을 통해 관리되었으며, 제작기법 및 지붕 시공에 대한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간소화된 제작과정을 통해 경제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반영해 주고 있다. 즉, 기존에 고려시대 평기와의 특징으로 규정되었던 정형화의 모습은 약식화된 제작기법 내에서도 충분히 기능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적 발전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강원지역 고려시대 평기와를 관찰·분석한 결과, 고려시대 기와가 지니는 보편적인 기능성과 함께 嶺東·嶺西로 나뉘어지는 자연지리적 위치에 따른 특수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양 지역의 차이는 주로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문양과 그 공통적 사용을 통해 확인되는 일련의 양식체계를 통해 부곽되며, 이는 강릉·양양·속초를 중심으로 수급권역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즉, 고려시대 평기와는 기능성의 향상과 더불어 그에 따른 규정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형화된 틀을 갖추고 있으나 제작과 수급에 따른 일정 권역 내에서는 그 문화양상에 따라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in roofing tile is the fundamental in construction of wood that accomplish roof. When we examines closely characterristic of relics, the plain roofing tile is important data because it is occupying overwhelming position numerical aspect more th...

      The plain roofing tile is the fundamental in construction of wood that accomplish roof. When we examines closely characterristic of relics, the plain roofing tile is important data because it is occupying overwhelming position numerical aspect more than other inheritances which have been excavated in wooden building site and when it was excavated, Its change is stable. And the roofing tile shows well its functional change in time current, flowing of time because the traces of technical development that are started at manufacture process remain well in its inside and outside.
      It is general opinion that presenting basis of periodization of the Flat plain roofing tile because manufacture system is standardized in the Koryo Dynasty. So I think that we must draw the changing element through more minute observation and analysis and that to draw the changing elemenis is more effective if it agrees from the first to the last relation of stratigraphy is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investig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arget is the plain roofing tile of the Koryo dynasty excavated in 5 places(the site of Jinjeon-sa Temple in Yangyang, the site of Gulsan-sa Temple in Gangneung, the site of Gwana in Gangneung, the site of Beopcheon-sa Temple in Wonju and the site of Heungnyeong-sa Temple in Youngwol.) in Gangwondo province and the stratigraphy is limited by each time.
      Analysis standards are formal attribute by standard and grade, measuring attribute by kind and composition of pattern and manufacture technological attribute that is started at manufacture process. And three stage are divided through form classification by this.
      The first stage (the late 9th century ~ the late 10th century) includes plain roofing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Jinjeon-sa Temple of the first period, the site of Gwana of the first period and Beopcheon of the first period. Roofing tiles in this stage inherited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attempted various methods in relation to different functions necessary for constructing roofs.
      The second stage (the early 11th century ~ the early 13th century) includes plain roofing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Jinjeo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the site of Gulsa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the site of Beopcheo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and the site of Heungnyeong-sa Temple of the first period. In the second stage, various standard sizes were set and roofing tiles were used selectively according to need, but functional parts were simplified.
      In the third stage (the late 13th century), the number of sizes was reduced while roofing times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need. In addition, it appears that detailed finishing work was degenerating. This suggests that it became sufficient to manufacture roofing tiles and construct roofs only with work processes simplified to the minimum.
      That is, the typified characteristics of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must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echnical development that attained functional effects only with simplified manufacturing methods. What is more, as effective rules were applied in constructing buildings and managing materials in those days, roofing tiles must have been manufactured under more efficient and standardized rules, which in turn promoted the improvement of roofing tiles as well as mass production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In the trend,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manufacturing tiles and constructing roofs must have played critical roles, an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and regul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over the handicraft industry were applied extensive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bserving and analyzing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found in Gangwon-do, they had functionality common in Koryo roofing tiles as well as peculiarity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vis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mountain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as were usually remarkable by the characteristic patters and a series of styles appearing in roofing tiles of the east area, and these characteristics become important leads on the supply-demand zone centering on Gangneung, Yangyang and Sokcho.
      Owing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ity and accompanying regulations,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had a standardized frame aiming at efficient manufacturing, but within a specific supply-demand zone they reflecte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according to its cultural pattern.
      This may suggest a good example showing that the factor 'functionality' is standardized under a series of rules through mass production while the general application of products creates various aspects in manufacturing pract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圖面目次 = ⅳ
      • 寫眞目次 = ⅴ
      • 表目次 = ⅴ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圖面目次 = ⅳ
      • 寫眞目次 = ⅴ
      • 表目次 = ⅴ
      • Ⅰ. 序論 = 1
      • Ⅱ. 江原地方 出土 평기와 분석 = 6
      • 1. 分析基準 = 8
      • 2. 嶺東地域 出土 평기와 = 27
      • 3. 嶺西地域 出土 평기와 = 64
      • Ⅲ. 型式分類 및 編年 = 85
      • 1. 型式分類 = 86
      • 2. 變遷段階 및 編年 = 95
      • Ⅳ. 평기와 製作의 變遷 및 特徵 = 112
      • 1. 製作의 變遷 = 112
      • 2. 江原地方 出土 평기와의 특징 = 132
      • Ⅴ. 結語 = 138
      • 參考文獻 = 142
      • Abstract = 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