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근대이후 유교식 상례의 변화 연구 : 국가정책과 의례규범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35051

      • 저자
      • 발행사항

        안동 : 안동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안동대학교 대학원 , 민속학과 민속학전공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88 판사항(6)

      • DDC

        39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273 p. (일부접지)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한양명
        권말부록: <의례준칙>, 조선총독부 등
        참고문헌: p. 231-237

      • 소장기관
        •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Korea transitioned from a premodern to a contemporary society in a short period of 100 years. Funeral rites, a ceremony for the dead, also reflect this transition and have changed from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and modern funeral rit...

      Abstract

      Korea transitioned from a premodern to a contemporary society in a short period of 100 years. Funeral rites, a ceremony for the dead, also reflect this transition and have changed from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and modern funeral rites to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Amid this change, modern funeral rites were alienated from discussions, as those who practiced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widespread since the 1990s) focused on continuing traditional culture through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Meanwhile, researchers noted the continuation and change in Confucian funeral rites. To fully understand funeral ceremonies as a cultural phenomenon reflecting sociocultur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modern funeral rites, which formed the intermediate phase in the transition from premodern funeral rites to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Due to this missing link, it has not been possible to properly capture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funeral rites continuing “from premodern to modern to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changes in Koreans’ perception of, and ceremonies relating to, deat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Changes in funeral rites were divided by historical period. The premodern funeral rite period was set before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en Confucian funeral rites were common across the country. The modern funeral rite period began with the Japanese colonial rule’s Ritual standards and continued until 1999, when the state controlled rites. The contemporary funeral ceremony period was set as a period from the 2000s. It was controlled by rite power along with the emergence of rite capital and growing commercialization of rites.
      Regarding changes in funeral rites by historical period, an analysis of the procedure and structure of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in Ritual Motif demonstrated that funeral rites were centered on the dead and separated between the “preparation and transition phases” and “performance and integration phases.” The structure of funeral rites can be divided by the sequence of “dying, coffining, end of sobbing and memorial rites,” which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performing a ceremony for the dead. With three days of preparation and transition after death, a funeral marks the first phase of death through coffining (殯). The three months for the preparation period of burial are regarded as the second phase of death after burial via the end of sobbing and the transition into ancestral rite procedures. Last, preparation and transition for a three-year mourning period lead to a multi-layered structure completed by the third phase of death, in which the funeral rite ends with a memorial rite (吉祭), and the body is laid in the ancestral shrine through the rite procedure. The above suggests that Confucian funeral rites represent the dead-centered rituals via symbols and are completed by the phase-by-phase rite structure.
      Modern funeral rites began as part of a rural development movement, which was initiated to overcome a collapse of Joseon’s rural economy caused by the Great Depression. Japanese colonial rule brought forth and expanded the simplification of rites through Rite Rules and kick-started modern funeral rites. Under the war mobilization regime in 1941, Improved Funeral Ceremony Standards were implemented by the All-out National Joseon Alliance, further tightening control on rites. From 1955 to 1963 after liberation, rite control was instituted as each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established rite rules, including the Ministry of Welfare and Society’s Rite Conventions, the Reconstruction Public Movement Center’s Standard Rites, and the Ministry of Cultural Education’s Public Protocol Standards. The Park Chung-hee regime, which strenuously pushed for industrialization through “our country’s modernization,” implemented the Family Ritual standards to solve economic problems by educating the public and simplifying rites and completed modern funeral rites.
      Modern funeral rites continued for a long time since the introduction of Ritual standard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they weakened with the Healthy Family Ritual standards in 1999. Modern funeral rites indicated that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destroyed household economies through complex pointless formalitie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ew standards that would allow people to perform funeral rites simply and respectfully, and that were deployed under the logic of state control.
      Modern funeral rites, which had lost their momentum after the court found them unconstitutional in 1998, transitioned into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as commercial activities strengthened. The period for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can be set as after the 2000s, when rite capital replaced state power and fully emerged for rite control. However, funeral homes, which are arguably the center of rite capital, appeared from the 1970s owing to industrialization, and funeral service providers also emerged and grew in the early 1980s. They all developed throughout the modern funeral rite period. Rite capital has grown amid this change and has been leading changes of funeral rites as a major force in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since the 2000s as the commercialization of funeral rites gained full momentum. The advent of funeral homes, which brought changes in funeral rite spaces, is an event that symbolically demonstrates that death rituals in Korea have changed from a collective death culture to an individualistic one. Additionally, funeral service providers, which have grown by commercializing rites, have turned the public (who were once participants in funeral rites) into consumers who purchase products and are subordinated under rite capital. Rite capital, represented by funeral homes and funeral service providers, tried to use funeral rites as a means to maximize profit. Consequently, contemporary Koreans perceive death and funerals as commercialized death, a commercial product, unlike traditional society. It was found that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structure continues modern funeral rite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premodern funeral rites, and has been reduced as they separate themselves from funeral facility rites concerning spatial limitations. Thus, we confirmed that changes in death rituals in Korean society were understood as a cultural phenomenon that continued from premodern Confucian funeral rites to modern funeral rites to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and modern funeral rites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is process.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which try to be understood as a continuation of traditional culture, continue modern funeral rites, not traditional ones. They allow funeral directors to perform a commercialized modern funeral rite procedure.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reinforce control through the approach of commercial use, unlike modern funeral rites. From this change, Koreans’ death and funeral rituals persist and change within the new cultural framework of contemporary funeral ceremon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는 불과 100여 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전근대사회로부터 현대사회에 이르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죽음의례인 상례 역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전근대기 유교상례로부터 근대상례를...

      한국사회는 불과 100여 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전근대사회로부터 현대사회에 이르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죽음의례인 상례 역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전근대기 유교상례로부터 근대상례를 거쳐 현대장례에 이르는 변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가운데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한 현대장례의 수행자들은 전근대기 유교상례를 통한 전통문화계승에 집중하였고, 연구자들은 유교상례의 지속과 변화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상례를 논의의 대상에서 소외시켰다. 그런데 사회문화적 변화를 수렴한 문화현상으로 죽음의례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전근대기 유교상례와 현대장례를 매개하는 근대상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에 대한 논의가 미흡했기 때문에 ‘전근대–근대–현대’로 이어지는 상례의 통시적 전개과정을 제대로 포착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례의 시대구분을 통해 의례구조를 분석하고, 시기별 제도의 특성과 실천적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상례의 시대별 변화양상은 의례의 통제라는 관점에서 일제강점기이전까지를 유교상례가 유지되었던 전근대적 유교상례시기로, 일제강점기 <의례준칙>이 등장한 이후 1999년까지를 국가권력에 의해 의례가 통제되었던 근대상례시기로 구분하였다. 현대장례기는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의례자본을 통해 상업화가 심화되면서 의례권력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시기로 구분하였다.
      각 시대별 상례의 구조와 절차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전근대 유교상례는 의례소 분석을 진행하였다. 유교상례는 ‘준비 및 전이기’와 ‘실행 및 통합기’로 구성되었으며, 전환점을 이루는 ‘임종·빈·졸곡·길제’를 중심으로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죽음으로부터 3일간 준비 및 전이기를 거치고 빈(殯)을 통해서 죽음으로 진입한다. 죽음에 이르면, 3개월에 걸쳐 준비 및 전이기를 통해 매장과 졸곡을 거치면서 상중 제례 단계로 통합된다. 마지막 단계로 삼 년간 진행되는 상례기간은 조상신으로 사당에 좌정하기 위한 준비 및 전이기가 되며 길제(吉祭)를 통해 최종단계의 죽음으로 통합된다. 이러한 유교상례의 전환적 의례절차를 중심으로 한 중층의 의례구조는 상징적인 행위를 단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고인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이념의 실천을 강조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유교식 상례가 국가의 통제를 받으면서 근대상례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세계 경제대공황으로 촉발되어 조선 농촌경제가 붕괴위기에 이르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촌진흥운동이 추진되었고, 그 일환으로 상례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계몽주의자들에 의해 제기된 의례간소화와 일제가 제정한 <의례준칙>은 유교식 상례를 대체하여 통제수단으로 이용되면서 본격적인 근대상례가 실천되었다. 이후 전시동원체제하에서 ‘국민총력조선연맹’을 통해 1941년 <개선장례기준>발표하여 통제를 강화하였다.
      해방 이후 의례규범의 제정을 위한 논의는 민간을 통해 먼저 시작되어 1955년 혼상제의례준칙제정위원회에서 <의례규범>을 제정하였다. 이어 정부주도로 추진되면서 1957년 보건사회부는 <의례규범>을, 1961년 재건국민운동본부의 <표준의례>와 1963년 문교부의 <국민예절기준> 등이 연이어 발표되어 국가가 의례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의례규범류들은 박정희 정권의 <가정의례준칙>으로 통합되었고 ‘조국 근대화’의 기치 아래, 국민교화와 의례간소화는 국민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국가권력에 의한 상례의 통제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1999년 <건전가정의례준칙>으로 통제력이 약화 될 때까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근대상례는 전근대기의 유교상례가 유교식 상례로 변질되는 과정에서, 유교식 상례를 가정경제 파탄과 국가발전을 막는 원인으로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간편하고 정중하게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상례의 표준으로 제시되었다. 그 결과 상례의 기간이 3~5일로 단축되었고, 많은 절차들이 통합·축소·왜곡·변형되었다.
      현대장례는 1998년 위헌 판결로 쇠퇴한 근대상례를 대체하였다. 공동체를 통해 이루어지던 유교식 상례는 장례식장과 상조기업을 중심으로 한 상례진행공간의 변화와 상례의 상품화를 통해 현대장례로 변화되었다. 현대장례는 의례자본화 되면서 2000년대 이후 국가권력을 대신하여 상례를 통제하면서 상업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상례가 장례식장에서 장례로 변화하게 되자, 산 자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태도는 공동체적 대응에서 개인적 문제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상조기업은 개인적 문제로 전환된 죽음을 상품화하여, 상례의례의 수행자였던 상주와 복친들을 상례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로 전락시켰다. 그 결과 죽음에 대한 의례는 상례에서 장례로 변화되었고, 구조는 장례식장 의례와 장사시설의례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전근대사회의 유교상례는 약식으로 변형된 유교식 상례로 바뀌었다가, 국가권력에 의한 통제수단이었던 근대상례로, 간소화된 근대상례를 상품화한 현대장례로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유교상례의 전형이 고려되지 않고 약식으로 변형된 유교식 상례를 전통으로 인식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또한 상례는 전근대사회에서 사회규범으로서 통제되었으나, 근대사회에서는 국가에 의한 의례권력에 의해, 현대사회에서는 의례자본의 상업화에 의해 통제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처럼 한국인의 죽음의례에 대한 논의는 전근대 유교상례로부터 근대상례와 현대장례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변화과정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결국, 한국의 상례문화는 사회구조의 변화와 주체의 요구에 따라 절차를 생략하거나 새로운 절차를 만들면서 변화와 지속의 과정을 이어가고 있다.

      주제어 : 상례, 의례소, 근대상례, <의례준칙>, <가정의례준칙>, <건전가정의례준칙>, 현대장례, 장례식장, 상조기업, 의례자본, 의례권력, 지속과 변화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3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7
      • Ⅱ. 유교상례의 절차와 구조 11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3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7
      • Ⅱ. 유교상례의 절차와 구조 11
      • 1. 전근대상례의 이해 11
      • 2. ‘의례소’를 통한 구조분석 13
      • Ⅲ. 유교상례의 변화와 일본의 영향 32
      • 1. 근대 초기에 시작된 의례의 변화 32
      • 2. 1920년대 상례에 미친 일본장례의 영향 50
      • Ⅳ. 근대상례의 등장과 의례통제 68
      • 1. 의례간소화와 근대상례로의 변화 68
      • 2. <의례준칙>과 근대상례의 출현 79
      • Ⅴ. 의례규범의 혼란과 재구성 106
      • 1. 1950년대 : 의례 규범류의 난립 106
      • 2. 1960년대 : <표준의례>의 제정과 통제의 강화 124
      • Ⅵ. 국가 통제의 강화와 변화 139
      • 1. <가정의례준칙>과 근대상례의 단일화 139
      • 2. 의례통제의 약화와 ‘장례’의 등장 147
      • 3. 민간의례에 반영된 <의례규범>의 양상 154
      • Ⅶ. 의례산업의 확대와 현대장례의 전개 177
      • 1. 자본의 개입과 의례의 상품화 177
      • 2. 상품화된 의례의 확산 183
      • Ⅷ. 전통의 창출과 유교상례의 변화 201
      • 1. 전통창출의 배경 201
      • 2. 상례의 지속과 변화 212
      • Ⅸ. 결 론 227
      • 참 고 문 헌 231
      • 부 록 238
      • 1) <의례준칙>, 조선총독부 238
      • 2) <개선장례기준>, 국민총력조선연맹 241
      • 3) <의례규범>, 혼상제례준칙제정위원회 244
      • 4) <의례규범>, 보건사회부/전시생활개선위원회위원장 246
      • 5) <표준의례>, 󰡔한글해석 혼상제례절요󰡕 부록, 의례보급회 248
      • 6) <표준의례>, 재건국민운동본부 250
      • 7) <국민예절기준>, 문교부 252
      • 8) <가정의례준칙>, 대통령고시 15호(1969) 257
      • 9) <가정의례준칙>, 대통령고시 6680호(1973) 261
      • 10) <건전가정의례준칙>, 대통령령 제16544호(1999) 263
      • 11) <건전가정의례준칙>, 대통령령 제21083호(2008) 265
      • 12) <건전가정의례준칙>, 대통령령 제26774호(2015) 267
      • Abstract 26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대한민국정부, "「담화문」", 􋺷관보􋺸 제5188호, 1969

      2 柳建春, "􋺷가정보감􋺸", 翰林社, 1963

      3 안명선, "􋺷의례대전􋺸", 성문각, 1952

      4 이 한, "􋺷현대의례􋺸", 청구출판사, 1958

      5 우스다 잔운, "􋺷암흑의 조선􋺸", 일한서방, 1908

      6 學園社, "􋺷家庭生活百科􋺸", 대양출판사, 1976

      7 백조사 편집위,, "􋺷가정백과사전􋺸", 백조사, 1953

      8 김정명, "􋺷조선독립운동􋺸", 1926

      9 여문사편집부, "􋺷現代 家庭百科􋺸", 여문사, 1973

      10 家事向上硏究會, "􋺷가정 백사 보감􋺸", 兒童文化社, 1961

      1 대한민국정부, "「담화문」", 􋺷관보􋺸 제5188호, 1969

      2 柳建春, "􋺷가정보감􋺸", 翰林社, 1963

      3 안명선, "􋺷의례대전􋺸", 성문각, 1952

      4 이 한, "􋺷현대의례􋺸", 청구출판사, 1958

      5 우스다 잔운, "􋺷암흑의 조선􋺸", 일한서방, 1908

      6 學園社, "􋺷家庭生活百科􋺸", 대양출판사, 1976

      7 백조사 편집위,, "􋺷가정백과사전􋺸", 백조사, 1953

      8 김정명, "􋺷조선독립운동􋺸", 1926

      9 여문사편집부, "􋺷現代 家庭百科􋺸", 여문사, 1973

      10 家事向上硏究會, "􋺷가정 백사 보감􋺸", 兒童文化社, 1961

      11 張道斌, "「우리 改造의 一斑」", 한성도서, 􋺷서울, 서울社 제 3호􋺸, 1920

      12 한국일어일문학회, "􋺷게다도 짝이 있다􋺸", 글로세움, 2010

      13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14 삼성사편집위, "􋺷최신가정백과보감􋺸", 삼성사, 1953

      15 의례간행편집회, "􋺷신구 가정의례백과􋺸", 청암출판사, 1987

      16 장석만, "「한국 의례담론의 형성」", 역사비평사, 􋺷근대를 다시 읽는다􋺸, 2006

      17 民衆書閣 編輯部, "􋺷현대가정대백과사전􋺸", 민중서각, 1991

      18 총무처, "「전시국민생활실천요강」", 􋺷제34차 차관회의록􋺸, (국가기록원, BA0085309), 1951

      19 가정백과편찬위원회, "􋺷컬러판 가정백과사전􋺸", 한영출판사, 1975

      20 韓國生活文化硏究會, "􋺷현대 가정대백과사전􋺸", 三省社, 1975

      21 김사달, 조풍연, 유진오, "􋺷현대 가정백과대사전􋺸", 대영출판사, 1975

      22 총무처, "􋺷1972년도 공통과목 교재』", 성진문화사,, 1972

      23 H.A.알렌, "신복룡 역, 􋺷조선견문기􋺸", 집문당, 2015

      24 이마무라 토모, "홍양희 역, 􋺷조선풍속집􋺸", 민속원, 2011

      25 국민총력조선연맹, "「개선장례기준제정의 취지」", 조선일보출판사, 􋺷조광􋺸, 1941

      26 新谷尙紀, "「일본의 죽음과 장송의 민속」", 서울: 서울대 종교문제연구 소, 􋺷종교와 문화􋺸14, 2008

      27 H.B.헐버트, "신복룡 역,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2015

      28 W.E. 그리피스, "신복룡 역,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2015

      29 우가키 카즈시게, "「도지사회의에 있어서 총독훈시」", 조선총독부, 􋺷연설집􋺸, 1931

      30 우가키 카즈시게, "「도지사회의에 있어서 총독훈시」", 조선총독부, 􋺷연설집􋺸, 1932

      31 마쓰오 겐지, "김호성 옮김, 􋺷인물로 보는 불교사􋺸",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5

      32 I.B. 비숍, "신복룡 역,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집문당, 2017

      33 우가키 카즈시게, "조선총독부 학무국사회과편, , 「유고」", 􋺷의례준칙􋺸, 1934

      34 양영환,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촌진흥운동」", 􋺷숭실사학􋺸6,, 1926

      35 A.H.새비지, "신복룡 역,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집문당, 2013

      36 이에나가 사부로(家永三郎), "연구공간 ‘수유+너머’일본근대사상팀 옮김", 소명출판, 􋺷근대일본사 상사􋺸, 2006

      37 이용만, "「일제강점기에 전북농업구조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논총』4, 1996

      38 우원총독, "「농촌진흥운동 지도주임자타합회 연설요지」", 조선총독부, 1934

      39 장석만, "「병원의 장례식장화와 그 사회적 맥락 및 효과」", 한국종교 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16, 2009

      40 아이쿠라 하루타케, "􋺷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120가지 이야기􋺸, 허인순 외 옮김", (서울: 어문학사, 2010

      41 박 건, "「장례지도사 국가자격증 제도의 시행에 따른 전망 및 발전방향」", 한국보건복지연구원, 􋺷보건복지 이 슈&포커스􋺸144,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