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연변성악예술 연구 = A study of Yanbian vocal Music focusd on musical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82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124 p. : 삽도,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정원
        권두 국문초록,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117-12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은 이주민으로서, 다른 지역의 한민족과 차별되는 역사, 문화,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중국조선족은 그들만의 독특한 이민사와 문화사, 예술사를 갖고 ...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은 이주민으로서, 다른 지역의 한민족과 차별되는 역사, 문화,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중국조선족은 그들만의 독특한 이민사와 문화사, 예술사를 갖고 있고, 음식, 생활습관, 문화예술 면에서 혼종성(hybridity)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혼종성을 띄는 연변성악예술의 정체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중국조선족 이민사를 비롯한 연변조선족 역사 및 예술사, 그리고 정체성에 관한 탈식민주의, 양가성과 혼종성, 디아스포라 등을 살펴보면서 성악예술이 다양하게 발전하게 된 이유들을 살펴보았다.
      연변조선족은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여러 시대를 거쳐 오면서 자신의 문화를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였지만, 그들의 의식형태에는 일본음악, 중국음악, 북한음악 및 한국음악들을 잠재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성악작품들은 대중적인 경향이 강하며 경쾌하고, 민족적 리듬과 색채로 인하여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전문성이 부족하고 단순한 멜로디와 간결한 반주가 동반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성악의 발성법에서도 새로운 정체성이 나타나는데, 벨칸토, 판소리, 경·서도 민요의 기본 발성체계를 이용하면서도 자신들만의 음악예술 속에 융합시켰다. 또한 선율과 발성은 전통적인 예술색채를 따르지만, 서양이론에서 차용한 화성진행의 반주와 동기발전을 사용하였다. 벨칸토 발성 및 기타발성들이 유입되면서 맑고 부드러운 발성위주로 독자적인 발전을 지향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연변성악예술은 복합적인 예술문화 속에서 혼종성을 띄고 있지만, 대중성을 기반으로 한 독자적인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하지만 향후 진일보의 발전을 위하여, 그동안 연변성악예술이 추구해왔던 한글가사(딕션)로 된 대중적인 멜로디의 성악곡 보다는, 전문성악인들을 위한 다양한 언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창작되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림 및 표 목차 ⅲ
      • 악보목차 ⅳ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Ⅱ. 본론 5
      • 그림 및 표 목차 ⅲ
      • 악보목차 ⅳ
      • 국문초록 ⅴ
      • Ⅰ. 서론 1
      • Ⅱ. 본론 5
      • 1. 조선족의 역사 5
      • 2. 정체성의 개념 19
      • ⑴ 탈식민주의 22
      • ⑵ 양가성과 혼종성 25
      • ⑶ 디아스포라 31
      • 3. 연변조선족 음악예술 35
      • ⑴ 1945년 이전 39
      • ⑵ 1945~1949년 50
      • ⑶ 1949~1966년 56
      • ⑷ 1966~1976년 65
      • ⑸ 1976~2000년 71
      • 4. 조선족 음악예술에 영향을 준 다양한 음악 90
      • ⑴ 서양음악 90
      • ⑵ 일본음악 93
      • ⑶ 북한음악 95
      • ⑷ 중국음악 96
      • ⑸ 한국음악 97
      • 5. 연변성악예술 100
      • ⑴ 벨칸토 발성 101
      • ⑵ 북한 주체발성과 신민요 발성 104
      • ⑶ 경·서도민요 및 연변민요 발성 108
      • ⑷ 연변식 판소리 발성 110
      • Ⅲ. 결론 115
      • 참고문헌 117
      • Abstract 1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見田 宗介, "사회학사전", 홍문당, 사회문화연구소출판부, 2000

      2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3 이진경, "『노마디즘Ⅰ』", 휴머니스트, 2002

      4 김정일, "『음악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편사조편, "『조선족간사』",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1986

      6 박형섭, "『조선민족악기』", 문학예술종합출판사,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7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예술교육출판사, 조선예술교육출판사, 1989

      8 손춘일, "『조선족이민사』", 중화서국, 2009

      9 권오성, "『한국전통음악』", 민속원, 2016

      10 김승철, 남희철, "『우리 노래 50년』", 연변인민출판사, 2008

      1 見田 宗介, "사회학사전", 홍문당, 사회문화연구소출판부, 2000

      2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3 이진경, "『노마디즘Ⅰ』", 휴머니스트, 2002

      4 김정일, "『음악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편사조편, "『조선족간사』",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1986

      6 박형섭, "『조선민족악기』", 문학예술종합출판사,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7 한영애, "『조선장단연구』", 예술교육출판사, 조선예술교육출판사, 1989

      8 손춘일, "『조선족이민사』", 중화서국, 2009

      9 권오성, "『한국전통음악』", 민속원, 2016

      10 김승철, 남희철, "『우리 노래 50년』", 연변인민출판사, 2008

      11 권택영, 라캉, "엮음,『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1994

      12 서경식, "『디아스포라기행』", 돌베개, 2008

      13 김산덕, 김창호, 김종국, 김삼진, "“3지대의 문예활동”", 『중국조선족문화활동』, 민족출판사, 1993

      14 황룡육, "『계몽기가요선곡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5 임범송, "『중국조선족예술론』", 료녕출판사, 1991

      16 김창근, "『연변방송가요 700수』", 연변인민출판사, 2007

      17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18 장익선, "『조선족음악연주이론』", 민족출판사, 2016

      19 김철수, "『중국조선족력사상식』", 연변인민출판사, 연변인민출판사, 1998

      20 백대웅, "『한국전통음악분석론』", 어울림, 2003

      21 남희철, "『중국조선족 음악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016

      22 김종국, "『중국조선족사 연구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23 김덕균, "“중국조선민족음악개관”", 『예술론문집』,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5

      24 신옥분, "『연변성악의 성 음 연구』", 채륜, 채륜, 2012

      25 신옥분, "『조선민족예술가곡해석』", 중국문련출판사, 2013

      26 김강일, "“중국조선족 사회지위론”", 『중국조선족 사회와 문화우세와 발전 전략』, 연변인민출판사, 2001

      27 설용수, "『재중동포 조선족 이야기』", 미래문화사, 미래문화사, 2004

      28 주성화, "『중국조선인 이주 사진첩』",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2009

      29 고부응, "『탈식민주의-이론과 쟁점』", 문학과 지성사, 2004

      30 전병칠, "『20세기 중국조선족 10대 사건』", 환경공업출판사, 환경공업출판사, 1999

      31 이경분, "엔카의 정의와 기원 그리고 역사", 민족음악학회, 『음악과민족』, 민족음악학회, 2016

      32 이규태, "“중국조선족 사회의 형성과정”",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10호, 재외한인학회, 2001

      33 이광일, "『해방 후 조선족소설문학연구』", 경인문화사, 2003

      34 최옥화, "『해방 전 중국조선족 가요연구』",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2016

      35 김덕균, "“중국조선민족음악풍격의 흐름”", 『중국조선족문학연구』, 연변대학출판 사, 1993

      36 장춘식, "『해방 전 조선족 이민소설 연구』", 민족출판사, 민족출판사, 2004

      37 이화, 허명철, "『조선족사회의 변동과 가족생활』", 한국학술정보, 2015

      38 김승찬, "『중국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학교출판부, 부산대학교출판부, 1997

      39 현룡순, "리정문, 허룡구,『조선족백년사화』", 료녕인민출판사, 1985

      40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현암사, 2003

      41 최순덕, "『중국조선족 문화대사기⑶-예술사』", 민족출판사, 1995

      42 김남호, "『중국조선족 전통음악 대중음악론』", 민속원, 민속원, 2010

      43 지그문트, "프로이트, 한승완 역,『나의 이력서』", 열린책들, 1997

      44 김춘선, "『연변지구 조선족사회의 형성 연구』", 길림인민출판사, 2001

      45 김영필,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만주 아리랑』", 소명, 소명출판, 2013

      46 이광규, "“민족 복리 우선원칙의 이론적 고찰”", 구영록, 임용순, 『한국의 통일정책』, 나남출판, 1995

      47 리훈, "“조선족 민족성악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전통음악학회, 『한국전통음악학』, Vol.12, 2011

      48 송현호, "중국 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Ⅱ", 국학자료원, 국학자료원, 2009

      49 임영언, 허성태,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 북코리아, 2016

      50 임채완, "『코리안 디아스포라-이주루트와 기억』", 북코리아, 2013

      51 박민철, "“코리언(Korean)의 민족정체성 비교연구”", 『도문강학술논문집』, 연길, 2012

      52 려채옥, 류상만, "“벨칸토창법이 연변에서의 발전과 미래”", 『예술세계』연변문련, 1997

      53 송현호, "『중국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Ⅰ』", 국학자료원, 2008

      54 남희풍, "“중국조선족가사문학에 대한 력사적고찰”", 『중국조선족가사문학대전』, 연변대학출판사, 2004

      55 조인복, "“강신자의 민족성악발성체계에 대한 연구”", 『예술세계』, 연변문련, 2007

      56 엄은실, "“성악발성에서의 올바른 자세와 호흡조절”", 『후두음성언어의학: 발성의 이해와 음성치료』, 제2판,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6

      57 박지혜, "“윤림호 소설의 민족의식 표출양상과 의미”", 『중국조선족 문학의 탈식민주 의 연구Ⅱ』, 국학자료원, 2009

      58 정신화, "“‘간도신문’ 및 그 음악기사에 대한 연구”", 『남북문화예술연구』, 통권 제8호, 2011

      59 김금보, 김덕균, "『연변예술학교 길림예술학원 연변분원간사』", 동북조선민족출판 사, 1997

      60 金春善, "광복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의 정착과 국내귀환",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현대사연구』, 28집, 한국근현대사학회, 2004

      61 윤의섭, "“중국조선족 시 형성 과정의 탈식민주의적 의미”", 『재외한인연구』, 21호, 재인한인학회, 2010

      62 차일즈, 피터, "패드릭 윌리엄스, 김문환 옮김,『탈식민주의 이론』", 문예출판사, 2004

      63 양옥금, "“중국연변조선족 자치주 민족관계의 형성과 발전”", 『중국조선족사회의 문화 우세와 발전전략』, 연변인민출판사, 2001

      64 장익선, "『연변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전승양상에 대한 연구』", 민속원, 2010

      65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흥빈, 홍혜경 역,『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1996

      66 윤의섭, "“1950~60년대 중국조선족 시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 『현대문학이론 연구』, 27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06

      67 강위원, "「조선족의 오늘 : 조선족 문화에 대한 영상인류학적 기록」", 신유, 신유, 2002

      68 최성룡, "『경 서도민요 비교연구-한국, 조선,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연변인민출판 사, 2014

      69 박종성, "『탈식민주의 대한 성찰: 푸코, 파농, 상리드, 바바, 스피박』", 살림, 2006

      70 고부응, "『초민족 시대의 민족 정체성 –식민주의 탈식민 이론 민족』",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 사, 2002

      71 유영민, "“디아스포라 음악과 정체성 –재일 조선인 음악을 중심으로”", 『낭만음악』, 21(4), 낭만음악사, 2009

      72 조은주,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탈식민주의 시학-만주를 유랑하는 시』", 국학자료원, 국학자료 원, 2015

      73 신호, "“20세기 중국조선족 민족음악창작 동향 연구-가곡과 가요를 중심으로”", 『한 국전통음악학』, vol.10, 2009

      74 문출성, 최강, 서영화, "“리홍광지대 창립 50돌 기념수첩”, 『동북민주련군 리홍광지대 략사』", 료녕민족출판사, 1997

      75 이진령, "“조선인에서 조선족으로: 중국 공산당의 연변지역 장악과 정체성변화(194 5~”", 『중소연구』, 제26권 3호, 한양대학교아태지역연구센타, 2002, 1949

      76 김숙진, 최재헌,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Vol.51(1), 2016

      77 안국민, "“《처녀의 노래》의 매력은 어디에 있는가-《처녀의 노래》의 음악에 대하 여”", 『우리민족의 걸출한 작곡가 정진옥』, 연변인민출판사, 2011

      78 피터, "버그, 강상우 옮김,『문화 혼종성: 뒤섞이고 유동하는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가이드』", 이음,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