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남지역 기와가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48612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인류학과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89 판사항(6)

      • DDC

        30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xi, 280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임영진
        권말부록: 전남지역 기와가마 속성표 ; 전남지역 기와가마 유구 도면
        참고문헌: p. 221-234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백제~조선시대 기와가마를 대상으로 형식 분류와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양상과 변천배경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와가마의 형식 분류와 분기 설정은 백제~통...

      본고에서는 전남지역에서 확인된 백제~조선시대 기와가마를 대상으로 형식 분류와 분기 설정을 통해 변천양상과 변천배경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와가마의 형식 분류와 분기 설정은 백제~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로 대별하여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각 형식 분류는 소성실 평면·단면형태를 1속성으로, 화구~연소실 평면·단면형태를 2속성으로 하였으며 각 형식별로 AMS와 고고지자기 결과, 출토유물의 검토를 통해 운영시기를 검토하였다. 시대별 분기는 새로운 형식의 등장과 소멸을 기준으로 백제, 통일신라 1기~3기, 고려 1기~4기, 조선 1기~4기로 설정하였다.
      기와가마의 구조 변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속성은 소성실 평면형태이다. 전남지역 기와가마 소성실 평면형태는 장타원형(Ⅰ형)→장방형(Ⅱ형)→사두형(Ⅲ형)→제형(Ⅳ형)→주형(Ⅴ형)·장제형(Ⅵ형)→세장방형(Ⅶ형)으로 변화한다. 장타원형 평면형태는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7세기 후반에 등장하는 장방형과 병행하여 사용되다가 8세기 중반에 소멸한다. 장방형은 소성실 길이가 320㎝ 이상으로 길거나 240㎝ 이하로 짧은 것으로 세분되는데 모두 10세기를 전후로 소멸한다. 사두형은 소성실 길이가 300㎝ 이하로 짧고 최대폭이 중반부, 최소폭이 후반부에 있는 형태로 8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10세기 중반에 소멸한다. 제형은 사두형이 일부 변형된 형태로 소성실 길이가 약간 길어지고 소성실 너비가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형태이다. 제형은 10세기 전반부터 사용되기 시작하며 13세기 전반을 전후한 시기에 등장하는 주형·장제형과 함께 사용되다 14세기를 전후하여 소멸한다. 주형·장제형은 제형과 유사하지만 소성실 길이가 400㎝ 이상인데 주형은 소성실 후반부가 전반부의 1/2 이상 줄어든 형태이며 장제형은 전반부부터 서서히 줄어드는 형태이다. 주형과 장제형은 17세기 중반 이전에 모두 소멸하고 15세기 중반에 등장한 세장방형이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형태로 정형화된다.
      소성실 단면은 계단이 없는 것에서 있는 것으로 변화한다. 소성실 계단은 백제~조선 전기에는 거의 설치되지 않지만 16세기 중반 이후에 본격적으로 설치된다.
      화구~연소실 평면형태는 방형(가형)→역제형(나형)→역철형(다형)으로 변화한다. 방형은 백제~11세기 전반에 사용되고, 역제형과 역철형은 7세기 후반과 10세기 전반에 각각 등장하여 조선시대까지 사용된다.
      화구~연소실 단면형태는 연소실 측벽 단으로 횡단면을, 연소실 바닥 구조로 연소실 후반부 불턱과 종단면형태로 구분된다. 연소실 측벽 단 시설은 14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17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다. 연소실 후반부 불턱은 백제시대부터 유단식(a형)과 무단식(b형)이 혼용되다가 9세기 후반 이후에는 유단식(a형)으로 정형화되는데 대체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종단면형태는 내외평탄형(1형)→외고내저형(2형)으로 변화한다. 백제시대에는 내외평탄형이고 통일신라시대에는 주로 내외평탄형이지만 외고내저형도 일부 확인된다. 그러나 12세기 후반 이후에는 내외평탄형이 사라지고 외고내저형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여러 속성별 변화를 토대로 하여 시대별 변천 내용과 변천 배경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남지역 기와가마는 소성실과 화구~연소실 형태가 연동되어 변화하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기와 생산량의 증대이다. 기와의 수요는 당대의 정치·사회·경제적 변동양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기와가마는 기와 수요의 증가에 따라 생산량 증대를 위한 구조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이다.
      백제시대는 전남지역에서 기와가마가 초현하는 시기로 기와의 본격적인 사용은 불교 유적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백제시대 조와술은 토기제작기술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와도겸업의 형태로 운영되고 기와가마의 구조 역시 토기가마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1기는 삼국 통일 이후 중앙집권체제의 구축에 수반되는 지방 행정구역 및 군사조직의 개편에 따라 국가 중심의 건축공사가 이루어져 각 치소 인근에 기와가마가 조영된다. 통일신라 2·3기는 지방 세력이 성장함에 따라 각 지방별로 수요가 발생하는데 기와가마 규모가 작아지고 사찰이나 호족세력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고려 1·2기는 관영수공업 및 소(所) 중심의 수공업체제가 확립·운영되는데 기와가마 조성에 있어서 통일신라시대 전통이 잔존하며, ‘속동징와(贖銅徵瓦)’ 기록을 통해 볼 때 민수용 기와도 제작·유통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3·4기는 장인의 이탈 및 소의 해체, 사원 세력의 성장, 외세 침입에 따른 복구 작업으로 인해 기와 수요가 증가하면서 소성실 길이 400㎝ 이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다.
      조선 1·2기는 국가기반시설인 산성·읍성, 관청·객사, 창고 등의 정비 과정에서 기와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와가마 연소실 측벽 단 시설과 세장방형 소성실 평면형태가 등장한다. 조선 3·4기는 외세 침략 및 자연재해의 피해 복구와 17세기 중반 이후 각종 유교건축물 축조 증가로 기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소성실 계단 시설이 등장하고 세장방형의 평면형태로 정형화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ⅸ
      • Ⅰ. 서론 1
      • 1. 연구사 1
      • 2. 연구 목적 및 방법 8
      • 국문초록 ⅸ
      • Ⅰ. 서론 1
      • 1. 연구사 1
      • 2. 연구 목적 및 방법 8
      • Ⅱ. 전남지역 기와가마 현황 11
      • 1. 분포 현황 11
      • 2. 유적 검토 14
      • Ⅲ. 전남지역 백제~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 33
      • 1. 형식 분류 33
      • 가. 속성 검토 33
      • 나. 형식 분류 43
      • 2. 형식별 운영시기 55
      • 3. 분기별 특징 73
      • 가. 분기 설정 73
      • 나. 분기별 특징 74
      • Ⅳ. 전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85
      • 1. 형식 분류 85
      • 가. 속성 검토 85
      • 나. 형식 분류 91
      • 2. 형식별 운영시기 101
      • 3. 분기별 특징 116
      • 가. 분기 설정 116
      • 나. 분기별 특징 117
      • Ⅴ.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 125
      • 1. 형식 분류 125
      • 가. 속성 검토 126
      • 나. 형식 분류 132
      • 2. 형식별 운영시기 143
      • 3. 분기별 특징 158
      • 가. 분기 설정 158
      • 나. 분기별 특징 159
      • Ⅵ. 전남지역 기와가마 변천 168
      • 1. 구조 변화 168
      • 가. 소성실 167
      • 나. 화구~연소실 171
      • 2. 타 지역과의 비교 검토 178
      • 가. 삼국시대 178
      • 나. 통일신라시대 181
      • 다. 고려시대 182
      • 라. 조선시대 185
      • 3. 변천 배경 189
      • 가. 백제시대 189
      • 나. 통일신라시대 192
      • 다. 고려시대 201
      • 라. 조선시대 209
      • Ⅶ. 결론 217
      • 참고문헌(References) 221
      • 영문초록(Abstract) 235
      • 부 록(Appendix) 239
      • 부록 1. 전남지역 기와가마 속성표 239
      • 부록 2. 전남지역 기와가마 유구 도면 24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철원, 최성락, 이정호, 이수진, 오량동, "가마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null

      2 김성구, "옛기와", 대원사, 1992

      3 한신, "大學校博物館", 京畿 南部의 朝鮮時代 遺蹟, 2001

      4 장흥, 최성락, "신월리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5 황의수, "조선 기와", 대원사, 1989

      6 나주, 최성락, "황동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7 박용운, "고려시대사", 일지사, 2008

      8 김병수, 한성욱, 최성락, 장흥, 용문리, 송혜영, "조선 백자요지",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9 전행욱, "「수선사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 나주, 최성락, "송월동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1 박철원, 최성락, 이정호, 이수진, 오량동, "가마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null

      2 김성구, "옛기와", 대원사, 1992

      3 한신, "大學校博物館", 京畿 南部의 朝鮮時代 遺蹟, 2001

      4 장흥, 최성락, "신월리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5 황의수, "조선 기와", 대원사, 1989

      6 나주, 최성락, "황동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7 박용운, "고려시대사", 일지사, 2008

      8 김병수, 한성욱, 최성락, 장흥, 용문리, 송혜영, "조선 백자요지",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9 전행욱, "「수선사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 나주, 최성락, "송월동유적(Ⅱ)", 목포대학교박물관, null

      11 김양옥, 백명선, 담양, 김진영, "와우리 신기유적", 전남문화재연구원, null

      12 鄭良謨, "韓國의 陶磁器", 文藝出版社, 1991

      13 손영종, 조희승, "조선수공업사 1", 백산자료원, 1990

      14 李丙燾, "역주 삼국사기下", 乙酉文化社, 1996

      15 권두규, 조규복, 임세권, "안동 정하동 유적",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16 김민정, 전명훈, 송미진, "務安 頭谷 屯田遺蹟", 全南文化財硏究院, 2012

      17 崔孟植, "百濟 평기와 新硏究", 學硏文化社, 1999

      18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 연구", 일지사, 2000

      19 김성구, 윤용희, 김종만, "청양 왕진리 가마터",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2008

      20 徐聖鎬, "「高麗前期手工業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

      21 김왕직, "조선후기 건축경제사", 한국학술정보, 2005

      22 朴宗基, "高麗時代 部曲制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23 최맹식, "삼국시대 평기와 연구", 주류성출판사, 2006

      24 김영훈, 정혜림, 정영희, "신안 압해도 학동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14

      25 李 勳, "「瓦窯의 構造形式 變遷」", 公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7

      26 朴鎭淑, "「기와가마에 關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9

      27 송대남, 정훈진, 정여선, 임영호, "龍仁 東栢里 中里遺蹟(Ⅰ)", 韓國文化財保護財團, 2005

      28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29 金貞善, "「朝鮮時代 磁器가마 構造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30 崔孟植, "「三國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3

      31 吳俊廷, "「강원지역 조선시대 와요 연구」", 고려대학교, 高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9

      32 김진영, "「고려시대 기와가마 구조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3 조규희, "「마한 백제권 철촉의 변천과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4 崔兌先,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대한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3

      35 徐賢珠, "「榮山江流域 三國時代 土器 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6

      36 朴憲敏, "「嶺南地方 瓦窯의 構造 變遷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4

      37 노범준, "「영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8 이수경, "「영산강유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9 김경미, "「전남지방 고려시대 기와가마 연구」", 한국기와학회,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0 朴鍾鎭, "「충청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韓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1

      41 嚴基日, "「泗沘期 百濟 瓦窯의 構造變化 硏究」", 公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9

      42 金泰根, "「驪州 元香寺址 出土 막새瓦의 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43 朴宗基, "「朝鮮初期의 部曲」, 國史館論叢92", 국사편찬위원회, 1997

      44 李廷珉, "「全南地域 羽狀紋 평기와의 變遷樣相」", 全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45 金鍾勳, "「皇龍寺址 出土 日暉文막새기와 硏究」", 慶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0

      46 李基峰, "「統一新羅時代 災異와 政治社會 變動」", 忠南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16

      47 유용수,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기와가마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8 조근우, "羅州 新道里 道民洞(Ⅰ) 新平(Ⅱ)遺蹟", 馬韓文化硏究院, 2014

      49 李栽明, "「경남지역 삼국~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慶尙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6

      50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51 崔仁善, "「寶城邑城에 대한 硏究」, 文化史學24", 韓國文化史學會, 2005

      52 崔英嬉, "「江原地方 高麗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檀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3

      53 金蓮玉, "「朝鮮時代의 氣候環境」, 地理學論叢14",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1987

      54 金亨瑞, "「益山 蓮洞里 遺蹟 泗沘期 기와가마 硏究」",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2016

      55 이영문, "和順 內坪里遺蹟 Ⅱ Ⅲ, 和順 廣思里遺蹟", 東北亞支石墓硏究所, 2013

      56 朴洪國, "「三國末~統一初期 新羅瓦傳에 대한 一考察」",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86

      57 金連熙, "「朝鮮時代의 氣候와 農業變動에 關한 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1997

      58 徐五善, "「韓國平瓦紋樣의 時代的 變遷에 對한 硏究」", 忠南大學校大學院 碩士 學位論文, 1985

      59 羅鍾一, "「17世紀 危機論과 韓國史」, 歷史學報94 95", 歷史學會, 1982

      60 金有植, "「月城郡 川北面의 新羅窯址」, 慶州史學3", 東國大學校 慶州大學 國史學科, 1984

      61 변영환, "「주름문병에 대한 試考」, 中央考古硏究3", 中央文化財硏究院, 2007

      62 하일식, "「昌寧 仁陽寺碑文의 硏究」, 韓國史硏究95", 韓國史硏究會, 1996

      63 이순엽, 표인주, 최인선, 조근우, "靈光 佛甲寺 觀光地區 精密地表調査 報告書", 順天大學校博物館, 2001

      64 孫豪晟, 柳智賢, "「嶺南地域 瓦窯에 관한 硏究」, 慶州史學31", 慶州史學會, 2010

      65 李仁淑, "「統一新羅~朝鮮前期 평기와 製作技法의 變遷」", 慶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66 조순제, "「고려시대 중부지방 기와가마에 대한 일고찰」",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67 金炳熙, "「安城 奉業寺址 出土 高麗前期 銘文기와 硏究」", 檀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1

      68 최병현,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嶺南考古學59", 嶺南考古學會, 2011

      69 朴方龍, "「新羅王京과 流通」,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27",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6

      70 權赫周, "「朝鮮初期 湖南地域 窯址出土 陶瓷에 대한 考察」", 圓光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6

      71 金成鎭, "「조선전기 경남지역 瓦窯 및 평기와의 전개양상」", 東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5

      72 朴銀卿, "「高麗 瓦當文樣의 編年 硏究」, 考古歷史學志4", 東亞大學校博物館, 1988

      73 鄭治泳, "「高麗~朝鮮 前期 기와의 조달 양상」, 고고학5-2", 중부고고학회, 2006

      74 朴宗基,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연구24", 한국중세사학회, 2008

      75 李海濬, "「朝鮮後期 全南書院의 門中性向」, 全南文化財6", 全羅南道, 1993

      76 이지영,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축조기술 검토」, 古文化86",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5

      77 權赫周, "「湖南地域 덤벙粉靑沙器 硏究」, 湖南文化財硏究7", 湖南文化財硏究院, 2007

      78 서창호, "「고려말 조선시대 암막새의 변천과정」, 고고학9-1", 중부고고학회, 2010

      79 황인호, "「新羅 9州5小京의 都市構造 硏究」, 中央考古硏究15", 中央文化財硏究院, 2014

      80 윤경진, "「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 역사와 현실22", 한국역사연구회, 1996

      81 이정신, "「고려시대 기와생산체제와 그 변화」, 韓國史學報29", 고려사학회, 2007

      82 유재춘, "「조선전기 축성기술의 변천 연구」, 인문과학연구5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83 崔晶惠, "「高麗時代 평기와의 編年硏究 –文樣形態를 中心으로-」", 慶星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996

      84 노경진, "「전북지역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화양상과 특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85 이 정, "「조선시대 재실의 형성과 입지특성」, 南道文化硏究27",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86 박근필, "「17세기 小氷期 氣候 연구의 현황과 과제」, 大丘史學80", 대구사학회, 2005

      87 文玉賢, "「百濟 泗沘期 기와 生産施設과 生産體制」, 文化史學38", 韓國文化史學會, 2012

      88 남호현, 우승환, "「광양읍성의 공간 구조에 관한 연구」, 호남문화연구46", 전남 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89 朱甫暾,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韓國古代史硏究51", 韓國古代史學會, 2008

      90 김재철, 김창억, "「三國時代 土器가마 調査方法論」, 발굴사례연구논문집", 한국 문화재조사연구전문기관협회, 2004

      91 장남원, "「高麗 中期 壓出陽刻 靑瓷의 性格」, 美術史學硏究242 243", 韓國 美術史學會, 2004

      92 김문기, "「17세기 中國과 朝鮮의 小氷期 氣候變動」, 역사와 경계77", 부산경 남사학회, 2010

      93 金在弘, "「新羅 統一期 專制王權의 강화와 村落支配」, 新羅文化22",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2003

      94 이지영, "「호남지방 3~6세기 토기가마의 변화양상」, 湖南考古學報30", 湖南考古學會, 2008

      95 金義滿, "「新羅 統一期 地方社會의 再編와 村主의 身分」, 新羅文化8", 東國 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1991

      96 정세영, "「서울 경기지역 기와가마의 분포와 특징 연구」, 漢江考古3", 한강문 화재연구원, 2009

      97 張日圭, "「신라 하대 서남해지역 禪僧과 후백제」, 韓國古代史硏究74", 韓國 古代史學會, 2014

      98 차인국,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야외고고학20", 한국매장 문화재협회, 2014

      99 이상준, "「한반도 반도염요의 출현과 생산체제의 변화」, 慶州史學32", 경주사학회, 2010

      100 張弼基, "「壬辰倭亂 직후 築城役 動員體系의 한 형태」, 古文書硏究25", 韓國 古文書學會, 2004

      101 권오영, "「漢城期 百濟 기와의 製作傳統과 發展의 劃期」, 百濟硏究38", 忠南大 學校百濟硏究所, 2003

      102 李鍾玟, "「고려 중기 청자제작의 확산과정과 그 배경」, 湖西考古學34", 湖西考古學會, 2016

      103 崔英姬, "「統一新羅式기와의 成立과 造瓦體制의 變化」, 嶺南考古學70", 嶺南考古學會, 2014

      104 차순철, "「신라 왕경 내 생산유적의 변화와 그 의미」, 역사문화연구52", 한국 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105 최문환, "「조선시대 기와 가마의 적재와 생산에 관한 시론」, 史學志48", 檀國史學會, 2014

      106 趙胤宰, "「公州 松山里 6號墳 名文塼 판독에 대한 管見」, 湖西考古學19", 湖西考古學會, 2008

      107 서성호, "「高麗 수공업 所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검토」, 韓國史論41 4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9

      108 崔永好, "「고려시대 사원수공업의 발전기반과 그 운영」, 國史館論叢95", 국사 편찬위원회, 2001

      109 이일갑,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文物硏究13",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110 신흥남, "「영산강유역 백제~고려시대 석실묘 연구」, 韓國上古史學報83", 韓國 上古史學會, 2014

      111 이동준, "「서울 경기지역 조선시대 와요지 연구」, 겨레문화연구창간호", 겨레 문화유산연구원, 2012

      112 崔孟植, "「統一新羅 줄무늬 및 덧띠무늬 토기병에 관한 小考」, 문화재24", 문화재관리국, 1991

      113 김민석, "「고려시대 기와가마 연구 –중부지역 출토 기와가마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4 이정민, "「전남지역 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천양상」, 韓國上古史學報97", 韓國 上古史學會, 2017

      115 尹善泰, "「新羅 中代末~下代初의 地方社會와 佛敎信仰結社」, 新羅文化26",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5

      116 조순제, "「중서부지방 고려시대 기와가마 구조의 변화양상」, 漢江考古11", 漢江文化財硏究院, 2015

      117 朴憲敏, "「영남지방 고려~조선시대 瓦窯의 구조 분류」, 嶺南文化財硏究21", 嶺南文化財硏究院, 2008

      118 최명순, "「문중별 유교건축의 건립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9 지윤미, "「울산지역의 조선시대 瓦窯 및 출토유물 비교 검토」, 東亞文化2 3", 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2007

      120 노경진, "「전북지역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화양상」, 湖南考古學報48", 湖南考古學會, 2014

      121 차인국,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 출토 평기와 연구」, 중앙고고연구22",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122 李泰鎭, "「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朝鮮王朝實錄》」, 歷史學報 149", 歷史學會, 1996

      123 林永珍, "「統一新羅 武珍都督城의 位置와 規模」, 지방사와 지방문화11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08

      124 최종석, "「조선초기 ‘邑城’ 용어 출현의 배경과 읍성의 유형」, 東方學志 13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125 이상준, "「토기가마(窯) 조사 연구 방법론」,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126 박종진, "「고려 초 지방제도의 개편과 ‘主縣屬縣制度’의 성립」, 한국문화 7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127 이병호, "「백제 도성의 수공업 생산체계 –사비기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52",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128 宋美珍, "「全南地域의 百濟 기와에 대한 硏究 -順天 劍丹山城 出土 기와를 中心으로-」", 順天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4

      129 송미진, "「호남지역 백제시대 평기와」, 호남의 기와 제12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5

      130 한혜선, "「羅末麗初 陶器扁球甁의 연원과 자기로의 번안」, 韓國中世考古學 創刊號", 韓國中世考古學會, 2017

      131 이수진,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변화에 대한 일고찰 –나주객사유적을 중심 으로-」", 목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2 申昌秀, "「三國時代 新羅기와의 硏究 -皇龍寺址出土 新羅기와를 中心으로-」, 文化財20", 文化財管理局, 1987

      133 신안식, "「고려 무인집권기 지방사회 저항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 인문과학 논총45",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7

      134 소재윤, "「풍납토성 평기와의 제작공정에 따른 제작기법 특징과 변화」, 야외 고고학18", 한국매장문화재협회, 2013

      135 조원창, "「고대 동북아 요로기술의 대외교섭-백제 정암리유적을 중심으로」, 白山學報71", 白山學會, 2005

      136 경석현, "「17세기(인조~현종) 연대기 자료의 재이(災異) 기록 재검토」, 朝鮮時代 史學報68", 조선시대사학회, 2014

      137 성형미,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보존과 학회지32-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138 엄기일, "「사비기 백제 瓦窯의 구조변화 연구 -소성실과 연도부를 중심으로-」, 百濟文化43",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0

      139 崔仁善, "「蟾津江 西岸地域의 百濟山城」, 섬진강 주변의 백제산성 제23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상고사학회, 2000

      140 이규근, "「中原地域의 瓦窯址」, 중원문화와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9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2

      141 윤순옥, 황상일,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 지리학회지44권 4호", 대한지리학회, 2009

      142 강호선, "「고려전기 “사장(寺匠)의 존재 양태 –백사(伯士)의 사용과 소멸-」, 韓國思想史學54", 한국사상사학회, 2016

      143 이인숙, "「호남지역 조선시대 기와」,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5

      144 崔鐘南, 柳根培, 朴元圭, "「亞寒帶 針葉樹類 年輪年代記를 利用한 中部山間地域의 古氣候復元」, 第四紀學會誌6", 한국제4기학회, 1992

      145 이동주, "「신라 하대 경장(京匠)의 동향 –특히 와장(瓦匠)을 중심으로-」, 정신 문화연구38권 4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146 권오영, "「백제 전기 기와에 대한 신지견 -화성 화산고분군 채집 기와를 중심 으로-」, 百濟硏究33",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01

      147 이상준, "「생산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삼국시대 가마(窯)를 중심으로-」, 고고학의 새로운 지향", 부산복천박물관, 2000

      148 차인국, "「호남지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5

      149 李泰鎭, "「小氷期(1500-1750)의 천체 현상적 원인 - 朝鮮王朝實錄의 관련 기록 분석-」, 國史館論叢72", 國史編纂委員會, 1996

      150 李基東, "「9세기 신라사 이해의 기본과제 – 왜 신라는 농민반란의 일격으로 쓰러졌는가? -」, 新羅文化26",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5

      151 姜景仁, "「순천 검단산성 및 광양 와요지 출토 토기와 기와편의 자연과학적 분석」, 順天 劍丹山城과 倭城", 順天大學校博物館, 1997

      152 하일식,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 –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한국중세사연구29", 한국중세사학회, 2010

      153 김유식, "「삼국~통일신라 와요지 조사 현황과 연구 방향」, 선사 고대 수공업 생산유적 제50회 전국역사학대회자료집", 韓國考古學會, 2007

      154 崔孟植, "「百濟 및 統一新羅時代 기와文樣과 製作技法에 관한 硏究 -彌勒寺址 出土 기와를 中心으로-」, 湖南考古學報13", 湖南考古學會, 2001

      155 노경진, "「호남지역 삼국~고려시대 기와가마 조사현황과 검토」, 호남의 기와 한국기와학회 제12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5

      156 곽승훈,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新羅文化34", 東國大學校新羅文化硏究所, 2009

      157 김성진, "「조선시대 영남지역 瓦窯의 전개양상과 변화요인」, 기와의 생산과 유통 한국기와학회 제8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1

      158 김진경, "「울산 천전리 기와가마에 대한 검토」, 유적과 유물로 본 울산의 생산과 유통 울산대곡박물관 개관기념 학술대회자료집",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159 송미진, "「마로산성 출토 평기와 –백제기와를 중심으로-」, 전남의 기와 –광양 마로산성 출토 기와를 중심으로- 제3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06

      160 박헌민, "「慶州地域 古新羅~統一新羅時代 瓦연구 –瓦窯의 構造와 出土瓦의 流通을 中心으로-」, 기와의 생산과 유통 한국기와학회 제8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기와학회, 2011

      161 최문환, "「조선시대 기와 유통 연구 –가마의 위치와 운송을 중심으로-」, 史學志42, 檀國史學會. 최문환, 2014, 「조선시대 기와 가마의 구조 연구」, 고고학13-1", 중부고고학회,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