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退溪 李滉의 詩 世界 = Poems of Toegye Lee, Hw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58445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청주대학교 대학원 , 한문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62p.; 26cm.

      • 일반주기명

        청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Poems of Toegye Lee, Hwang
        지도교수:김미선
        참고문헌: p.

      • 소장기관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退溪 李滉(1501~1570)은 朝鮮朝 性理學의 체계 확립에 공헌한 性理學者이면서 作詩를 많이 했던 인물 중 한 사람이다. 退溪가 활동하던 시기는 성리학이 사대부들에게 확고히 자리 잡고 있었고...

      退溪 李滉(1501~1570)은 朝鮮朝 性理學의 체계 확립에 공헌한 性理學者이면서 作詩를 많이 했던 인물 중 한 사람이다. 退溪가 활동하던 시기는 성리학이 사대부들에게 확고히 자리 잡고 있었고 그 영향으로 문학에서도 主理를 강조한 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다.
      退溪 역시 전 생애에 걸쳐 學問世界에 道學的원리가 관철하고 있기 때문에 道學과 문학을 별개로 취급하지 않았고, ‘文以載道’의 원칙아래 詩作이 전개되었고 詩作을 道學연마의 과정에서 수양의 방편으로 생각했다.
      退溪는 학자로서의 위상이 높지만 생애에 걸쳐 2013首에 詩를 지었을 만큼 文學 활동이 활발하였고, 漢文學史上의 중요한 위치에 자리매김 하고 있어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기존의 退溪연구는 대다수가 退溪詩의 道學的 연구가 주류를 이뤄왔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退溪의 작품세계를 더욱 심도 있게 다루어 退溪詩의 특징을 조명해 보고자 했다.
      이에 본고의 연구방향으로는 生涯, 思想的背景을 바탕으로 唐代의 文學思潮를 반영한 그의 문집인 『退溪集』에 전하는 詩들을 분석하고 退溪의 시세계가 지는 風格을 고찰하였다.
      序論에서는 退溪詩 硏究의 必要性과 硏究史 檢討를 통하여 硏究 目的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退溪詩의 形成背景을 고찰함에 生涯와 思想的 背景으로 나누어 退溪詩의 作品 世界가 형성된 背景을 기초로 하였다.
      退溪는 生涯를 마감하는 동안 己卯士禍, 乙巳士禍를 겪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朱子學를 바탕으로 하여 성리학을 체계화 하였고 『心經附註』, 『性理大全』, 『朱子大全』 등을 읽으며 文以載道의 원칙 아래 그의 詩 文學 世界 形成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退溪의 作品 世界에서는 內容을 분석하기 앞서 작품의 전체적인 개관을 形式的․內容的으로 分類하여 개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退溪의 작품 세계를 내용에 따라 明道詩, 自樂詩, 梅花詩, 交遊詩로 나누어 考察하였다.
      제4장에서는 退溪詩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修辭的인 면과 內容的인 면의 特徵을 모색하였다. 修辭的 特徵은 用事性․象徵性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고, 內容的 特徵은 退溪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느껴지는 修身·正心한 內容 과 格物·致知한 內容으로 분류하여 살펴봄으로써 退溪詩의 特徵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退溪의 性理學的 사상에 기반에 둔 詩의 경지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後學에게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유추해 볼 때 韓國漢詩史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을 考察할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序 論 1
      • 제1절 硏究의 必要性 1
      • 제2절 硏究史 檢討 및 硏究 方向 4
      • 제2장 退溪詩의 形成背景 7
      • 제1장 序 論 1
      • 제1절 硏究의 必要性 1
      • 제2절 硏究史 檢討 및 硏究 方向 4
      • 제2장 退溪詩의 形成背景 7
      • 제1절 生涯 7
      • 제2절 思想的 背景 12
      • 제3장 退溪詩의 作品世界 17
      • 제1절 作品 槪觀 17
      • 제2절 作品 內容 18
      • 1. 明道詩 18
      • 2. 自樂詩 24
      • 3. 梅花詩 29
      • 4. 交遊詩 38
      • 제4장 退溪詩의 特徵 44
      • 제1절 修辭的 特徵 44
      • 제2절 內容的 特徵 48
      • 제5장 退溪詩의 詩史的 位相 52
      • 제6장 結 論 54
      • 參考文獻 56
      • ABSTRACT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