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나전칠기 무늬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215595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淑明女子大學校, 199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공예학과 목칠공예전공 1993

      • 발행연도

        199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35

      • DDC

        745.72 판사항(19)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57장: 도판; 26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옛부터 미를 추구하여 왔다. 인간의 조형의식에는 아름다움을 나타내려는 장식적 표현과 인간생존의 행복과 장수를 염원하는 상징적 표현이 있다. 그 가운데에서 무늬의 발생은 자...

      인간은 옛부터 미를 추구하여 왔다. 인간의 조형의식에는 아름다움을 나타내려는 장식적 표현과 인간생존의 행복과 장수를 염원하는 상징적 표현이 있다. 그 가운데에서 무늬의 발생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된 절서 속에서 생성된 감성과 의식이 조형물의 표면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그 무늬의 상징적인 의미와 조형성을 이해하는 것은 그 시대 미의 가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나전철기 공예품에 표현된 무늬를 조사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미의식의 특수성과 사회성격, 사조 등을 규명하여 올바른 전통을 인식하여 나타난 무늬들의 함축된 의미와 상징성을 밝혀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로 나전칠기의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무늬의 시원 및 의의를 고찰하였다. 둘째로 무늬를 소재별로 분류하고 시대별, 용도별에 따른 주 무늬의 사용빈도를 도표로 제시하였다. 세째로 조선시대의 나전칠기 무늬는 어떠한 특성과 의의를 가지고 나타나는가를 규명하고, 그 상징성에 중점을 두었다.
      조선조 초기(15∼16세기)에는 보상화문을 비롯하여 모란, 국화, 연화 등 고려시대 불교취향의 식물계 소재의 무늬가 대부분으로 고려시대의 계승 연장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작상으로는 고려시대보다 조밀도가 떨어진다. 중기(17∼18세기)에는 초기의 불교취향의 질서 정연한 대칭으로 이루어진 당초문계 무늬가 흐트러지면서 매화, 대나무, 꽃과새 등 해체된 무늬의장으로 바뀌어지고 쌍학, 사군자, 화조 등 귀족취향의 무늬와 장수를 염원하는 동·식물의 장생무늬, 삶을 신선시(神仙視)하는 산수풍경, 길상어문(吉祥語紋) 등 다양하게 복합적으로 쓰여지고 있다. 후기(19세기)에는 계속되는 흉년과 기근, 질병으로 인한 백성들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신적 종교 즉, 노장철학의 流를 받아들이고 음양오행설과 신선사상을 가미하여 불노장생의 術을 구하는 무늬로 상징화하여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문기법은 산수문, 장생문, 문자문, 기하문을 교묘히 끊음질기법을 사용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척불숭유 정책속에서 불교에서 발생한 의장무늬가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파생된것과 불교, 유교, 도교 등 종교적인 영향과 귀족계급 및 개인의식의 발달 등 사회적인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시대마다 상징성이 강한 한국의 무늬로 토착화 되었다.
      이 시대의 무늬는 장수관, 행복관, 민속신앙, 민속설화 등의 상징화로서 거의가 吉祥的인 의미로 집약되어 나타나 있는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정신적 배경은 그 시대에 추구되었던 행복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 졌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가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하나의 맥이되어, 전통위에 새로운 무늬를 재창조 하여 전통 무늬의 미를 되살리고 그 발달사에 조금이라도 기여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beings have pursued beauty since old times. In our spirit of the formative (plastic) arts, there are two kinds of expressions : A decorative expression which shows superficial beauty itself and a symbolic one which implicates human's wish of h...


      Human beings have pursued beauty since old times. In our spirit of the formative (plastic) arts, there are two kinds of expressions : A decorative expression which shows superficial beauty itself and a symbolic one which implicates human's wish of happiness and longevity.
      Since the emergence of a pattern on a plastic work indicates human's emotion and consciousness in the order with nat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symbolic meaning and shape in grasping the value of beauty in those days.
      The purpose of my thesis is to figure out the implication and symbolism in the mother of pearl works of Yee Dynasty by investigating their peculiar aspects and the trend of thoughts.
      First of all, I will observe the process of transition in the mother of pearl in lay lacquer wares and the origin of a pattern as well as its historical meaning.
      Secondly, I will classify patterns in terms of subject and also present the frequency-graph of patterns going with times and usages.
      Third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atterns in Yee Dynasty will be identified. I will concentrate on symbolism in the mother of pearl in those day.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vegetable [plant] Kingdom was used as prominent subjec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succession of Koryo. But the density of Chosun seems not to outdo that of Koryo.
      Through the middle age, Buddhist style in koryo, which is related to geometrical symmetry such as lotus flower, honey suckle and water lily shape patterns had changed into more various and complicated patterns.
      This means that mixed or somewhat confusing patterns like "the four gracious plants"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and rural landscapes were gradually settled down.
      The representatives are symbolic patterns with the view of one's long life 'happiness exorcism' 'folk belief' or demonstrating aristocracism.
      At the close of Yee Dynasty, Taoism which is a kind of polytheism was admitted and ideology of hermit was popular.
      This was due to the short crops of rice, starvation and diseases in those days. So the symbolic patterns were influenced by social situations and also be used to overcome people's sense of instability.
      As for painted lacquer ware, Technique of Dotted line pattern was realistically described in symbolic patterns for long lives, geometry, landscapes and letters.
      Especially, clothing patterns which had been originated from buddhism was combined with popular folk beliefs Taoism as well as Confucianism under the policy of Anti-buddhism.
      To be brief, the effects from social backgrounds including religion and aristocratic class are said to be related to the symbolism of the patterns.
      And the symbolism itself was based on people's desperate desire which shows spiritual background in those days.
      From this point of view, I wish my study would play a little role in connecting tradition and modern.
      And I also wish my thesis would be helpful to contribute to the recreation of new patterns and developmental history of a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2
      • 목차
      • 국문초록 = i
      • I. 서론 = 1
      • 1. 연구목적 =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 2
      • II. 나전칠기의 일반적 고찰 = 3
      • III. 나전칠기의 무늬 = 7
      • 1. 무늬의 시원 및 의의 = 7
      • 2. 무늬의 종류 = 10
      • 3. 무늬의 분류 = 11
      • IV. 무늬의 상징성 = 16
      • 1. 식물문 = 16
      • 2. 동물문 = 20
      • 3. 동식물문 = 24
      • 4. 자연문 = 25
      • 5. 기하문 = 26
      • 6. 길상어문 = 28
      • V. 결론 = 30
      • 참고문헌 = 33
      • 사진도표 = 35
      • 영문초록 =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