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북지역 가야금 풍류의 특징과 전승양상 =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of Gayageum Pungnyu in Northern Jeolla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3413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국악학과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328 p. : 삽도,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변성금
        참고문헌: p. 318-322

      • UCI식별코드

        I804:11062-00000011085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 사대부와 중인층을 중심으로 연주되었던 줄풍류는 전국의 각 지역과 개인마다 독특한 음악양식을 갖고 연주되었다. 전북지역은 조선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에도 지역...

      조선 후기 사대부와 중인층을 중심으로 연주되었던 줄풍류는 전국의 각 지역과 개인마다 독특한 음악양식을 갖고 연주되었다. 전북지역은 조선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에도 지역별로 율객들을 중심으로 율방이 형성되면서 풍류가 왕성하게 전개되었던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전, 후기 전라북도 지역에서 전개되었던 향제줄풍류 가운데 가야금선율을 주제로 삼아 전개양상과 선율분석을 통해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 사용된 악보는『악서정해』를 비롯하여 정경태『국악보』,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전석동『가야금풍류보』,『이리향제줄풍류보』,『정읍향제줄풍류』, 김윤덕『가야금풍류보』등이다, 음원은 김종환의 <전주 풍류>, 강낙승의 <이리 풍류>, 고이곤의 <군산 풍류>, 김낙근의 <김제 풍류>, 6·2계의 <고창 풍류>, <신쾌동 풍류>등이다. 이러한 1차 자료를 토대로 전북지역에서 산재되어 있는 가야금풍류를 다스름부터 굿거리까지의 악곡을 대상으로 전개양상과 구성 및 명칭, 장별 구분, 구음 및 조현법을 살펴보고, 선율 분석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북지역 풍류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전북지역 가야금 풍류를 악곡구성과 장별 구분, 조현법 등을 고찰하였다. 악곡 구성에 있어서 다스름과 굿거리가 배제되어 경제와 유사한 13곡의 구성인『악서정해』가 있고, 다스름은 있으나 굿거리가 기보되지 않아 14곡의 구성인 정경태『국악보』,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 전석동『가야금풍류보』가 있다. 다스름부터 굿거리까지 15곡으로 이루어진 풍류는『이리향제줄풍류보』,『정읍향제줄풍류』, 김윤덕『가야금풍류보』가 있다. 그리고 <고창 풍류>, <전주 풍류>, <김제 풍류>, <군산 풍류>, <신쾌동 풍류>는 악보나 음원이 남아 있지 않지만 다스름부터 굿거리까지 연주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악곡 명칭에서 다스름은 정경태『국악보』와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가 대치음으로, 상령산은『악서정해』와 <고창 풍류>를 제외한 모든 악보에서 본령산으로 나온다. 세령산은『악서정해』,『이리향제줄풍류보』, 김윤덕『가야금풍류보』, <고창 풍류>, <김제 풍류>에서 세령산 명칭을 사용했고, 전석동『가야금풍류보』,『정읍향제줄풍류』, <군산 풍류>는 장영산과 잔영산이란 이름으로, 그리고 정경태『국악보』는 하영산으로 지칭하였다. 특히 군악과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에 있어 전석동『가야금풍류보』만 유일하게 당악과 별곡, 글기라는 명칭으로 기보되어 있어 타 지역의 악곡 명칭과 구분을 짓고 있었다.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에 군악 뒤‘靈山會上 伽倻琴譜 끝’과 우조환입 뒤‘靈山會上 及別曲終’이란 문구가 나와『악서정해』와 같이 두 가지로 악곡을 분류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석동『가야금풍류보』는 다른 풍류와 달리 세로가 아닌 가로로 구성된 구음보이며 김윤덕『가야금풍류보』또한 가로로 구성된 악보이다.
      조현법에 있어서도 정악식 조현법을 사용하는 풍류는『악서정해』와 정경태『국악보』, 전석동『가야금풍류보』가 있었으며, 산조식 조현법은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이리향제줄풍류보』,『정읍향제줄풍류』, 김윤덕『가야금풍류보』, <고창 풍류>, <전주 풍류>, <김제 풍류>, <군산 풍류>, <신쾌동 풍류>가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정경태『국악보』는 4괘로 줄을 고를 때 츙줄을 없애고 흥줄로 올리고 있어 정악과 산조식 조율 모두를 사용하였다. 김윤덕의 풍류보는 여러 가지 전해지는데, 1954년 악보는 정악식 조현법이 명시되어 있고, 1970년 이후 악보는 산조식 조현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정악식 조현법과 산조식 조현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경제를 바탕으로 한 악곡구성 및 명칭을 달리하며 지역별, 개인별 음악지향점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둘째. 전북지역에서 향제 풍류가 전개된 곳은 1945년 해방 전에 전주를 시작으로 이리, 군산, 김제, 정읍, 고창, 부안, 무주 등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풍류의 전승 구조는 해방 후에도 지속되었지만 부침(浮沈)이 심하여 전주, 이리, 정읍, 부안, 고창, 군산 등에서는 지속되었고, 무주 등은 쇠퇴양상을 걸었다. 이후 현대에는 이리와 정읍에서 율회가 전승되고 있었지만 이리만이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해방 전, 후, 현대기로 전북 지역 풍류를 구분할 수 있는데 해방 전에는 조선시대의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전통을 계승되고 있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교통망의 발달로 인해 율회와 율객의 교류와 교유가 이어지면서 변화 구도를 맞게 되었고 현대에는 일부 특정지역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 보호되면서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향제 풍류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며 새로운 풍류객의 모임인 율계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교통망의 발달에 따른 율객의 이동과 율회 간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향제 풍류도 지역마다 새로운 변화 구도를 맞게 되었다. 경제의 수용을 통해 향제 풍류가 경제 풍류와 대비되는 개념보다는 상호간의 음악을 포용하는 형태를 구축했다는 점이다. 특히『악서정해』는 중앙에서 경제를 배워 향제지역에서 활동했지만 경제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향제와 교류하면서 새로운 음악구조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체제와 악곡 구성 등에 있어 기존의 규격화된 경제가 아닌 새로운 음악적 스타일을 전개하였다.『악서정해』의 구음 및 조현법을 연구한 결과, 계면조 악곡에서는 僙, 㑀, 㑖, 㑣, 黃, 太, 仲, 林, 南, 潢, 汰, 㳞으로 조현하며, 평조 악곡에서는 제4현을 㑲로 올리며, 제7현을 姑으로 내리며, 제9현을 南로 내려 조현하여 국악원 풍류와 조현법이 동일하였다. 또한『악서정해』와 국악원과 선율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전북지역의 풍류보다 유사도가 높았으며, 특히 세령산, 가락덜이, 하현도드리, 타령, 군악에서 유사선율이 많이 나타났다. 이 같은 이유는 중앙에서 경제를 익혔지만 지방에서 연주활동을 벌이면서 자연스럽게 지역의 음악구조와 합류하고 율객과 율회의 교류에 따른 자신만의 음악을 구사한 것이다.
      넷째. 향제줄풍류가 본격적으로 확장양상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지역에서 다채로운 음악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범주에는 정경태『국악보』,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 전석동『가야금풍류보』,『이리향제줄풍류보』,『정읍향제줄풍류』, <전주 풍류>, <김제 풍류>, <군산 풍류>, <고창 풍류> 등이었다. 전체적인 선율에 있어서 정경태『국악보』와『이리향제줄풍류보』, 김윤덕『가야금풍류보』와 동일했으며,『정읍향제줄풍류』도 이와 유사한 전개양상을 보여 지역적 교류가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상철『영산회상 가야금보』, 전석동『가야금풍류보』는 각각 다른 시김새로 선율 진행 하였으며, <전주 풍류>, <김제 풍류>, <군산 풍류>, <고창 풍류>는 여타 다른 전북지역 선율과 대동소이하였으며, 이는 율회와 율객의 교류인 것으로 풀이된다. <전주 풍류>, <김제 풍류>, <군산 풍류>는 太와 林에서 퇴성이 나오며, 농현의 폭이 넓고 잔가락이 많아 민속악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고창 풍류>의 상령산부터 가락덜이까지의 선율은 여타 전북지역 풍류의 선율과 유사하지만 상현도드리의 선율은『악서정해』와 유사하였다.
      다섯째. 풍류에 산조명인이 합류함으로서 민속음악과 연계되기 시작했다. 이리, 정읍, 고창 등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어 확산되었지만 줄풍류 본연의 음악에 변화가 일기 시작한 것이다. 전북지역에서는 대표적인 개인풍류로 김윤덕과 신쾌동이 있었다. 김윤덕은 선율면에 있어 정경태, 이리, 정읍과 동일선율내지 유사선율로 구성되었지만 리듬의 다양성, 추성, 퇴성, 요성등의 산조의 주법이 첨가되어 있었다. 신쾌동 또한 왼손으로 추성하여 시가를 표현하는 등 거문고 시김새와 유사한 선율이 있었고, 장식음과 간음 사용이 빈번했다. 이러한 표현양식은 전문음악인이기에 나타나는 특징이며, 민속악적 음악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와 같이 전승계보와 선율분석을 통해 전북지역의 가야금 풍류가 한 지역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지역에서 자신들의 음악세계를 구축하고 양산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전승계보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사람에게 여러 가락을 학습하고 있어 계보에 따라 음악적 양식도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래 전북지역 가야금풍류는 전승계보에 따른 가락의 변화 특징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율객들의 교류와 율회 간의 교류 등으로 인하여 지역적 특성이 통합, 흡수되는 양상을 보였다.
      향제 풍류의 연주 양상은 한 틀에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틀 안에서 연주자의 연주 성향에 따라 다양한 음악양식으로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결과, 전라북도 지역에서 연주되었던 가야금 선율의 특징은 전승 지역과 참여 연주자들의 악기 구성, 당시의 음악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6
      • 3. 연구 범위 및 방법 14
      • II. 전북지역 줄풍류의 전승양상 19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6
      • 3. 연구 범위 및 방법 14
      • II. 전북지역 줄풍류의 전승양상 19
      • 1. 전북지역 줄풍류의 역사 19
      • 2. 전북지역 줄풍류의 전승양상 29
      • 3. 전북지역 가야금 풍류의 장별 구분 52
      • III. 전북지역 가야금 풍류의 선율분석 67
      • 1. 다스름 67
      • 2. 상령산 69
      • 3. 중령산 88
      • 4. 세령산 110
      • 5. 가락덜이 122
      • 6. 상현도드리 132
      • 7. 도드리 150
      • 8. 하현도드리 183
      • 9. 염불도드리 195
      • 10. 타령 216
      • 11. 군악 235
      • 12. 계면가락도드리 256
      • 13. 양청도드리 268
      • 14. 우조가락도드리 287
      • 15. 굿거리 299
      • IV. 전북지역 가야금 풍류의 특징 및 전개양상 303
      • 1. 경제의 수용양상 306
      • 2. 향제의 확장양상 307
      • 3. 산조명인의 개인풍류 311
      • V. 결론 313
      • 참고문헌 318
      • Abstract 3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신은경, "『풍류』", 서울 : 보고사, 1999

      2 정경태, "『국악보』", 전주 : 보광출판사, 1955

      3 장상철, "『국악보』", 전주 : 필사본 후손소장, null

      4 이혜구, "「양금신보」", 『한국음악학자료총서』제 14집, 서울 : 국립국악원, 1989

      5 김우진, "「오희상금보」", 『한국음악학자료총서』제 39집, 서울 : 국립국악원, 2004

      6 장사훈, "『국악대사전』",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84

      7 황미연, "『정읍국악사』", (정읍 : 우리문화진흥회, 2004

      8 전석동, "『가야금풍류보』", 익산 : 김규수 소장, null

      9 김윤덕, "『가야금풍류보』", 대전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1954

      10 함화진, "『조선음악통론』", 서울 : 민속원, 1983

      1 신은경, "『풍류』", 서울 : 보고사, 1999

      2 정경태, "『국악보』", 전주 : 보광출판사, 1955

      3 장상철, "『국악보』", 전주 : 필사본 후손소장, null

      4 이혜구, "「양금신보」", 『한국음악학자료총서』제 14집, 서울 : 국립국악원, 1989

      5 김우진, "「오희상금보」", 『한국음악학자료총서』제 39집, 서울 : 국립국악원, 2004

      6 장사훈, "『국악대사전』",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84

      7 황미연, "『정읍국악사』", (정읍 : 우리문화진흥회, 2004

      8 전석동, "『가야금풍류보』", 익산 : 김규수 소장, null

      9 김윤덕, "『가야금풍류보』", 대전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1954

      10 함화진, "『조선음악통론』", 서울 : 민속원, 1983

      11 남상숙, 임미선, "『이리향제줄풍류』", 중요무형문화재 제83-나호,서울 : 민속원, 2006

      12 문재숙, "『김죽파가야금곡집』",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89

      13 강한형, "「민속예술-음악과 무용」", 『한국민속종합보고서 전라북도편』, 서울 : 문화 관광부 문화재관리국, 1971

      14 김기수, "최충웅공저,『가야금정악』", 서울 : 은하출판사, 1979

      15 이규리, "「조선후기 외방관기 연구」", 서울 :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6 황미연, "「전용선 명인의 삶과 예술」", 『한국악기학』3집, 서울 : 한국퉁소연구회, 2005

      17 이상규, "「국악기 구음법의 사적고찰」", 서울 :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8 전주희, "「정읍줄풍류의 음악적 고찰」",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9

      19 윤영해, "「조선시대 사대부 금악연구」", 서울 :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0 이금섭, "「정읍 풍류악의 현황과 변천」", 『정읍학』창간호, 정읍 : 정읍학연구회, 2014

      21 김해숙, 조은정, "『가야금산조 및 병창-산조편』", 서울 : 민속원, 2010

      22 김은호, "『서화백년-남기고 싶은 이야기』", 서울 : 중앙일보사, 동양방송, 1977

      23 권도희, "「년대 전주 풍류의 지향과 실제」", 『한국음악연구』제 42집, 서울 : 한 국국악학회, 2007, 1930

      24 김영재, "「줄풍류 거문고가락의 비교고찰」", 『한국음악사학보』제 2권, 대구 : 한국음 악사학회, 1989

      25 김영운, "「가야금 구음의 변천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제 2집, 서울 : 국립 국악원, 1990

      26 박대현, "「정읍 음율계『아양계안』서지고」", 『정읍학』제 2호, 정읍 : 정읍학연구 회, 2015

      27 김정숙,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향제풍류』", 서울 : 학민사, 2001

      28 임미선, "「호남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사」", 『한국음악연구』제 33집, 서울 : 한국 국악학회, 2002

      29 이진원, "「편재준의 예술생애와 그의 대금 산조」", 『국립민속국악원논문집』제 6집, 남원 : 국립민속국악원, , 168쪽, 2006

      30 왕희영, "「『악서정해』음악관과 가야금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8

      31 조석연, "「퉁소의 명인 유동초 생애에 대한 재검토」", 『한국음악사학보』제 45집, 서 울 : 한국음악사학회, , 390쪽, 2010

      32 홍주희, "“영산회상과 이리향제 줄풍류의 비교연구”", 『한국전통음악학』제 8집, 용인 :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33 김형섭, "「20세기 영산회상 가야금 선율의 변천 양상」", 서울 : 한양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34 임미선, "「전북 향제줄풍류의 음악적 특징과 전승사」", 『한국음악연구』제 33집, 서울 : 한국국악학회, 2003

      35 이슬기, "「가야금 줄풍류의 전승 지역별 음악적 특징」",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36 홍은주, "「김윤덕의 계면가락도드리 가야금 선율 연구」", 『한국전통음악학』제 10집, 경기 : 한국전통음악학회, 2009

      37 장지현, "「김윤덕 가야금과 거문고 줄풍류의 선율 연구」",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8 이규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전통예인 백사람』", 서울 : 현암사, 1995

      39 변성금, "「백낙준 거문고산조와 후대 산조의 선율비교 연구」",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0 임미선, "「호남범패의 전승과 특징-전북영산작법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제 38 집, 서울 : 한국국악학회, 2005

      41 오유진, "「전석동 가야금풍류 연구-정경태보와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 : 한국예술 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5

      42 류지연, "「가야금 줄풍류 형성에 관한 연구-가즌회상을 중심으로-」", 서울 :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3 이지연, "「강낙승과 김죽파 줄풍류의 리듬비교-도드리를 중심으로」", 서울 :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4 남상숙, "「호남풍류의 전승사 및 음악적 특성-영산회상을 중심으로」", 『국립민속국악 원논문집』제 5집, 남원 : 국립민속국악원, 2005

      45 권도희, "「호남지역 근대음악사연구-19세기-20세기 전반기를 중심으로」", 『한국음악 연구』제 38집, 서울 : 한국국악학회, 2005

      46 이보형, "「조선후기 정가집단의 유형과 성격-평민정가집단을 중심으로」", 『동양음악』 제 24집 서울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02

      47 신은희, "「김윤덕 가야금풍류보』와『가야금정악보』의 영산회상 비교」", 서울 : 한 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8 김순진, "「가야금 구음의 형태 분석 및 구음을 활용한 가야금보 기보방안」", 서울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9 황미연, "「전라북도 권번의 운영과 기생 활동을 통한 식민지 근대성 연구」", 전주 : 전 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50 임미선, "「20세기 풍류방 문화의 지형과 역사적 변동-이보형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연구』제 59집, 서울 : 한국국악학회, 2016

      51 유영주, "「거문고산조와 한갑득류와 임석윤, 김윤덕, 김용실류 선율비교 연구」", 서울 :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52 윤주형, "「국립국악원 줄풍류와 민간풍류의 가야금 리듬비교-상령산을 중심으로-」", 서울 :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3 권희진, "「향제줄풍류의 가야금 선율 비교 분석-군산, 경주, 정읍 풍류를 중심으로 -」",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4 김정자, "「국립국악원의 영산회상과 민간 줄풍류의 비교연구 : 가야금 가락에 기하 여」", 『장사훈박사회갑기념 동양음악논총』, 서울 : 한국국악학회, 1977

      55 신미란, "「김윤덕 전승 향제줄풍류의 뒷풍류 연구-이리, 국립국악원 풍류의 가야금가 락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6 김지민, "「이리향제 줄풍류와 국립국악원 줄풍류의 가야금선율비교 연구-계면, 양청, 우조환입을 중심으로-」", 경기 :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7 채영진, "「영산회상 가야금 선율 비교연구-『현행 가야금보』 『금은금보』 『이리 향제줄풍류보』를 중심으로-」",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null

      58 곽정하, "「현악영산회상의 가야금 선율에 관한 연구 - 국립국악원 풍류와 민간풍류 및 고악보 속의 선율에 기하여-」", 부산 :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