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삼국시대 출토 토기의 재질분석을 통한 토기문화 연구 : 천안 아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ttery Culture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99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되기 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마한의 소국인 목지국(目支國)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천안․아산지역에서 확인 된 원삼국시대 대표유적인 밖지...

      본 논문에서는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되기 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마한의 소국인 목지국(目支國)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천안․아산지역에서 확인 된 원삼국시대 대표유적인 밖지므레, 용두리 진터, 갈매리, 남성리, 천안 백석동 새신단월골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재질분석을 통하여 형태적 변화에 따른 제작기법 연구 및 원료점토의 원산지 추정을 통하여 생산유구의 위치를 가정해 보았다.
      연구지역이 위치한 지역은 나지막한 구릉과 넓은 평야, 그리고 대하천을 끼고 있어 선사인들의 활동무대로 더없이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구대상에서 출토된 토기들은 심발형토기를 비롯하여 원저단경호, 원통형토기, 오리형토기 등 다양한 형태와 재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물상으로 본 토기들의 동반시기도 2세기 부터 4세기 전반경까지 확인되고 있다.
      연구대상 지역의 토기를 형태적인 요소와 質(연질과 경질)로 구분을 하면 원저단경호 연질계열, 원저단경호 경질계열, 심발형토기 계열, 옹형토기 계열, 기타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원저단경호 계열에서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듯이 갈색계열의 연질토기에서 회갈색계열의 경질토기로의 변화양상을 밖지므레 유적에서 뚜렷하게 확인 하였으며, 소성온도 역시 850〜950℃이하에서 1000〜1250℃의 소성범위와 회갈색의 경질토기에서는 10%이하의 흡수율이 측정되어 제작방식의 변화를 엿 볼 수 있었다.
      심발형토기는 대체적으로 경기남부에서 점차 쇠퇴하는 기형으로 자비용기로 인식해 왔으며, 연구를 통해 열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석영, 장석 및 사장석과 같은 비짐 물질을 다량 첨가하였던 것으로 확인 되었다.
      용두리 진터 유적에서 수습한 소형의 옹형토기는 토기형태상으로 시대가 가장 이른시기인 것으로 남성리 유적 출토 옹형토기와 외형적인 측면에서 유사함을 확인하였지만, 분석결과 진터유적에서 확인된 옹형토기는 850〜950℃이하에 소성과 남성리 출토 옹형토기는 1,100〜1,200℃사이의 고온소성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타 유형의 토기들 역시 850〜950℃이하의 소성범위를 가지며 구성 성분비도 동일한 범위를 나타냈다.
      유적내부와 유적주변의 수습한 토양시료를 바탕으로 전암 대자율, 미량원소, 호정 불호정 원소의 함량의 진화과정이 유사한 것으로 볼 때 토양은 동일 종류의 모암에서 생성된 풍화산물로 판단된다. 또한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화학조성을 토양의 조성으로 표준화한 결과, 주성분 원소와 미량 및 히토류원소는 모두 동일한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유적의 인근 토양을 이용하여 토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유적 조사를 통하여 인근에 생산유구가 확인된 예가 없으며, 대규모의 분묘유구가 확인된 명암리 일대에 대규모의 취락유구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고, 2〜3세기를 존속하였던 마한의 집단세력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추정하며, 토기의 생산 활동과 관련하여 대량의 토기의 이동은 주변의 하천과 산지로 인하여 유통되었을 가능성 보다 자체적인 토기 생산 활동이 가능한 집단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차후 천안·아산 지역에서 좀 더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고고학적 발굴과 함께 자연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이후에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imated the location of the manufacture relics through the material analysis of the potteries unearthed from the Bakjimeule, Yongduri Jinteo, Galmaeri, Namseongri and Cheonan Baekseokdong Saesindanwolgol,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rel...

      This study estimated the location of the manufacture relics through the material analysis of the potteries unearthed from the Bakjimeule, Yongduri Jinteo, Galmaeri, Namseongri and Cheonan Baekseokdong Saesindanwolgol, which were the representative relic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discovered in Cheonan-Asan area which was presumed to be the territory of Mokjiguk of Mahan Soguk befor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Baekje, and through the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hapes and the estimation of the place of origin of the clay.
      The study area had low hills, wide plains and a big river, which were the best conditions as a fertile ground for ancient people. The unearthed potteries had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such as deep bowl pottery, round-based jar with short neck, cylinder-shaped pottery, duck-shaped pottery and the potteries were supposed to be manufactured from 2nd century to early 4th century. When classifying the potteri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quality(soft and hard pottery),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round-based jar type with short neck(soft), round-based jar type with short neck(hard), deep bowel pottery type, urn type, and the others.
      In the round-based jar type with short neck which accounted for the greatest portion, the change from brown soft pottery to gray brown hard pottery could be found in the relics of Bakjimeule. In addition, the change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could be found with the change of the firing temperature less than 850〜950℃ to less than 1000〜1250℃ and the absorptivity of less than 10% which was measured in the hard pottery. The bowl pottery was a declined type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province and was perceived as kitchen pottery and it was found that the inclusion materials such as quartz, feldspar and plagioclase were added to reduce thermal shock. The small pottery urns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a military stronghold at Yongdoo-ri was one of the earliest potteries to be made. Their shape was confirmed to be similar to the pottery urns found in the excavation site at Namseong-ri. Upon analysi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Yongdoo-ri urns were baked at a temperature of 850〜950℃ or below, while the baking temperature of the urns excavated from Namseon-ri was confirmed to be higher, between 1,100〜1,200. Other types of potteries also turned out to have been baked at temperatures between 850〜950℃, and the ratio between constituents was shown to be the same as well. Analysis of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remains of the stronghold and its surrounding area demonstrates that the magnetic susceptibility, trace elements an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compatible · incompatible elements are similar.
      Based on this fact, it is judged that the soil was generated form an identical type of parent rock as a result of weathering. Also whe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xcavated potteries were standardized with the soil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the main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are earth elements all exhibit an identical evolutionary tendency in the aspects of earth science. This indicates that the potteries were made from the soil collected in the vicinity of the remains. According to a research on the remains situated in the surrounding regions, there was no report of remains of production facilities discovered in the vicinity. Also, although a large burial remains was found in Myeongam-ri, there were no signs of a remains of a large village in its surrounding areas.
      It is presumed that this site was a hub of a chiefdom in the Mahan Confederacy that existed between second and third century. Concerning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potteries, it is assumed that there existed a group of people capable of producing potteries on their own, rather than the potteries being brought into the region through the rivers and mountains in the vici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3. 연구사 정리 3
      • Ⅱ. 원삼국시대 중서부지방의 토기 및 가마의 특징 7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방법 3
      • 3. 연구사 정리 3
      • Ⅱ. 원삼국시대 중서부지방의 토기 및 가마의 특징 7
      • 1. 원삼국시대 토기의 특징 7
      • 2. 원삼국시대 가마의 특징 및 현황 11
      • Ⅲ. 연구지역의 현황 및 시료선정
      • 1. 주변유적분포 14
      • 2. 암석 및 토양 분포 17
      • 3. 연구대상 유적검토 20
      • 4. 시료의 선정 및 관찰 27
      • Ⅳ. 분석결과 및 고찰 37
      • 1. 현미경 관찰 37
      • 2. 전암 대자율 50
      • 3. 가비중과 흡수율 55
      • 4. x-선 회절분석 59
      • 5. 열분석 66
      • 6. 화학분석 72
      • Ⅴ. 결 론 83
      • 참고문헌 85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