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實學에서의 民本主義 : 磻溪, 星湖, 茶山을 中心으로 = (A) study of the "For the people" (Minbon-Chueui) in a practical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3402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199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51.58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93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6-89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 해당 논문은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원문보기]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논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Ⅱ. 고대유교에서의 민본주의 = 4
      • 1. 민본주의의 토대 : 天人관계 = 4
      • 목차 = ⅰ
      • 논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Ⅱ. 고대유교에서의 민본주의 = 4
      • 1. 민본주의의 토대 : 天人관계 = 4
      • 2. 孔子 : 德治主義 = 7
      • 3. 孟子 : 民의 경제적 안정 = 10
      • 1) 君·民관계 : 지배·복종의 관계 = 10
      • 2) 민본주의적 혁명론 = 12
      • 3) 민본주의적 경제정책 = 16
      • Ⅲ. 조선주자학과 민본주의 : 退溪와 栗谷을 중심으로 = 19
      • 1. 退溪 : 내면적 도덕성의 강조-주관주의적 지향 = 19
      • 1) 主理的 思考 = 19
      • 2) 敎化主義 : 민본주의 = 21
      • 2. 栗谷 : 상황인식에 바탕을 둔 제도개혁론 대두 = 26
      • 1) 主氣的 思考 = 26
      • 2) 통치론 : 治人의 독자성과 養民論 = 29
      • 3) 民觀 : 정치적 객체 = 31
      • 4) 更張說 = 33
      • 가) 時宜·變通 = 33
      • 나) 위민·민본사상의 경장책 = 36
      • Ⅳ. 실학에서의 민본주의 = 41
      • 1. 磻溪 : 객관주의적 규범론 지향 = 41
      • 1) 철학적 기초 = 42
      • 가) 이기론 : 理- 實理 = 42
      • 나) 天理와 人欲 : 객관주의적 규범론 = 43
      • 2) 통치론 : 제도론 = 45
      • 3) 민본주의적 정치이념 : 恒業·禮樂興行論 = 47
      • 가) 養民論 = 47
      • 나) 교화주의 = 50
      • 2. 星湖 : 民의 상대적 독자성 강조 = 51
      • 1) 철학적 측면 = 52
      • 2) 정치이념 = 54
      • 가) 왕도정치 = 54
      • 나) 통치론 = 56
      • 3) 民觀 : 國富의 근원 = 60
      • 4) 君·民관계 : 民의 상대적 독자성 = 62
      • 5) 평등사상 = 63
      • 6) 토지제도 = 65
      • 3. 茶山 : 자율적 인간관과 民의 정치적 주체화 = 67
      • 1) 인간관 : 인간의 자율성 = 68
      • 2) 통치자의 존립근거 : 民의 정치적 주체화 = 70
      • 3) 법치주의 = 73
      • 4) 평등의식 = 76
      • 가) 四民平等 = 76
      • 나) 능력에 의한 인제등용론 = 78
      • 5) 토지개혁론 : 閭田制 = 80
      • Ⅴ. 결론 = 82
      • 참고문헌 = 86
      • ABSTRACT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