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율곡 사상에 대한 다산의 이해와 비판적 계승 = Tasan`s Critical Succession and Understanding of Yulg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8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

      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실학 사상을 율곡 또는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보려는 것은 후대의 당파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 다산의 율곡과 퇴계의 사상에 대한 비판과 계승의 측면을 모두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과 퇴계의 사단칠정 논변에 대한 다산의 평가를 검토하였고 나아가 修己治人 개념에 대한 세 학자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산이 율곡의 기발일도설을 지지한 것은 리·기에 대한 자신의 새로운 규정에 의한 것으로 그것을 율곡의 설에 대한 진정한 찬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율곡의 기발일도설에 대한 다산의 평가를 통해 살펴야 할 것은 다산이 율곡과 퇴계의 성리설을 결코 배타적으로 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다산은 율곡과 퇴계의 설이 각각 다르게 파악되는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조선 시대의 퇴계 학파와 율곡 학파의 갈등과 대립이 실상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퇴계와 율곡의 사상을 대립적으로 평가한 것은 당쟁이 빚은 갈등의 결과이며 실제 퇴계와 율곡 사상에서는 발전과 계승의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다산의 경세론을 율곡의 경세 사상에서만 찾으려는 문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퇴계의 사상을 경세에 무관심한 것이라 평가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며 그 나름의 현실 인식에 바탕한 새로운 방식의 정치사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퇴계와 율곡 경세론에 대한 균형있는 평가가 요구되는 것이다. 다산은 율곡의 경세론을 수용하면서도, 군자 중심의 정치론이 아니라 군주와 군자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치 시스템 속에서 통치 주체들이 수기와 치인을 함께 추구하는 노력을 통해 인륜 국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다산에 의해 수립된 실학 사상을 율곡과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산이 경계하였던 것처럼 당파의 편견에 얽매이지 말고 선현의 취지를 찾아서 그것을 발전적으로 탐구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한국 사상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san Chong Yag-yong is valued as the culmination of practical science. Origin of his Silhak thought (Practical Learning), however, has been treated as a controversial question in academic world: Which side does Tasan belong, to Toegye or Yulgok? This...

      Tasan Chong Yag-yong is valued as the culmination of practical science. Origin of his Silhak thought (Practical Learning), however, has been treated as a controversial question in academic world: Which side does Tasan belong, to Toegye or Yulgok?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fact tha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School of Toegye and Yulgok during the Chosun Dynasty had actually arisen from misconception. In order to verify the thesis, I first reviewed Tasan`s evaluation of both Toegye and Yulgok regarding their debate on Four-Seven, then further compared the three scholars` views on the concept of `governing people through self-cultivation (修己治人). Tasan`s early support of Yulgok`s theory of qi-issuance cannot be fully justified, since his argument was built around his own definition of li and qi; he did not mean to truly succeed Yulgok. What we should figure out from Tasan`s favorable evaluation on Yulgok is, nevertheless, that he did not regard the two predecessor`s theory as mutually exclusive. Rather, by analyzing the fundamental reason why the two theories were grasped differently, Tasan ventured to remove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schools. The oppositional and often hostile evaluation on the rival schools was in fact due to the political factional strife; the aspect of mutual advancement and succession, which had been neglected so far, should be explored in detail. In the similar context, Tasan`s theory of political and social management (經世) was compared only to that of Yulgok`s. It would be unfair to regard Toegye as indifferent to the question of managing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Toegye had his own way of approaching political issues, based on his awareness of the reality of his time. A balanced assessment of Toegye and Yulgok`s theory of political and social management is, therefore, urgently requi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珥, "栗谷全書, 韓國文集叢刊 44"

      2 이승환, "횡설과 수설: 400년을 이어온 성리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휴머니스트 출판사 2012

      3 이광호,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홍익출판사 2013

      4 조남욱, "정치철학적 측면에서 본 栗谷과 茶山의 만남" 동양철학연구회 45 (45): 93-133, 2006

      5 김경호, "인격성숙의 새로운 지평-율곡의 인간론" 정보와 사람 2008

      6 박석무, "율곡의 학문과 다산의 실학사상"

      7 이남영, "율곡의 수기치인론" 1 :

      8 이유진, "율곡의 사상과 실학" 6 :

      9 리기용,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사)율곡학회 21 : 187-217, 2010

      10 이동준, "율곡선생의 철학사상과 경세론" 4 :

      1 李珥, "栗谷全書, 韓國文集叢刊 44"

      2 이승환, "횡설과 수설: 400년을 이어온 성리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휴머니스트 출판사 2012

      3 이광호,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홍익출판사 2013

      4 조남욱, "정치철학적 측면에서 본 栗谷과 茶山의 만남" 동양철학연구회 45 (45): 93-133, 2006

      5 김경호, "인격성숙의 새로운 지평-율곡의 인간론" 정보와 사람 2008

      6 박석무, "율곡의 학문과 다산의 실학사상"

      7 이남영, "율곡의 수기치인론" 1 :

      8 이유진, "율곡의 사상과 실학" 6 :

      9 리기용,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사)율곡학회 21 : 187-217, 2010

      10 이동준, "율곡선생의 철학사상과 경세론" 4 :

      11 금장태, "율곡사상과 실학" 1 :

      12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3 이남영, "성호이익의 퇴계관과 그의 실학론" 36 : 1982

      14 프랑수와 쥴리앙, "맹자와 계몽철학자의 대화" 한울아카데미 2004

      15 정원재, "마음과 철학(유학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6 문석윤, "동양적 마음의 탄생" 글항아리 2013

      17 김영우, "다산의 사단칠정론 연구" 6 : 2005

      18 이봉규, "다산, 정약용 연구" 사람과 무늬 2013

      19 김영우, "다산 정약용 인(仁) 해석의 특징" 한국동양철학회 38 (38): 177-204, 2012

      20 李珥, "국역 율곡전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7

      21 허남진, "거경(居敬)과 궁리(窮理): 퇴계와 율곡의 철학적 차이에 관하여" 인간환경미래연구원 (7) : 59-83, 2011

      22 李滉, "退溪集, 韓國文集叢刊 29~31" 民族文化推進會

      23 丁若鏞, "與猶堂全書"

      24 이봉규, "涵養論과 교육과정으로 본 조선성리학의 개성" 퇴계학연구원 125 (125): 89-128, 2010

      25 문석윤, "『맹자』의 성(性), 심(心), 성인(聖人)의 도덕론" 인간환경미래연구원 (5) : 103-13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율곡사상연구 -> 율곡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ULGOK-STUDIES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1.66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