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안동 선성산성 소고 = A Study on the Seonseongsanseong Fortress in And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4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the seven castles occupied by Goguryeo troops in the three years (481) of Soji Maripgan, the Silla fortress in Andong area can be regarded as Suseongsanseong Fortress. It is estimated that the fortress was Saturn during this period. It is estima...

      Among the seven castles occupied by Goguryeo troops in the three years (481) of Soji Maripgan, the Silla fortress in Andong area can be regarded as Suseongsanseong Fortress. It is estimated that the fortress was Saturn during this period. It is estimated that the measurements of radioactive carbon dating of wooden specimens excavated in the fortress, which are found inside the fortress, exceed the period of stone construction. Considering that it is a strategic strategic strategic point located in the middle of Bukjin-ro of Silla,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Seokseong Fortress was carried out. Since then, it can be assumed that the area has been converted to a county under the administrative system establish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addition, this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ilitary, as it was not built as Yeanjin during the Unification War of the Goryeo Dynasty. In particular, the remains such as arrowheads, ironware, fire clay masonry, various large buildings, stone facilities, blood transfusion, and reclaimed northern gate ar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is fortress.
      Accordingly, the stone fortress walls were constructed in the late 6th century by Sill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thenware, roof tiles, and roof tiles from the Goryeo Dynasty, and roof tiles from the Joseon Dynasty. It was again contracted at the end of the 7th century.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fortress was rebuilt in the early 10th century A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buil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안동 선성산성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9번지 일원에 소재한다. 최근 선성산성 발굴조사 결과 북문지를 비롯하여 체성, 보축시설, 내부 각종 건물지군, 적석유구, 암거시설, 집수...

      안동 선성산성은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서부리 29번지 일원에 소재한다. 최근 선성산성 발굴조사 결과 북문지를 비롯하여 체성, 보축시설, 내부 각종 건물지군, 적석유구, 암거시설, 집수지, 수혈, 주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선성산성 입지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해발 150~185m 내외에 체성이 축조되어 있으며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이 대략 30m 가량 차이난다.
      선성산성은 둘레가 대략 500m 내외로 추정되고 있어 영남지역 고대 석축산성 중 가장 작은 규모이다. 이 규모 성곽은 군사적 목적이 강한 성곽으로 축조된 것이라고 하겠다. 다만 문경 고모산성, 보은 삼년산성, 영월 정양산성 등과 같은 최전선에 비해서는 후방 방어선을 잇고 중요 교통로 결절점에 위치하여 신라가 한강유역 진출 및 강원도 이북으로의 영토 팽창 이후에는 군사적 기능에 더하여 행정적 기능이 완비된 치소성 역할이 이루어졌다 하겠다.
      선성산성은 최초 토성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북문지 서쪽 북벽 체성 내탁부에서 모래와 사질토를 여러겹으로 쌓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 내탁부는 편축에 따른 내부충진토 보다 기존 토루 등이 잔존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토루 흔적이 기존 토성 등의 일부로 석성으로 전환 시 내벽으로 활용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석축 체성 하부에서 주혈이 확인되고 있어 토성 관련시설로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성내부에서 확인되는 선대 유구 및 성내 출토 목탄시료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가 석성 축조시기를 상회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어 토성 축조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안동 선성산성 석축 체성에서 品자형 바른층쌓기와 기단보축 설치 및 현문식 성문이 확인되었다. 구간별로 시기차가 확인되고 있다. 그렝이기법도 일부 확인되고 있어 고구려성곽 영향을 일정 받은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선성산성 외벽기단보축의 경우 단면 방형 석축에 가까운 점, 석축+점토를 이용한 보축이 확인되고 있는 점, 보강점토를 설치 후 최상단에 형식적인 보축석 1매를 체성 기단부에 붙여놓은 점, 보축 폭과 높이가 1m 보다 낮은 점 등으로 확인되었다.
      선성산성 북문지는 초축 이후 증개축 때 현문식에서 개거식으로 축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등성시설을 이용하여 출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문식 성문 폭은 계단시설 폭인 약 2.5∼3m 내외일 것으로 추정된다.
      등성시설은 초축기단을 덮은 보강토 위에 체성 하단벽면에 붙여서 조성하였다. 보축부가 노출되기 전 상면에서 등성시설이 확인되고 있어 현문식 성문 축조 당시에는 설치되지 않고 후대에 설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등성시설 동쪽에 접하여 반지름 1m 내외의 부채꼴 형태로 둥글게 쌓은 적석더미가 확인되는데 상부에서 보면 벽면에 붙인 八자형으로 보인다. 위치와 형태로 보아 체성벽을 보호하는 용도의 시설로 추정할 수 있으나 반원형 치상유구 내지 월대로 추정해 볼 수도 있다.
      선성산성 성내 5문화층에서 확인되는 추정 방형 집수지는 통일기를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선성산성은 현재 수습 되고 있는 토기편 및 고려시대 수막새를 비롯한 기와편, 조선시대 기와편 및 자기편 등의 특징을 참고한다면 석축성벽은 신라에 의해 6세기 후반에 축조되었다. 다시 7세기 말에 수축되었다. 10세기 고려시대 초에 수개축이 이루어지고 조선시대 전기에 다시 한번 수개축된 성곽으로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의 산성 – 성황당·신석·선성산성 지표조사보고서" 2004

      2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야생동물생태공원 예정지역내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2005

      3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4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선성현문화단지 조성사업부지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2

      5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김해 고읍성" 2008

      6 최희림, "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출판사 1967

      7 심종훈, "경남지역 삼국통일기 석축산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8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거제폐왕성문화유적시굴조사보고서" 2006

      9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거제둔덕기성동문건물지" 2011

      10 이일갑, "釜山성곽" 2016

      1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의 산성 – 성황당·신석·선성산성 지표조사보고서" 2004

      2 안동대학교 박물관, "안동 야생동물생태공원 예정지역내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2005

      3 서영일, "신라 육상 교통로 연구" 학연문화사 1999

      4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선성현문화단지 조성사업부지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2

      5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김해 고읍성" 2008

      6 최희림, "고고민속 3" 사회과학원출판사 1967

      7 심종훈, "경남지역 삼국통일기 석축산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8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거제폐왕성문화유적시굴조사보고서" 2006

      9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거제둔덕기성동문건물지" 2011

      10 이일갑, "釜山성곽" 2016

      11 "輿地圖書"

      12 "永嘉誌"

      13 "新增東國輿地勝覽"

      14 "慶尙道續撰地理志"

      15 "嶺南邑誌"

      16 "宣祖修正實錄"

      17 "增補文獻備考"

      18 동서문물연구원, "咸安槐山理遺蹟" 2011

      19 심광주, "京畿道의 城郭-新羅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2003

      20 심광주, "二聖山城의 築城技法과 機能" 漢陽大學校博物館 2000

      21 "世宗實錄地理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