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王室 書畵收藏의 형성과 전개 -宋・元과 교류를 중심으로- =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Royal Collec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origin and formation of royal collec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Goryeo Dynasty 高麗王朝.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 royal calligraphy and painting chi...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origin and formation of royal collec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Goryeo Dynasty 高麗王朝.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 royal calligraphy and painting chief system in the Goryeo Dynasty, which was the origin of the royal calligraphy and painting chief of th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for Royal Portrait Shrine 眞殿, Storage for Royal Documents and Calligraphic works 尊閣, and general paintings and calligraphy works.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ryeo royal family prioritized keeping the portrait of successive kings in order to advocate the legitimacy of the royal power. Therefore, in the 11th century, the Royal Portrait Shrine called as Gyeongryeong-gung 景靈宮 system was accommodated, installed in Gyeongryeong-jeon 景靈殿 in the palace, and the portraits of King Taejo and the four-generation of direct ancestors were enshrin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style. However, after the original interference period, the status of Gyeongryeong-jeon was reduced, while a shrine for Mongol emperors and empresses appeared, making many changes to the unique development system of Goryeo.
      Second, after the 12th century, as diplomatic exchanges with the Huizong 徽宗, r.1100-1125 Imperial Family in North Song became more active, the Emperor granted to the royal family of Goryeo, and the system of Storage for Royal documents and calligraphy wa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to keep them. This precedent led to the Joseon Dynasty,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 collection center that specialized in storing royal materials. Third, due to the active negotiations with Song-Yuan Empires, many Buddhist manuscripts, paintings and calligraphy by famous artists, and treaties on paintings were introduced to Goryeo, which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rt history at the time. However,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surviving works and documents, it was not possible to fully examine in detail how it flowed into the Goryeo palace, the storage place, and how it affected the appreciation culture of the Goryeo royal family. This will be supplemented by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고려시대 王室 書畵收藏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대해 宋 元과 교류사적 측면에서 眞殿 및 尊閣, 기타 서화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

      이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고려시대 王室 書畵收藏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대해 宋 元과 교류사적 측면에서 眞殿 및 尊閣, 기타 서화작품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왕실에서는 신라시대 전통을 이어 先王의 영정을 보관하는 일을 최우선으로 삼았다. 11세기에는 宋 경령궁 제도를 수용해 궁궐 내 경령전에 설치하고 유교식 五廟制에 따라 태조와 직계 4대조의 영정을 봉안했으며, 궐 밖에는 불교식 眞殿寺院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원간섭기 이후 에는 경령전의 위상이 축소되는 한편 元皇室을 위한 願堂이 등장하면서 고려 고유의 진전제도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둘째, 12세기 예종연간에 이르러 북송 휘종황실과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고려왕실로 황제의 御製 御筆이 하사되어 이를 보관하기 위해 天章閣과 寶文閣으로 대표되는 尊閣이 처음으로 설치 되었다. 아울러 淸燕閣 등 왕실의 각종 문적과 서화작품을 보관한 전각이 건립됨에 따라 御府 소유를 확인하는 收藏印 제도가 도입되었다.
      셋째, 宋 元과 활발한 교섭으로 인해 송대 회화를 비롯해 원대 명서가들의 작품, 畵論書 등이 고려로 전래되었고 이는 당대 서화사의 발달을 촉진시킨 중요한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 이렇듯 고려왕실에 의한 역대 先王 先后의 영정과 중국황제의 어제어필 봉안, 기타 서화를 수장한 전각의 건립은 조선왕실로 계승되어 이 세 가지 양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화수장이 전개된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李寧과 고려의 회화" 한국미술사학회 (221・222) : 1999

      2 李肯翊, "練藜室記述"

      3 안휘준, "한국회화사연구" 시공사 2000

      4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5

      5 이완우, "조선 후기 列聖御筆의 刊行과 廣布"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146-193, 2013

      6 "유리건판으로 보는 개성 宮闕과 陵墓" 국립중앙박물관 2019

      7 조선미, "어진, 왕의 초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8 정병모, "신라경순왕영정의 제작과 그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5) : 29-68, 2010

      9 홍선표, "신라 회화의 재구성" 한국미술연구소 (35) : 7-35, 2012

      10 이정미, "선화화보의 예술사상" 한국학술정보 2012

      1 안휘준, "李寧과 고려의 회화" 한국미술사학회 (221・222) : 1999

      2 李肯翊, "練藜室記述"

      3 안휘준, "한국회화사연구" 시공사 2000

      4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국립고궁박물관 2015

      5 이완우, "조선 후기 列聖御筆의 刊行과 廣布"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146-193, 2013

      6 "유리건판으로 보는 개성 宮闕과 陵墓" 국립중앙박물관 2019

      7 조선미, "어진, 왕의 초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9

      8 정병모, "신라경순왕영정의 제작과 그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5) : 29-68, 2010

      9 홍선표, "신라 회화의 재구성" 한국미술연구소 (35) : 7-35, 2012

      10 이정미, "선화화보의 예술사상" 한국학술정보 2012

      11 "북녘의 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 2006

      12 "대고려-그 찬란한 도전" 국립중앙박물관 2018

      13 김인호, "고려후기 이제현의 중국 문인과의 교류와 만권당" 역사실학회 (61) : 215-242, 2016

      14 이강한, "고려와 원제국의 교역의 역사" 창비 2013

      15 김동환, "고려시대의 도서관 연구 : 보문각을 중심으로" 한국서지학회 (32) : 205-235, 2005

      16 김성환, "고려시대 太祖의 眞殿과 奉業寺" 한국고대학회 (57) : 55-77, 2018

      17 김철웅, "고려시대 太廟와 原廟의 운영" 국사편찬위원회 106 : 2005

      18 이개석, "고려-대원관계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9 이강한, "고려 충선왕의 정치개혁과 元의 영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3) : 267-300, 2008

      20 홍선표,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한국미술연구소 (48) : 39-70, 2019

      21 홍선표, "고려 초기 초상화제도의 수립" 한국미술연구소 (45) : 7-27, 2017

      22 홍영의, "고려 궁궐내 景靈殿의 구조와 운용" 한국학연구소 37 : 67-91, 2012

      23 김철웅, "고려 경령전의 설치와 운영"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101-127, 2009

      24 "개성의 역사와 유적 사진자료집" 국사편찬위원회 2018

      25 "개성 고려궁성-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Ⅱ"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26 "개성 고려궁성-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27 "개성 고려궁성"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28 민현구, "高麗時代 韓中交涉史의 몇 가지 문제 -長期持續的 高麗王朝와 征服的 中國 北方國家들과의 對立 ․ 交流-" 진단학회 (114) : 1-11, 2012

      29 남권희, "高麗時代 記錄物의 交流와 保管制度"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3) : 2001

      30 진선규, "高麗後期 願刹에 對하여" 역사교육연구회 36 : 1984

      31 장동익, "高麗後期 外交史硏究" 일조각 1994

      32 노명호, "高麗太祖 王建 銅像의 流轉과 문화적 배경"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50 : 2004

      33 "高麗史節要"

      34 "高麗史"

      35 안휘준, "高麗 및 朝鮮王朝 初期의 對中 繪畵交涉" 亞細亞學術硏究 13 : 1979

      36 유희경, "高麗 顯宗代 景靈殿 설치와 그 의미" 이화여대 2016

      37 이완우, "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38 박은순, "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39 한국미술사학회, "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40 이성미, "高麗 初彫大藏經의 御製秘藏詮版畵-高麗初期 山水畵의 一硏究" 한국미술사학회 (169・170) : 1986

      41 조선미, "韓國의 肖像畵" 열화당 1983

      42 盧宣妃, "蒙元江南畵家的高麗文臣肖像 : 陳監如 <李齊賢像>(1319)硏究" 台北國立故宮博物院 35 (35): 2017

      43 김도영, "萬卷堂과 濟美基德堂에 대한 재검토" 역사학회 (210) : 59-95, 2011

      44 박남수, "眞殿寺院의 기원과 新羅 成典寺院의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41) : 73-101, 2012

      45 안휘준, "率居 : 그의 身分, 活動年代, 畵風" 한국미술사학회 274 (274): 5-29, 2012

      46 韓致奫, "海東繹史"

      47 安鼎福, "東史綱目"

      48 "朝鮮王朝實錄"

      49 홍선표, "朝鮮時代繪畵史論" 문예출판사 1999

      50 박남수, "新羅 眞殿寺院의 조영과 그 思想的 背景" 신라문화연구소 40 (40): 49-74, 2012

      51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52 楊渭生, "宋麗關係史硏究" 杭州大學出版社 1997

      53 장동익, "宋代麗史資料集"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4 김홍남, "安平大君 소장 中國 書藝 : 宋 徽宗, 蘇軾, 趙孟頫, 鮮于樞" 한국미술연구소 (8) : 1999

      55 안휘준, "安堅과 <夢遊桃源圖>" 예경산업사 1991

      56 "大高麗國寶展-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Ⅰ)" 호암갤러리 1996

      57 石守謙, "大汗的世紀-蒙元時代的多元文化與藝術" 國立故宮博物院 2001

      58 "增補文獻備考"

      59 郭若虛, "圖畵見聞誌"

      60 朱景玄, "唐朝名畵錄"

      61 이난영, "博物館史" 삼화출판사 1975

      62 김상범, "北宋時期 景靈宮과 國家儀禮" 동양사학회 (136) : 1-47, 2016

      63 윤기엽, "元干涉期 元皇室의 願堂이 된 高麗寺院" 대동문화연구원 (46) : 147-174, 2004

      64 장동익, "元代麗史資料集"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65 傅申, "元代皇室書畵收藏史略" 國立故宮博物院 1981

      66 "三國史記"

      67 박은화, "『宣和畵譜』의 山水門에 나타난 北宋末의 山水畵觀" 중국사학회 (71) : 45-67, 2011

      68 지민경, "〈李齊賢 肖像〉 제작에 관한 새로운 이해" 미술사연구회 (42) : 177-200, 2022

      69 Kim, Kumja Paik, "Goryeo Dynasty: Korea's Age of Enlightenment, 918-1392"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2003

      70 Ebrey, Patricia, Buckley, "Emperor Huizo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71 Ebrey, Patricia, Buckley, "Accumulating Culture: The Collections of Emperor Huizon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8

      72 이영미, "13-14세기 고려・몽골관계 연구" 혜안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