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천룡산석굴과 골굴석굴의 건축 연구 = Architecture of Tianlongshan Grottoes and Golgul Grotto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ianlongshan Grottoes, which was built over 200 years from the Bukje(北齊) period to the Tang Dynasty, is widely known for their beautiful sculptures. For us, it is a special place where our ancestors constructed grottoes in a foreign land more than...

      Tianlongshan Grottoes, which was built over 200 years from the Bukje(北齊) period to the Tang Dynasty, is widely known for their beautiful sculptures. For us, it is a special place where our ancestors constructed grottoes in a foreign land more than 1,300 years ago. According to the records, the grottoes created by General Mulbusun and the daughter of Heukchi Sangji were considered to have 21 Gulsils(rooms) before the 2000s. However, currently, Chinese scholars claim that the number of the Gulsils was 15, which has been convincing. Tianlongshan Grottoes are very significant places: As for the formative history, it is meaningful to have identified Gulsil created by General Mulbusun and his wife. Historical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erformance of these couples who were Baekje refugees, and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the person named Mulbusun(勿 部 旬) and of the surname of Mullbu. Architecturally, among the Chinese stone caves, this is a good example of following a wood architecture style in that era. Eaves, Kongpoes, and pillars are carved on the front of the cave in three dimensions. Particularly, in the 16th cave, using the technique of Gwonsal in the lower part of Doogong is the first case in Chinese architecture.
      Although the early stage of Golgul grottoes is not clea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grottoes were built befor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Golgul Maaebul statue was created, as being a legend that Golgul grottoes were the place of prayer for Wonhyo. At that time, as recorded in some tra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ot known whether or not a wooden structure wa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ves, but we can found that in spite of the prevalent idea of oppressing Buddhism and respecting Confucianism during Joseon Dynasty, Golgul Grottoes were maintained, which is a useful reference to studying cave temples. As the tre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unlike Tianlongshan grottoes, it seems that wooden structure was built on a rock wall in Golgul Grottoes. The style of Gulsils seems to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places. Considering the stone caves of India and China, it can be assumed that wooden structures were either embossed or created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제~당대에 이르기까지 2백 여년에 걸쳐 조성된 천룡산석굴은 아름다운 조각상으로 인해 널리 알려진 곳이지만, 우리에게는 1300여년 전 우리 선조들이 외국 땅에 조성한 조형작품이라는 점...

      북제~당대에 이르기까지 2백 여년에 걸쳐 조성된 천룡산석굴은 아름다운 조각상으로 인해 널리 알려진 곳이지만, 우리에게는 1300여년 전 우리 선조들이 외국 땅에 조성한 조형작품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곳이다. 기록에 전하는 물부순장군과 흑치상지의 딸 부부가 조성한 굴실은 2000년대 이전에는 21굴이라 여겨져 왔으나, 현재는 중국 학자들에 의해 제15굴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조형사적으로는 물부순장군부부가 조성한 굴실을 특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역사적으로는 백제유민인 이들 부부의 활약상을 파악할 수 있고, 勿部旬이라는 인물 및 물부라는 성씨의 존재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전해진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곳이다. 건축적으로 보면, 중국 석굴 중에서도 當代 목조건축이 잘 표현된 사례로서, 특히 굴실 정면에 처마와 공포 및 기둥으로 구성되는 바가 입체적으로 조각되어 있어 주목되고 있다. 특히 제16굴의 두공 하단 권살기법은 중국건축에서 처음 등장한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골굴석굴은 초창시기가 불분명하지만 원효선사가 수행하였다는 穴寺에 해당한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어, <골굴마애불좌상>이 조성된 9세기 후반 이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 굴실 전면에 木造架構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조선후기 여행기를 통해 억불숭유의 조선시대에 골굴석굴의 형태와 유지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석굴사원 연구에 참고가 된다. 골굴석굴은 조선후기의 자료를 통해 천룡산석굴과 달리 목조가구가 암벽면에 가설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굴실의 표현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인도와 중국의 석굴을 고려해보면 목조가구가 가설되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명대, "천룡산석굴의 현상과 불상양식의 연구" (197) : 1993

      2 왕지쥔, "중국건축도해사전" 도서출판 고려 2016

      3 윤용구, "중국 출토의 한국고대 유민자료 몇 가지" 한국고대사학회 32 : 293-326, 2003

      4 양은경, "중국 불교석굴" 다할미디어 2006

      5 김찬영, "조선후기 다포 불전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도화, "실크로드의 문화1-太原·天龍山石窟"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3

      7 손신영,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骨窟石窟의 양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0) : 67-86, 2018

      8 문명대, "골굴사(骨窟寺) 석굴구조와 마애 장륙 석가불좌상(丈六釋迦佛坐像)의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0) : 21-42, 2018

      9 신숙, "고려시대 ‘찬란한’ 금속공예: 보스턴미술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25-145, 2019

      10 関野貞, "西遊雑信 上" (384) : 1918

      1 문명대, "천룡산석굴의 현상과 불상양식의 연구" (197) : 1993

      2 왕지쥔, "중국건축도해사전" 도서출판 고려 2016

      3 윤용구, "중국 출토의 한국고대 유민자료 몇 가지" 한국고대사학회 32 : 293-326, 2003

      4 양은경, "중국 불교석굴" 다할미디어 2006

      5 김찬영, "조선후기 다포 불전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도화, "실크로드의 문화1-太原·天龍山石窟"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3

      7 손신영,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骨窟石窟의 양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0) : 67-86, 2018

      8 문명대, "골굴사(骨窟寺) 석굴구조와 마애 장륙 석가불좌상(丈六釋迦佛坐像)의 의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0) : 21-42, 2018

      9 신숙, "고려시대 ‘찬란한’ 금속공예: 보스턴미술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25-145, 2019

      10 関野貞, "西遊雑信 上" (384) : 1918

      11 田中俊逸, "天龍山石窟調査報告" 3 (3): 1922

      12 李裕群, "天龍山石窟分期硏究" 83 : 2003

      13 神谷麻理子, "天龍山石窟の研究ー研究史と問題点" (34) : 2004

      14 孫迪, "天龍山石窟-流失海外石刻造像研究" 外文出版社 2004

      15 박현규, "天龍山石窟 제15굴과 勿部珣將軍功德記 - 선행학자들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25) : 39-68, 2009

      16 神谷麻理子, "天龍山石窟 北齊窟に関する一考察" (35) : 2005

      17 関野貞, "天龍山石窟" (375) : 1921

      18 李裕群, "天龍山石窟" 科學出版社 2003

      19 Marylin M.Rhie, "天龍山 第21石窟과 唐代碑銘의 硏究" 5 : 1980

      20 田村節子, "天竜山石窟第十六窟·第十七窟について" (一四五) : 1982

      21 오택현, "勿部珣功德記" 12 : 2014

      22 Marylin M. Rhie, "中國天龍山 21號 石窟佛像: 百濟遺將 珣장군이 施主" 自由社 (104) : 1981

      23 傳熹年, "中國古代建築史卷2"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24 "www.people.com.cn/BIG5/paper39/12167/1095138.html"

      25 "https://tls.uchicago.edu"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불교미술사학 -> 강좌미술사
      외국어명 : BULKYOMISULSAHAK -> The Art History Journal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3 0.58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