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敎藏의 고려 및 조선시대 유통과 전승 =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Goryeo-gyojang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1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distribution and tra...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s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The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gyojang in the Goryeo Dynasty was divided into publication and Woodblocks(經板) of Haeinsa Temple,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emples in the Goryeo Dynasty,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Daejang-dogam and Gibok-dogam, and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the scripts of Song(宋) and Yuan(元) periods. There are 13 types of Haeinsa publications and Woodblocks, including 12 Goryeo Dynasty woodblocks and 1 Haeinsa publication. Other materials published in the temples of the Goryeo Dynasty include three kinds, such as Geumgwangmyeonggyeongmungu(金光明經文句), and Hwaeom Ilseunggyoeui-Bunjejang(華嚴一乘敎義分齊章) related to the Goryeo-gyojang, as well as Beobgyegwansigcho(法界觀式抄). Among the commentaries listed in the Gyojangchonglok(敎藏總錄), there are 11 kinds of commentari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Daejang-dogam and Bunsa-dogam. Jjuinwang-hogug-banyagyeong(注仁王護國般若經) and Hongchan-beobhwajeon(弘贊法華傳) are confirmed as the engravings of each member who participated in Daejang-dogam. Others are conveyed by Cheontaesakyoeui(天台四敎儀) published in the Gibok-dogam, Daebanggwangbul-HwaeomGyeongso(大方廣佛華嚴經疏) imported from the Song Dynasty, and HwaeomGyeong-gangyo(華嚴經綱要) imported from the Yuan Dynasty.
      The circul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gyojang‘s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the GangyeongdoGambon(刊經都監本) published from 1461. There are Inmyeong-ibjeonglinonsocho(因明入正理論疏鈔), etc. as a second edition of Gangyeongdogam, and as new commentaries such as Wongaggyeong-daesoseoguicho(圓覺經大疏釋義鈔) were discovered in Songgwangsa(松廣寺), it became possible to add an understanding of the publication and spread of the Goryeo-gyojang. Reviewing the publication of Gangyeongdogam, it was estimated that eight kinds of Gangyeongdogam, such as Sinhwaeomgyeonghabnon(新華嚴經合論), and Geumgwangmyeonggyeong-mungu(金光明經文句), as intermediate copies of Gangyeongdogam, but recently, a new book was discovered in Songgwangsa. It became possible to expand the study of Gyojang. Other translation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Banyasimgyeong-yaksohyunjunggi(般若心經略疏顯正記), Amitagyeong(阿彌陀經), Wongakgyeong(圓覺經). Reviewing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other Goryeo-gyojang, DaeSojuGyeong(大疏注經) was circulated and used from the 15th to the 17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following the Goryeo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국내 불교계 유통과 전승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新編諸宗敎藏總錄...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국내 불교계 유통과 전승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활용한 자료는 『新編諸宗敎藏總錄: 收錄文獻 總覽』이며, 이 총람의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 불교계에 유통되어 활용된 장소의 자료를 정리하고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 교장의 고려시대 유통과 전승에 대해서는 해인사의 간행과 수장 경판, 고려시대 사찰 간행과 유통, 대장도감 및 기복도감의 간행과 유통, 송․원대 각본의 전래와 유통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해인사의 간행과 수장 경판은 고려시대 목판 12종, 해인사 중간본 『천태사교의』 1종 등 모두 13종이 확인된다. 기타 고려시대 사찰 간행 자료는 妙蓮社 중간 『금광명경문구』 등 3종, 고려 교장과 관련된 『화엄일승교의분제장』을 비롯하여 『法界觀式抄』 등이 있고, 이들 자료는 원간기나 간행기록이 없지만, 국내외 유일본으로 가치가 크다. 『교장총록』에 수록되어있는 장소 가운데 대장도감 및 분사도감에서 간행된 장소는 모두 11종이며, 대장도감에 참여한 각수의 판각본으로 『注仁王護國般若經』, 『弘贊法華傳』이 확인된다. 고려후기 유통과 관련하여, 기복도감에서 『천태사교의』를 중간하여 유통하였다. 고려 교장으로 활용된 장소 가운데 송나라에서 판각하여 수입한 정원의 편찬인 『대방광불화엄경소』와 원나라의 간행본을 수입하여 간행한 징관의 『화엄경강요』가 현전한다.
      고려 교장의 조선시대 유통과 전파는 1461년부터 간행된 조선 세조대 간경도감본에서 찾을 수 있다. 간경도감의 중수본으로 『因明入正理論疏鈔』 등이 있고, 최근 송광사에서 『圓覺經大疏釋義鈔』 등 새로운 장소가 발견되면서 교장 간행과 전파에 대한 이해를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간경도감의 중간을 살펴보면, 초기연구에서 『大方廣佛華嚴經合論』, 『金光明經文句』 등의 8종을 간경도감 중간본으로 추정하였지만, 최근 송광사 등에서 신출본이 발견되면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기타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언해본으로는 『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顯正記』, 『佛說阿彌陀經』,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이 있는데, 이들의 저본은 고려 교장 장소류의 전본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조선시대 언해본의 저본은 고려시대의 전본으로 추정되는데, 고려 교장의 원형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타 고려 교장의 중간과 유통을 살펴보면, 『대소주경』이 고려시대에 이어 조선시대에도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중간되어 유통되었고, 다수 인경되어 활용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용섭, "조선시대 『대방광불화엄경소』의 간행" 한국서지학회 (76) : 135-158, 2018

      2 김성수, "백천사 소장 「大方廣圓覺略䟽注經」에 관한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75) : 145-177, 2018

      3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4 유부현, "고려대장경의 구성과 저본 및 판각에 대한 연구" 시간의물레 2014

      5 남권희, "고려 제종교장과 華嚴經 章疏 자료집" 고려대장경연구소 125-181, 2014

      6 大屋德城, "高麗續藏雕造攷" 便利堂 1937

      7 김영미, "高麗大藏經本 『釋摩訶衍論』의 底本 연구" 이화사학연구소 (59) : 130-158, 2019

      8 남권희, "諸宗敎藏 文獻을 어떻게 접근하고 연구할 것인가" 고려대장경연구소 55-104, 2017

      9 교장프로젝트팀,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 [1]․[2]" 고려대장경연구소출판부 2019

      10 송일기, "刊經都監 重修本에 대한 誤解" 한국서지학회 (73) : 83-98, 2018

      1 오용섭, "조선시대 『대방광불화엄경소』의 간행" 한국서지학회 (76) : 135-158, 2018

      2 김성수, "백천사 소장 「大方廣圓覺略䟽注經」에 관한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 (75) : 145-177, 2018

      3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4 유부현, "고려대장경의 구성과 저본 및 판각에 대한 연구" 시간의물레 2014

      5 남권희, "고려 제종교장과 華嚴經 章疏 자료집" 고려대장경연구소 125-181, 2014

      6 大屋德城, "高麗續藏雕造攷" 便利堂 1937

      7 김영미, "高麗大藏經本 『釋摩訶衍論』의 底本 연구" 이화사학연구소 (59) : 130-158, 2019

      8 남권희, "諸宗敎藏 文獻을 어떻게 접근하고 연구할 것인가" 고려대장경연구소 55-104, 2017

      9 교장프로젝트팀,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 [1]․[2]" 고려대장경연구소출판부 2019

      10 송일기, "刊經都監 重修本에 대한 誤解" 한국서지학회 (73) : 83-98, 2018

      11 "『東文選』 권103. 「姜碩德, 華嚴經跋」. 『高麗史』 卷10 世家10 宣宗 4年 甲戌(條)"

      12 남권희, "13세기 天台宗 관련 高麗佛經 3종의 書誌的 考察 : 圓覺類解, 法華文句幷記節要" 19 : 3-64,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