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8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parated by seas,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ngaged actively in interaction too in the pre-modern period. As maritime accidents occurred simply because interaction was frequent, the three countries implemented assistance systems....

      Separated by seas,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ngaged actively in interaction too in the pre-modern period. As maritime accidents occurred simply because interaction was frequent, the three countries implemented assistance systems. Such systems in the East Asian region for the rescue of drifters did more than provide assistance to people involved in maritime accidents through humanitarian-like perspectives, they also were high-level diplomatic activities that were linked to the overlapping issues of domestic politics and state defense in each country.
      Chosŏn and China repatriated drifters through the traditional foreign relations established through the tribute system. When political conditions changed, such as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ng China to Qing China, there were times when repatriation of Chinese drifters was not easy, but, overall, Chinese who landed in Chosŏn were repatriated receiving careful attention from the Chosŏn government. There were no regulations relating to repatriation, but Chosŏn bore the costs associated with repatriation. The route by which the Korean government returned the Chinese drifters proceeded from the site of landing to Hanyang, to Ŭiju, and then to Liaodong. An envoy specially appointed to lead the Chinese to Liaodong accompanied them, and he delivered the Chinese people to the Liao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er. The Chosŏn government also presented a written document that explained the circumstances. The Chinese government entrusted the Korean envoy with return gifts that expressed thanks for the repatriation of the drifters.
      In the case of Chosŏn and Japan, until the Imjin Waeran of 1592-1598, repatriation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not constant, bu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following the Edo bakufu’s grasp of central power, a stable system for repatriating drifters gradually developed. Because the political conditions in the Chinese mainland had stabilized by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system for repatriating drifters between Chosŏn and Japan too came to be managed in a stable manner. Japanese who landed in Chosŏn were forwarded from the landing site to the Japan House in Pusan, and the Chosŏn government bore the associated costs. After the Japanese were sent from the Japan House to Nagasaki via Tsushima, the Japanese were questioned and then sent to their home community.
      In this way,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founding of the Qing government Korea, Japan,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managed repatriation systems within the traditional diplomatic order centered on China. Later,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se countries introduced modern Western laws for assistance in maritime accidents and came to manage new systems for maritime assist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한ㆍ중ㆍ일 3국은 근대 이전에도 바다를 통하여 활발한 교류가 있었으며, 해양을 통한 교류가 잦은 만큼 해양사고 또한 자주 발생하였고, 일찍부터 해난구조 시스...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한ㆍ중ㆍ일 3국은 근대 이전에도 바다를 통하여 활발한 교류가 있었으며, 해양을 통한 교류가 잦은 만큼 해양사고 또한 자주 발생하였고, 일찍부터 해난구조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지역의 표류민 구조제도는 단순히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해양사고를 당한 사람을 구조하는 차원이 아니었으며, 각국의 국내정치와 국방문제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는 고도의 외교행위였다.
      조선과 중국은 책봉체제(冊封體制)에 입각한 전통적인 외교관계에 바탕을 두고 표류민을 송환하였다. 명청 교체기 등 정치적 상황이 바뀔 때는 중국 표류민의 송환이 원활하지 못할 때도 있었지만, 대체로 조선에 표류한 중국인은 조선 정부의 세심한 구호를 받으면서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송환과 관련하여 성문화된 규정은 없었으며, 송환비용은 모두 조선측이 부담하였다. 송환 루트는 표착지-한양-의주-요동이었으며, 특별히 선발된 사신이 표류민을 인솔하고 요동으로 가서 책임자(都司)에게 인계하였다. 인계할 때는 표착 경위를 적은 자문(咨文)을 함께 제출하였고, 표류민을 인수받은 중국측에서는 조선 사신을 통해서 답례품을 보내고 표류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朝日 간의 표류민 송환체제가 불안정했으며, 임진왜란 이후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가 중앙권력을 장악하면서부터 차츰 안정적인 표류민 구조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말 중국 대륙의 정치 정세가 안정되면서부터 비로소 한일간의 표류민 송환체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조선에 표류한 일본인은 조선측의 부담으로 표류지에서 부산의 왜관(倭館)으로 인계하였으며, 왜관(倭館)에서 대마도(對馬島)를 거쳐 나가사키(長崎)로 호송된 후 조사를 받고 귀향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처럼 明ㆍ淸 교체기를 전후 한 시기에 한국ㆍ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들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국제질서 아래 해난구조 시스템을 운영했으며, 개항 이후에는 서양의 근대적인 해난구조법을 받아들여서 새로운 해난구조 시스템을 운영하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 "표류선, 청하지 않은 손님 -외국 선박의 조선 표류 관련기록 探討-" 한국한문학회 (43) : 81-108, 2009

      2 손승철, "조선통신사, 일본과 통하다" 동아시아 2006

      3 원종민, "조선에 표류한 중국인의 유형과 그 사회적 영향" 중국학연구회 (44) : 225-260, 2008

      4 한일관계사학회, "조선시대 한일 표류민연구" 國學資料院 2001

      5 정민, "다산의 「해방고(海防考)」에 나타난 중국 표선(漂船) 처리문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 155-180, 2009

      6 신동규, "근세 漂流民의 송환유형과 ‘國際關係’-조선과 일본의 제3국 경유 송환유형을 중심으로. 松谷元永煥교수정년기념논총" 17 : 2002

      7 유서풍, "近世東亞海域的僞裝漂流事件:以道光年間朝鮮高閑祿的漂流中國事例爲中心"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45): 103-154, 2009

      8 荒野泰典, "近世東アジアの國家關係論と漂流民送還體制" 60 (60): 2000

      9 春名徹, "近世東アジアにおける漂流民送還體制の形成" 4 : 1994

      10 荒野泰典, "近世日本の漂流民送還體裁と東アジア" 400 : 1983

      1 정민, "표류선, 청하지 않은 손님 -외국 선박의 조선 표류 관련기록 探討-" 한국한문학회 (43) : 81-108, 2009

      2 손승철, "조선통신사, 일본과 통하다" 동아시아 2006

      3 원종민, "조선에 표류한 중국인의 유형과 그 사회적 영향" 중국학연구회 (44) : 225-260, 2008

      4 한일관계사학회, "조선시대 한일 표류민연구" 國學資料院 2001

      5 정민, "다산의 「해방고(海防考)」에 나타난 중국 표선(漂船) 처리문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 155-180, 2009

      6 신동규, "근세 漂流民의 송환유형과 ‘國際關係’-조선과 일본의 제3국 경유 송환유형을 중심으로. 松谷元永煥교수정년기념논총" 17 : 2002

      7 유서풍, "近世東亞海域的僞裝漂流事件:以道光年間朝鮮高閑祿的漂流中國事例爲中心"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45): 103-154, 2009

      8 荒野泰典, "近世東アジアの國家關係論と漂流民送還體制" 60 (60): 2000

      9 春名徹, "近世東アジアにおける漂流民送還體制の形成" 4 : 1994

      10 荒野泰典, "近世日本の漂流民送還體裁と東アジア" 400 : 1983

      11 池內敏, "近世日本と朝鮮漂流民" 臨川書店 1998

      12 이훈, "近世日本と朝鮮漂流民" 臨川書店 1998

      13 劉序楓, "近世中國と日本間における漂流, 漂着事件について. in: 東アジア海域における交流の諸相-海賊·漂流·密貿易" 九州大學21世紀COEプログラム 2005

      14 정성일, "漂流記錄을 통해서 본 朝鮮後期 漁民과 商人의 海上活動-『漂人領來謄錄』과 「漂民被仰上帳」을 중심으로" 99 : 2002

      15 이훈, "朝鮮後期 漂流民과 韓日關係" 국학자료원 2000

      16 이훈, "朝鮮後期 日本에서의 朝鮮人 漂民 취급과 善隣友好의 실태-조선인 漂民의 騷擾 행태와 수습을 중심으로" (47) : 1993

      17 박원호, "明代 朝鮮 漂流民의 送還節次와 情報傳達 ―崔溥 『漂海錄』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4) : 65-92, 2005

      18 劉序楓, "十七·八世紀の中國と東アジアー淸朝の海外貿易政策を中心に. in: アジアから考える地域システム" 東京大學出版會 1993

      19 정성일, "全羅道 住民의 日本列島 漂流記錄 分析과 데이터베이스화(1592~1909)" 한국사학회 (72) : 91-132, 2003

      20 "『通航一覽』, 1912, 國書刊行會, 朝鮮國部百十二 漂着 卷之百三十六"

      21 "『通航一覽』, 1912, 國書刊行會, 朝鮮國部百十一 漂流 卷之百三十五"

      22 박정자, "『朝鮮物語』에서 표류일본인들에게비춰진 朝鮮事情" 한국일어일문학회 59 (59): 74-91, 2006

      23 이훈, "‘漂流’를 통해서 본 근대 한일관계" 한국사연구회 123 (123): 9-308, 2003

      24 김경옥, "18~19세기 서남해 도서지역 漂到民들의 추이 - 『備邊司謄錄』 『問情別單』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44 (44): 5-36, 2008

      25 關周一, "15世紀のおける朝鮮人漂流人送還體制の形成" 617 :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