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투고논문 :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율문(律文)의 형식(形式)과 수사특성(修辭特性) = Sudang(修堂), Lee, Nam Gyu(李南珪) Focused on the form and rhetoric function regarding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2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즘 학계에서는 1910년 경술년 한일강제합방 100주년을 맞이하여 경술년 순국선열 향산 이만도, 매천 황현 등과 같은 인물에 대한 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개항 이래 ...

      요즘 학계에서는 1910년 경술년 한일강제합방 100주년을 맞이하여 경술년 순국선열 향산 이만도, 매천 황현 등과 같은 인물에 대한 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때에 개항 이래 정치적 사회적으로 수많은 격동의 와중에서도 변함없이 확고한 주체적 자세로 일관된 생활 태도를 보였던 구한말의 순국선열의 한 분인 수당 이남규의 율문을 대상으로 그 형식과 수사특성을 해명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修堂은 자유로운 창작의식의 소유자였다. 사적인 글쓰기에서 그는 해당 문체의 정형성에 관계없이 변체와 파격을 스스럼없이 구사하고 있다. 그러나 창작에 대한 그의 이러한 시도들은 일탈과 방외로 연결되지 않는 절제된 자유로움이다. 그의 파격은 전통과 정형성이라는 큰 틀 속에 자신의 창작의도를 불어 넣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문학형식에서는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기도 했다. 이러한 창작의식과 개성적 형식을 추구한 그의 글은 사물을 세밀하게 묘사한다는 부분은 다소 다름이 있을지 모르나 평포직서하면서도 번잡하게 나열하지 않고 단아함을 추구하는 그의 글은 18-19세기의 소품문의 흥취가 물씬 풍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lebrating the centenary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it has been getting the spotlight today in the academic world to the patriotic martyrs, such as Hyangsan(響山), Lee, Man do(李晩燾), Maecheon(梅泉), Hwanghyeon(黃玹) and so on...

      Celebrating the centenary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it has been getting the spotlight today in the academic world to the patriotic martyrs, such as Hyangsan(響山), Lee, Man do(李晩燾), Maecheon(梅泉), Hwanghyeon(黃玹) and so on. And at such times, the focus of this paper to help explain the form and rhetoric function regarding provisions of a criminal code of Sudang(修堂), Lee, Nam Gyu(李南珪), one of the patriotic martyrs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朝鮮) Dynasty, keeping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despite creating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since the opening of ports. Sudang(修堂) gives himself over to his passion for creativity. In personal writing, he departs from the standard pattern and has a good command of abnormal and unprecedented writing in his style. However, his attempt for writing is not connection with deviance and beyond the scope but with restraint. His unprecedented writing inspires his appetite for writing into a frame of tradition and departing from the standard pattern. In addition; his writings are marked by his strong individuality. His writings stressing creative power and individual style are somewhat different from a detailed description but reveal the distinction of essay literature in pursuit of elegance without listing scraps of inform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