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진과 고조선의 전쟁 = The war between Yan, Qin and Kochosun during the period of Ancient China ansd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document in which the name ‘Choseon’ appears is 『Guanzi』. According to 『Guanzi』, the name ‘Choseon’ already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BC. It is reasonable to view BalChoseon at this time as Bohai's Choseon, un...

      The first document in which the name ‘Choseon’ appears is 『Guanzi』. According to 『Guanzi』, the name ‘Choseon’ already appeared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BC. It is reasonable to view BalChoseon at this time as Bohai's Choseon, unlik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In some cases, when Yan was attacked by Shanrong, Qi attacks Shanrong through Yan, or Shanrong attacks Qi through Yan.
      Shanrong, who tormented Yan, disappeared in the middle and end of the Chunqiu period, and Donghu appears instead. Yan and Qi developed into a stage where they attacked each other through mutual checks or direct wars. Yan was in a major civil war in 316 BC, and Yan was invaded by Qi. Yan, on the other hand, sets out to conquer Qi in 284 BC. Capture Renzi, the capital of Qi.
      To the east of Yan at that time were Choseon and Liaodong. Among them, the order of Hutuo and Yishui was recorded in the direction of viewing. Therefore, the tribal names Choseon and Liaodong were also written in order. The invasion of Donghu and Choseon was after Yan conquered Qi.
      There is a fact that Wiman subjugated Jinbeon in Yan's heyday. Therefore, Choseon, which Yan invaded and destroyed, should be regarded as Jinbeon. Jinbeon was not included in Yan's Great Wall.
      Qin overthrew Yan and makes it belonged to Liaodongwaijiao. The Qin Great Wall reached now XiLiaohe north of Liaohe. Choseon took advantage of the chaotic period of the Qin-Han transition to usurp Yan's east. After Qin destroyed Yan, Choseon took over the interior of Liaodongwaijia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과 제 그리고 산융의 관계를 살펴보면 연이 산융의 공격을 받자 제가 연을 통해 산융을 공격하거나 산융이 연을 통해 제를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연은 산융과 제라는 강대국에 둘...

      연과 제 그리고 산융의 관계를 살펴보면 연이 산융의 공격을 받자 제가 연을 통해 산융을 공격하거나 산융이 연을 통해 제를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연은 산융과 제라는 강대국에 둘러싸인 약소국이었다. 연을 괴롭힌 산융은 춘추시대 중 말기에 사라지고 대신 동호가 등장한다. 연과 제는 상호 견제 또는 직접 전쟁을 통해 상대를 공격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한다. 『전국책』에 의하면 당시 연의 동쪽에는 조선과 요동이 있었다. 이중에 호타와 역수의 기재 순서는 趙가 燕을 공격하는 방향에 따라 기록되었음이 인정된다. 그럼으로 종족명과 지명인 조선과 요동도 그 순서대로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의 동호와 고조선에 대한 침략은 연이 제를 정벌한 이후의 시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연과 가장 근접해 있던 국가는 조선으로 인정된다. 『사기』조선열전에는 연의 전성기 때 위만이 진번을 복속시킨 사실이 나온다. 『사기』 조선열전에서 나오는 진번은 연의 장성 구간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또 『사기』에는 한나라 군이 상곡 12현, 우북평 16현, 요서와 요동 29현, 어양 22현을 평정했다는 말이 나오는데 그 시점에 대해서는 사마천이 당대의 사실을 마치 옛일처럼 소급해 기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동의 위치가 난하 유역에서 대릉하 지역으로 옮겨 간 시점은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이후라고 생각된다. 요동외요는 요동의 밖에 있는 요를 지칭하며 진 장성은 요하 북쪽 곧 지금의 서요하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조선은 진한교체기의 혼란한 시기를 틈타 연의 동쪽을 빼앗는다. 곧 조선을 기준으로 보면 요동외요 안쪽인 곧 서쪽을 조선이 점령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인한, "한국고대 군사전략"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5

      2 전준현, "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사(고조선-발해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3 전대준, "조선단대사(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4 이광명, "전국 시기 연의 요동 진출 연구" 부경대 2019

      5 권오중,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영남대출판부 2012

      6 강인숙,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7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8 조원진,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 연구" 한국사학회 (129) : 197-236, 2018

      9 조원진,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과 요동" 한국고대학회 (62) : 35-75, 2020

      10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55) : 15-60, 2017

      1 서인한, "한국고대 군사전략"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05

      2 전준현, "조선인민의 반침략투쟁사(고조선-발해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3 전대준, "조선단대사(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4 이광명, "전국 시기 연의 요동 진출 연구" 부경대 2019

      5 권오중,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영남대출판부 2012

      6 강인숙,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7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8 조원진,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 연구" 한국사학회 (129) : 197-236, 2018

      9 조원진,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과 요동" 한국고대학회 (62) : 35-75, 2020

      10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55) : 15-60, 2017

      11 박대재, "고대한국 초기국가의 왕과 전쟁" 경인문화사 2006

      12 배진영, "고대 北京과 燕文化" 한국학술정보 2009

      13 윤병모, "건창 동대장자 유적과 고조선" 유라시아문화학회 4 : 35-78, 2021

      14 "鹽鐵論" 上海人民出版社 1974

      15 李盛珪, "遼東郡の位置の變遷" 京都 古代學協會 1994 (1994): 1994

      16 "逸周書" 中華書局 1980

      17 "舊唐書" 中華書局 1982

      18 "管子" 上海古籍出版社 2015

      19 裵眞永, "燕昭王의 政策과 ‘巨燕’의 成立" 중국사학회 25 : 1-36, 2003

      20 배진영, "燕國의 五郡 설치와 그 의미 -戰國時代 東北아시아의 勢力關係-" 중국사학회 (36) : 1-44, 2005

      21 金南中, "燕‧秦의 遼東統治의 限界와 古朝鮮의 遼東 回復" 62 : 2002

      22 "漢書" 中華書局 1982

      23 "淮南子" 上海古籍出版社 2016

      24 裵眞永, "春秋時期 燕國 對外關係의 變化" 중국사학회 17 : 1-34, 2002

      25 "戰國策" 中華書局 2016

      26 송진, "戰國·秦·漢時期 遼東郡과 그 경계" 한국고대사학회 (76) : 55-94, 2014

      27 "後漢書" 中華書局 1982

      28 "山海經" 天地出版社 2019

      29 권오중, "吉玄益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96

      30 "史記" 中華書局 1982

      31 박대재, "古朝鮮과 齊의 해상교류와 遼東" 고려사학회 (57) : 7-41, 2014

      32 노태돈,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23 : 1990

      33 "前漢紀" 吉林出版集團 2005

      34 송호정, "先秦文獻에 기록된 古朝鮮 사회와 주민집단" 호서사학회 (61) : 223-250, 2012

      35 "三國志" 中華書局 1982

      36 오현수, "『사기』 「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鄣’에 대한 검토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기능-" 고려사학회 (70) : 45-71, 2018

      37 오현수, "『魏略』 기재 朝鮮侯와 ‘取地二千餘里’의 검토" 고려사학회 (61) : 47-76, 2015

      38 오현수, "『管子』에 등장하는 ‘穢貉’과 ‘發朝鮮’의 역사적 실체 ― ‘穢貉’․‘發朝鮮’ 조문의 사료 맥락적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43) : 119-150, 2012

      39 陳平, "『燕史紀事編年會按』 下冊" 北京大學出版社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