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경기 서북부 일대 비구니 사찰과 비구니의 활동 - 전등본말사지에 수록된 비구니 명단을 중심으로 - = Bhikkhuni Temples and Activities of Bhikkhuni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List of Bhikkhunis Listed in Jeondeung Bonmalsaji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9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activities of bhikkhunis by examining thos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mes of bhikkhunis as listed in the various historica...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activities of bhikkhunis by examining those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mes of bhikkhunis as listed in the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of Jeondeungsa Temple.
      Jeondeungsa Temple and its branches are comprised of a total of four temples dedicated to bhikkhunis. At Cheongnyeonsa Temple, Wontongam Hermitage, and Jeongsusa Temple in Gang -hwa Island, bhikkhunis built their own temples while Naewonam Hermitage at Gaepung Wontongsa Temple and Mitaam Hermitage at Hwajangsa Temple were maintained as independent living spaces for bhikkhuni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temples and the bhikkhunis recorded in the documents of Jeondeung Bonmalsa Templ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nuns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mainly lived on Ganghwa Island and in Gaeseong. Eight temples where the activities of bhikkhunis have been confirmed were either all on Ganghwa Island or were hermitages attached to temples located around Gaegyeong. Second, the bhikkhunis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temples. The bhikkhunis located on Ganghwa Island frequently participated in the work at Jeondeung -sa Temple as donor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work of other bhikkhuni temples as well as the temple to which each belonged. When work was done at a bhikkhuni temple, the bhikkhus were in charge of the work and the bhikkhunis participated as donors. Third, the bhikkhunis maintained Dharma lineages separate from the bhikkhu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Jeondeung Bonmalnijungpagye” that Dharma lineages have been active in each of the four temples.
      In this paper, it is confirmed that the culture concerning the practices of bhikkhunis has continu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do, and that bhikkhuni communities have been maintained by operating their own Buddhist temp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등본말사의 각종 사료에 실린 비구니 법명을 토대로 조선후기 경기 서북부 일대의 비구니 사찰을 조사하고 비구니의 활동을 분석한 연구이다. 전등본말사 관련 사료들을 조사...

      본 논문은 전등본말사의 각종 사료에 실린 비구니 법명을 토대로 조선후기 경기 서북부 일대의 비구니 사찰을 조사하고 비구니의 활동을 분석한 연구이다.
      전등본말사 관련 사료들을 조사한 결과 총 177건의 조선시대 비구니 및 사미니의 법명을 확인하였다. 중복명을 제외하면 총 114명(비구니 111명, 사미니 3명)이다. 전등본말사에서 비구니들의 독립 사암은 총 5곳으로 확인 되었다. 강화의 청련사, 원통암, 정수사는 비구니들이 독자적으로 사찰을 꾸 려갔다. 개풍 원통사의 비구니들은 산내암자인 내원암을 중심으로, 화장사의 비구니들은 미타암을 중심으로 독립된 수행공간을 운영하였다.
      전등본말사의 고문서에 나타난 비구니 사찰과 비구니 활동의 특징은 세가 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경기 서북부의 비구니들은 주로 강화도와 개성 주변에 거주하고 있 었다. 비구니의 활동이 확인되는 여덟 곳의 사암은 강화도 내에 있거나, 개 성 인근의 사찰 부속암자였다.
      둘째, 비구니들은 거주 지역의 사찰 및 승려들과 상보적인 관계를 유지하 였다. 강화도 내에 위치한 비구니들은 전등사의 불사에 화주나 시주로 참여 하였고, 소속 사찰뿐만 아니라 다른 비구니 사찰의 불사에도 참여하였다. 비 구니 사찰에서 불사가 이루어질 경우 비구들이 감역 등을 담당하였고, 비구 사찰에서 비구니들이 화주나 시주로 참여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셋째, 비구니들은 독립된 비구니 법맥을 계승하였다. 전등본말사 중 4곳의 사찰에서 비구니들의 사자상승(師資相承)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전등본말니 중파계」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경기 서북부 일대에 비구니들의 수행 문화가 이어져왔 고, 비구니들이 독자적으로 사찰을 운영하며 비구니승가를 유지하였음을 확 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집-인천광역시‧경기도" 조계종출판사 2012

      2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3 고경스님, "한국의 불화-화기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4 김용태, "토픽 한국불교사" 여문책 2021

      5 탁효정,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유점사본말사지』에 기재된 비구니 명단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70 : 25-58, 2022

      6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7 황인규, "조선시대 불교계 고승과 비구니" 혜안 2011

      8 탁효정, "조선시대 淨業院의 위치에 관한 재검토 –영조의 淨業院舊基碑 설치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97) : 43-72, 2017

      9 이기운, "조선시대 淨業院의 설치와 불교신행" 한국종교학회 25 : 2001

      10 이기운, "조선시대 內願堂의 설치와 철폐" 한국불교학회 29 : 2001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집-인천광역시‧경기도" 조계종출판사 2012

      2 하춘생, "한국의 비구니 문중" 해조음 2013

      3 고경스님, "한국의 불화-화기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4 김용태, "토픽 한국불교사" 여문책 2021

      5 탁효정, "조선후기 금강산 일대의 비구니 암자와 비구니의 활동-『유점사본말사지』에 기재된 비구니 명단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70 : 25-58, 2022

      6 李起雲, "조선시대 왕실의 比丘尼院 설치와 信行" 역사학회 178 : 29-58, 2003

      7 황인규, "조선시대 불교계 고승과 비구니" 혜안 2011

      8 탁효정, "조선시대 淨業院의 위치에 관한 재검토 –영조의 淨業院舊基碑 설치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97) : 43-72, 2017

      9 이기운, "조선시대 淨業院의 설치와 불교신행" 한국종교학회 25 : 2001

      10 이기운, "조선시대 內願堂의 설치와 철폐" 한국불교학회 29 : 2001

      11 양혜원, "조선 초기 궁궐 사찰 ‘내원당(內願堂)’의 설치와 변동" 한국사상사학회 (69) : 87-129, 2021

      12 탁효정, "조선 전기 정업원(淨業院)의 성격과 역대 주지 - 조선시대 정업원의 운영실태(1)" 한국여성사학회 (22) : 101-132, 2015

      13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5 – 인천‧경기도의 전통사찰Ⅱ" 사찰문화연구원 1995

      14 한동민, "일제강점기 寺誌 편찬과 그 의의-安震湖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32) : 233-263, 2010

      15 이향순, "비구니와 한국문학" 예문서원 2008

      16 김형우, "고재형의 『심도기행』과 20세기초의 강화도" 역사문화학회 18 (18): 157-188, 2015

      17 최선일, "강화 사찰 문헌자료의 조사연구" 인천학연구원 2011

      18 "顯宗實錄"

      19 고재형, "譯註 沁都紀⾏" 도서출판 2008

      20 朴憲⽤, "續修增補 江都誌" 崔喜冕⽅ 1932

      21 "東國輿地志"

      22 이지희, "朝鮮時代 淨業院의 運營" 청람사학회 18 : 2010

      23 조선총독부내무부지방국찬집, "朝鮮寺刹史料" 경성인쇄소 1911

      24 韓國學⽂獻硏究所, "傳燈本末寺誌‧奉先本末寺誌" 아세아문화사 1978

      25 탁효정, "15~16세기 정업원의 운영실태-새롭게 발견된 端宗妃 定順王后의 고문서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82) : 37-68,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