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후(戰後)의 재해 거버넌스에 관한 한일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8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전후(戰後) 한일 양국의 재해 거버넌스 및 경제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의 경제구조나 경제정책이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화했...

      본 논문의 목적은 전후(戰後) 한일 양국의 재해 거버넌스 및 경제정책을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의 경제구조나 경제정책이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과 한국의 전후(1945년 이후) 재해 거버넌스 및 경제정책, 부흥정책을 비교해 본 결과, 정책의 변화 및 한일간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자 분석 목적이었던 재해 이후 세계 경제의 구조 변화 속에서 전후(戰後) 한국과 일본이 계획하고 실행한 복구 및 부흥정책 및 경제정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별 재해부흥 프로세스에서의 일본 시스템(거버넌스)의 변용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시스템의 변용을 요약하면, 전쟁과 전쟁 사이를 의미하는 ‘전간(戰間)체제’에서 벗어나 전후(1945)는 말 그대로 ‘전후(戰後)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기존(旣定) 정책의 비효율적 대응이 지속되어 체제 변화 및 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전간(戰間)체제가 지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글로벌 경제의 변동에 따른 일본 경제정책의 대응관계에 관한 것이다. 전전(戰前)은 경제대공황(1929-33)의 발생과 맞물린 쇼와(昭和)공황이 발생하여 ‘전시(戰時)경제’라 할 수 있다. 전후(1945)는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체제하의 무역자유화 추진 및 ‘재벌해체, 농지개혁, 노동개혁 등을 통한 경제자립’으로 변동되었다. 이에 비해 전후(1945) 한국의 시스템은 ‘전후 신탁통치 체제’로 작동의 주체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변화되었을 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재원조달을 위한 수단인 재정정책에 관한 비교분석이다. 관동대지진(1923) 후 ‘국채 외채의 발행’ 및 ‘긴축재정정책의 실시’, 전후(1945)는 ‘세계 시스템으로의 복귀’를 통한 경제대국으로 진입 등의 정책변화가 이루어졌다. 한편 한국은 자유시장경제 체제의 도입을 위한 ‘일본인 소유지 농지개혁의 단행 및 농산물가격 개선’, ‘통화개혁(1953)’ 등 다양한 경제정책의 시도과정에서 정책실행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한 수단(재정)으로 주로 ‘미국의 경제원조’에 의존했다. 넷째, 재해 후 일본의 부흥정책을 추진한 주요 정책결정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것이다. 관동대지진(1923) 후 일본정부의 ‘부흥원’ 운영, 전후(1945)는 연합국군최고사령부(GHQ)와 일본정부가 주도하는 구도로 변화하였다. 특히 한국과 일본을 비교하자면, 전후 부흥(현장) 과정에서 주된 정책 수행자가 바뀌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 비해 일본은 취약성이 훨씬 적어, 전후경제부흥에 안정적인 프로세스로 운영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小林慶一郎, "「大震災に立ち向かう-大震災後の経済政策のあり方-」キャノングローバル戦略研究所" (財)国土技術研究センター

      2 정창영, "해방후 40년간의 산업정책의 전개" 1985

      3 김광석, "한국의 외환ㆍ무역정책" 한국개발연구원 1976

      4 송규진, "일제말(1937~1945) 통제경제정책과 실행과정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42) : 141-175, 2011

      5 "일본경제재생본부"

      6 송지영, "일본경제론" 청록출판사 2013

      7 김연석, "일본경제ㆍ무역의 분석: 한국경제를 위한 교훈의 모색" 문음사 1992

      8 다카하시 조센, "일본경제 50년사: 사라진 일본경제의 기적" 다락원 2002

      9 김영근, "일본 원자력 정책의 실패"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10 "일본 외무성경제국(外務省経済局)"

      1 小林慶一郎, "「大震災に立ち向かう-大震災後の経済政策のあり方-」キャノングローバル戦略研究所" (財)国土技術研究センター

      2 정창영, "해방후 40년간의 산업정책의 전개" 1985

      3 김광석, "한국의 외환ㆍ무역정책" 한국개발연구원 1976

      4 송규진, "일제말(1937~1945) 통제경제정책과 실행과정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42) : 141-175, 2011

      5 "일본경제재생본부"

      6 송지영, "일본경제론" 청록출판사 2013

      7 김연석, "일본경제ㆍ무역의 분석: 한국경제를 위한 교훈의 모색" 문음사 1992

      8 다카하시 조센, "일본경제 50년사: 사라진 일본경제의 기적" 다락원 2002

      9 김영근, "일본 원자력 정책의 실패"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10 "일본 외무성경제국(外務省経済局)"

      11 "위키피디아 한국판"

      12 김영근, "동일본대지진과 일본의진로: 일본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 한울 2013

      13 미와 료이치, "근대와 현대 일본경제사" 보고사 2005

      14 이해주, "韓国工業化の歴史的展開―工業化政策の展開における韓日比較の視点" 税務経理協会 1980

      15 "阪神大震災と経済再建" 勁草書房 1999

      16 岩田規久男, "経済复興―大震災から立ち上がる" 筑摩書房 2011

      17 北山俊哉, "福祉国家の制度発展と地方政府" 有斐閣 2011

      18 関西学院大学COE災害復興制度研究会, "災害復興―阪神ㆍ淡路大震災から10年" 関西学院大学出版会 2005

      19 김영근, "災害後日本経済政策の変容 -関東·戦後·阪神淡路·東日本大震災の比較分析-" 한국일어일문학회 84 (84): 375-406, 2013

      20 김영근, "東日本大震災後の日本経済と通商政策:TPP政策を中心に" 현대일본학회 (35) : 33-60, 2012

      21 老川慶喜, "日本経済史―太閤検地から戦後復興まで" 光文社 2002

      22 中谷巌, "日本経済の歴史的転換" 東洋経済新報社 2011

      23 이해주, "援助經濟下의 消費財工業發展과 資本蓄積: 1945-60年의 韓國의工業化" 30 : 1982

      24 Nick Tiratsoo, "戦災復興の日英比較" 知泉書館 2006

      25 太田康夫, "戦後復興秘録―世銀融資に学ぶ日本再生"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2

      26 橋本寿朗, "戦後の日本経済" 岩波新書 1995

      27 福田徳三, "復興経済の原理及若干問題" 関西学院大学出版会 2012

      28 二神壮吉, "大震災复興ビジョン―先駆的地域社会の実現―" オーム社 2011

      29 "ウィキペディア(日本語版)"

      30 井村喜代子, "を経て" 有斐閣 1993

      31 Ruggie, John Gerard, "International Regimes, Transactions, and Change: Embedded Liberalism in the Postwar Economic Order"

      32 권혁은, "1950년 한미경제안정위원회의 설립과 안정화정책의 성격" 58 :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9 0.58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