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의 식민지적 분업구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6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1937~1945)을 대상으로 하여, 인조섬유공업 재편의 배경을 파악하면서 인조섬유공업의 산업연관・내부구조, 조선의 인조섬유공업이 가지는 특징을 검토하였...

      본고는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1937~1945)을 대상으로 하여, 인조섬유공업 재편의 배경을 파악하면서 인조섬유공업의 산업연관・내부구조, 조선의 인조섬유공업이 가지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체제기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의 인조섬유 정책의 구조적 차이점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중일전쟁기(1937~1940) 수출시장 축소와 무역적자에 직면한 일본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면방직의 대체 공업인 스프공업을 장려했다. 조선총독부의 인조섬유정책은 스프공업보다 인견공업에 초점이 있었다. 아시아태평양전쟁기(1941~1945) 일본정부는 일본제국주의경제권의 물동계획을 개편하면서 인조섬유를 대상품목으로 설정하였다. 일본정부는 본토에서는 인견공업 대신 스프공업을 장려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조선총독부는 엔블럭의 자급용 산업인 섬유공업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둘째, 조선에는 자립적인 공업구조를 담보할 수 있는 인조섬유기계제공업이 부재하다는 점과 조선인 중소공업의 내부구조를 밝혔다. 중일전쟁기 일본독점자본은 조선의 저렴한 임금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에 인조섬유공업의 일관생산체제를 이식했다. 하지만 인조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기계공업의 발전이 뒷받침되었던 일본과 달리 조선에는 인견기계제조업이 도입되지 않았다. 조선인들은 견직으로 유명한 안주와 대구에서 집중적으로 인견직물 생산에 참가하였다. 그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원사를 배급받아서 수직기와 족답기를 활용하여 직조하는 수준이었고, 대구지역에서는 염색공정도 만들어졌다.
      셋째, 조선에서 스프공업의 본질은 군수용이었다는 것과 기술에 따른 식민지적 분업구조 형성을 밝혔다. 조선의 인조섬유공업은 자급자족에도 미치지 못한 상태 속에서 종연방적의 스프생산은 군수를 목적으로 했다. 전시체제기 화학품은 군수용으로 동원되었기 때문에 인조섬유제조업의 조업이 축소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정부는 물동계획을 통해 조선에 엔블럭 내 민수용인 인견사 생산에 집중하고, 일본에 주로 군용으로 사용/되는 스프 생산에 집중하였다. 이는 두 인조섬유의 기술적 격차에 의한 것이었다. 당시 인견사는 개발과 생산공정이 낙후한 舊기술이였으며, 스프는 인견사와 반대로 新기술이었다. 즉, 조선은 舊기술인 인견사를, 일본은 新기술인 스프를 담당하는 식민지적 분업구조를 형성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a study of synthetic fiber industry(1937-1945), furthermore about mechanical・technical feature, policy and reality of synthetic fiber industry. It is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ontrol policy gap bet...

      This research is about a study of synthetic fiber industry(1937-1945), furthermore about mechanical・technical feature, policy and reality of synthetic fiber industry. It is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ontrol policy gap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s synthetic fiber industry while the Sino-Japanese war and governor-general of Korean synthetic fiber industry. Encouragement of staple fiber material was the quality of Japanese government"s synthetic fiber industry. Comparing to this, Governor-General of Korea didn"t work on the control policy. The final determination organization of Governor-General of Korean control system was the conditionality of commerce and industry. This is the reason why Joseon synthetic fiber industry missed the structure of production of the thread.
      Second, the advance of artificial silk capital while the Sino-Japanese war completed, but the machine manufacturing as the foundation did not grow. The Japanese synthetic capitals that reached to Joseon were the Japanese bangjeok and Jongyeon bangjeok. the Japanese bangjeok and Jongyeon bangjeok, which makes the yarn, brought about a change to the production structure of synthetic fiber industry. But unlike the Japanese manufacture of artificial silk took the basis on the growth of the artificial machinery manufacturing, Joseon artificial machinery manufacturing was lacking. Also, since 1939, when yarn started coming out, small and medium-sized industries started to deploy the artificial union cloth industry. It is surprising that this was developing in Anju and Daegu, not in Gyeonsung or Busan which were the existing center of artificial silk manufacture. Especially, there was a instance of using jokdapkee instead of yeokjeekkee.
      Third, while the Pacific War, Japan developed control policy for the artificial silk industry. The Japanese cabinet carried out the artificial silk installation"s offer・business reorganization right after abolishing artificial silk rayon business" combination・control unification・artificial silk grouping system. In Joseon, the control system of rayon yarn・rayon staple yarn that finally organizates Japanese government dueing to materials mobilization, was continu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 생산구조 재편의 배경
      • 3. 중일전쟁기 일본 독점자본의 진출과 조선인 중소자본의 대응
      • 4.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과 조선의 식민지적 분업구조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 생산구조 재편의 배경
      • 3. 중일전쟁기 일본 독점자본의 진출과 조선인 중소자본의 대응
      • 4.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과 조선의 식민지적 분업구조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隅谷三喜男, "한국의 경제" 한울 1983

      2 박현채, "한국사회연구 Ⅰ" 까치 1983

      3 오미일, "한국근대자본가연구" 한울 2002

      4 조선총독부 이재, "자금조정관계합의서류사철"

      5 이승렬, "일제하 조선인 고무공업자본" 3 : 1990

      6 김인호, "수원의 산업과 경제성장" 수원시사편찬위원회 2014

      7 中村哲, "동아시아 근대경제의 형성과 발전" 신서원 2005

      8 조선총독부 지방행정, "대구부관계철, 대구부일단의공업용지조성및주택지경영비기채의건"

      9 中村哲,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일조각 2007

      10 류상윤, "고도성장기이전 한국 중소 직물업의 전개과정 : 1910-1960"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 隅谷三喜男, "한국의 경제" 한울 1983

      2 박현채, "한국사회연구 Ⅰ" 까치 1983

      3 오미일, "한국근대자본가연구" 한울 2002

      4 조선총독부 이재, "자금조정관계합의서류사철"

      5 이승렬, "일제하 조선인 고무공업자본" 3 : 1990

      6 김인호, "수원의 산업과 경제성장" 수원시사편찬위원회 2014

      7 中村哲, "동아시아 근대경제의 형성과 발전" 신서원 2005

      8 조선총독부 지방행정, "대구부관계철, 대구부일단의공업용지조성및주택지경영비기채의건"

      9 中村哲, "근대 동아시아 경제의 역사적 구조" 일조각 2007

      10 류상윤, "고도성장기이전 한국 중소 직물업의 전개과정 : 1910-1960"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1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은행나무 2005

      12 鐘紡株式會社社史編纂室, "鐘紡百年史" 鐘紡株式會社 1988

      13 "釜山日報"

      14 商工大臣官房統計課, "賃銀統計表" 東京統計協会 1938

      15 山本有造, "経済史研究" 名古屋大学出版会 2011

      16 "産業経済新聞"

      17 経済安定本部産業局, "物資動員計画総括表"

      18 軍需省, "物資動員計画等関係書類, 第十二巻・昭和十九年"

      19 陸軍省, "民需物資輸送ニ關スル件, 陸亜密大日記第34号"

      20 "每日新報"

      21 朝鮮殖産銀行調査部, "殖銀調査月報"

      22 東京商工会議所, "東京物価及賃銀統計" 東京商工会議所 1938

      23 "東京朝日新聞"

      24 "東亞日報"

      25 東亞經濟時報社,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1937~1942" 東亞經濟時報社 1937

      26 宮田節子, "朝鮮軍槪要史" 高麗書林 1995

      27 朝鮮織物協會, "朝鮮纖維要覽" 朝鮮織物協會 1943

      28 朝鮮織物協會, "朝鮮織物協會會誌 1937~1942"

      29 朝鮮銀行調査部, "朝鮮經濟年報"

      30 東洋經濟新報社, "朝鮮産業年報"

      31 朝鮮工業協會, "朝鮮工業協會會報 1937~1942"

      32 堀和生, "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 : 日本資本主義と植民地經濟" 有斐閣 1995

      33 朝鮮總督府殖産局, "朝鮮工場名簿 1937~1941년" 朝鮮工業協會 1937

      34 企劃院, "昭和十三年ニ於ケル重要物資ノ需給計画改訂ニ関スル件"

      35 大石嘉一郞, "日本資本主義發達史の基礎知識" 有斐閣 1975

      36 大日本紡績株式會社, "日本紡績株式會社五十年記要" 大日本紡績株式會社 1941

      37 권태억, "日本帝國主義と朝鮮の蠶絲業-植民地特質としての‘二重構造’" 29 : 1991

      38 "日本工業新聞"

      39 김혜수, "日帝下植民地工業化政策과 朝鮮人資本 : 製絲・絹織業을 中心으로" 26 : 1992

      40 民族問題硏究所, "日帝下戰時體制期政策史料叢書" 韓國學術情報株式會社 70-85, 2000

      41 宋圭振, "日帝下 朝鮮의 貿易政策과 植民地貿易構造"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42 정안기, "戰時期 조선경제와 鐘紡콘체른" 경제사학회 35 : 89-134, 2003

      43 堀和生, "戰時日本経濟の硏究" 晃洋書房 1992

      44 배성준, "戰時下‘京城’지역의 공업 통제" 국사편찬위원회 88 : 2000

      45 鄭安基, "戦時植民地経済と朝鮮紡績業(上)" 32 : 2001

      46 鄭安基, "戦時植民地経済と朝鮮紡績業(上)" 33 : 2001

      47 福岡正章, "戦時期朝鮮における人絹紡績業と人絹織物業" 50 : 2004

      48 朝鮮總督府, "官報"

      49 "大阪朝日新聞"

      50 小林英夫, "大東亞公營圈の形成と崩壞" 御茶の水書房 1975

      51 "國境每日新聞"

      52 "国民新聞"

      53 同盟通信社, "人絹年鑑 1938~1941" 同盟通信社 1938

      54 "京城日報"

      55 "中外商業新報"

      56 福岡正章, "一九三0年代における人絹織物業の發展構造" 480 : 2002

      57 朝鮮織物協會, "スフ講演並織物座談會輯錄" 朝鮮織物協會 1938

      58 정안기, "1940년대 식민지 군수동원과 기업정비 -조선중요물자영단의 설립․활동․성과를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75 : 99-136, 2017

      59 김경남, "1930・40년대 면방직공업 재편성의 본질" 2 : 1996

      60 지수걸, "1930년대 전반기 부르주아 민족주의자의 ‘민족경제 건설전략’-조선공업화와 엔블럭재편정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51 : 1994

      61 김인호, "1930년대 전반기 ‘조선인공업화’에 관한 연구" 42 : 1993

      62 배성준, "1930년대 일제섬유자본의 침투와 조선직물업의 재편" 29 : 1993

      63 전우용, "1930년대 ‘조선공업화’와 중소공업" 23 : 1990

      64 김경남, "1920・30년대 면방대기업의 발전과 노동조건의 변화-4대 면방대기업을 중심으로" 25 : 1994

      65 배석만, "1920~30년대 白潤洙집안의 大昌織物株式會社 설립과 경영 -일제시기 전통상인의 산업자본 전환과정 분석-" 고려사학회 (64) : 253-283, 2016

      66 오미일, "1910~1920년대 공업발전단계와 조선인자본가층의 존재양상" 87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