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조선인의 ‘ 섬 ’ 에 대한 시선 = The Perspectiv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wards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60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한일 양국의 역사학자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나가사키현(長 崎県) 소재의 대마도에 대해서, 일본 내의 마이너리티인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해서 ...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한일 양국의 역사학자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나가사키현(長 崎県) 소재의 대마도에 대해서, 일본 내의 마이너리티인 재일조선인은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해서 분석했다. 특히,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는 일본의 지역 항구도시 및 섬 등의 지역 문화를 재조명하는 이른바 로컬리티 및 글로컬리즘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지역도시의 문화, 문학, 역사, 출판, 관광 등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동시대의 연구 동향을 시야에 넣고, 기존의 한일 역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온 일국가적인 대마도 인식과는 달리 재일조선인은 어떠한 대항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그 결과, 재일조선인 작가 김달수는 1970년 전후로 일본 속의 조선 문화를 발굴하는 이른바 한일 고대관계사 연구자로 변신하게 되고, 대마도까지 (1975년)를 통해서 대마도 인식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김달수는 본 작품에서 기존의 한일 양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정립된 대마도 인식과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발견하면서도, 구체적인 사유 방법을 확립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식민과 피식민의 서사 구조에 함몰되면서 사유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김달수는 대마도까지를 통해서 한국과 일본을 가르는 경계로서의 대한해협 =현해탄에 대한 새로운 해양 인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근대와 전근대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서사 구조 및 식민 유재로서의 재일조선인을 강조한 나머지, 오히려 역사의 탈문맥화를 가속화시킴과 동시에 경계의 초월 불가능성을 증폭시켰다고 해석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d the percep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re a miniority in the country, towards Tsushima Island, Nagasaki, which has been researched by historians in South Korea and Japan. Recently, as research on locality and glocalism...

      This article analyzed the percep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are a miniority in the country, towards Tsushima Island, Nagasaki, which has been researched by historians in South Korea and Japan. Recently, as research on locality and glocalism is being actively conducted regarding marine culture of Japan including local cities and islands, multidimensional studies on culture, literature, history, publishing, and tourism, among others, related to local cities have been published. Therefore, considering the research trend,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unter-narrative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concerning Tsushima Island, compared to the unilateral views on the island among Korean and Japanese histor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Korean-Japanese writer Kim Dalsu turned into a researcher of the anci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discovering Joseon (Korean) culture in Japan around the 1970s, and proposed a new possibility regarding perception towards Tsushima Island in his work Until Tsushima Island (1975). However, in this book, despite having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new interpretation of Tsushima Island that is different from one established by historians in Korea and Japan, he failed to develop a specific method of reasoning and, as a result, was lost in the narrative of the ruler and the ruled.
      Also, in Until Tsushima Island , Kim proposed a new perception towards the Korea Straits as a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but exacerbated decontextualization of the history and impossibility of transcending the border by emphasizing the narartive structure that focuses on the continuity of modern and pre-modern eras and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remnants of the coloni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 들어가며
      • Ⅱ . 전후 타자로서의 대마도 담론
      • Ⅲ . 김달수의 역사 사유 방법
      • Ⅳ . 역사의 재구성과 경계의 초월 불가능성
      • Ⅴ . 나오며
      • Ⅰ . 들어가며
      • Ⅱ . 전후 타자로서의 대마도 담론
      • Ⅲ . 김달수의 역사 사유 방법
      • Ⅳ . 역사의 재구성과 경계의 초월 불가능성
      • Ⅴ . 나오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남주, "한국 남해 도서와 일본 대마도의 민속문화와 문학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회 (13) : 1996

      2 김영록, "조선후기 대일공무역과 公木" 한일관계사학회 (42) : 465-502, 2012

      3 이승민, "조선후기 대일 도자교역 실태와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81) : 235-264, 2017

      4 노성환, "조선통신사와 고구마의 전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37-555, 2010

      5 하우봉, "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부산경남사학회 (74) : 153-187, 2010

      6 윤유숙, "임진왜란 발발전 한일교섭의 실태" 한국일본어문학회 2006

      7 노성환, "대마도의 영토의식을 통하여 본 한일관계" 경상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8) : 2001

      8 노성환, "대마도의 신공전승에 관한 고찰" 한국일어일문학회 (45) : 2003

      9 노성환, "대마도 천도신화에 관한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43) : 2002

      10 임상민, "김달수의 전환기 작품 연구 -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와 역사의 탈문맥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35-451, 2017

      1 강남주, "한국 남해 도서와 일본 대마도의 민속문화와 문학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회 (13) : 1996

      2 김영록, "조선후기 대일공무역과 公木" 한일관계사학회 (42) : 465-502, 2012

      3 이승민, "조선후기 대일 도자교역 실태와 그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81) : 235-264, 2017

      4 노성환, "조선통신사와 고구마의 전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37-555, 2010

      5 하우봉, "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부산경남사학회 (74) : 153-187, 2010

      6 윤유숙, "임진왜란 발발전 한일교섭의 실태" 한국일본어문학회 2006

      7 노성환, "대마도의 영토의식을 통하여 본 한일관계" 경상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8) : 2001

      8 노성환, "대마도의 신공전승에 관한 고찰" 한국일어일문학회 (45) : 2003

      9 노성환, "대마도 천도신화에 관한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43) : 2002

      10 임상민, "김달수의 전환기 작품 연구 -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와 역사의 탈문맥화"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35-451, 2017

      11 한태문, "釜山과 對馬島의 婚禮俗 비교 연구" 한국문학회 (52) : 117-147, 2009

      12 권경애, "『海東諸國紀』対馬島 지명 연구에 대한 재고찰" 일본어문학회 (68) : 1-24, 2015

      13 Kim Dalsu, "Until Tsushima Island : Kim Dalsu Complete novel No.3" Chikumashobo 1980

      14 Hatanaka Yoshie, "Tsushima(Nagasaki prefecture)" 3 (3): 2008

      15 Ueda Takashi, "Tsushima native area" The Tsushima Shimbun Company 1979

      16 Murakami Kazuhiro, "Memory and the use of "Transnationalism" at Tsushima Island in modern and present age" Japanese Cultural Anthropological Society 42 (42): 2011

      17 Kim Dalsu, "Korean culture in Japan" Kodansha 1970

      18 Sato osamu, "An artist who hopes to bridge" New Japanese literature 643 : 2003

      19 Kim Dalsu, "About Korean culture : Kim Dalsu Review My Literature" Chikumashobo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