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 = A Study on the Location of the Nine Northeastern Fortresses Pioneered by Yun Gwan of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3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 “고려의 북방영토는 서북은 당(唐) 이후로 압록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서북은 고구려 지역에 못 미쳤으나, 동북은 고구...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 “고려의 북방영토는 서북은 당(唐) 이후로 압록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서북은 고구려 지역에 못 미쳤으나, 동북은 고구려 영토보다 더 북상하였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려 국경 문제를 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서인 동북9성의 위치에 대하여 한국사 교과서에는 “동북9성의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두만강 이북설’ 등 여러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아직 학계내에서 동북9성의 위치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첫째, ‘길주 이남설’은 조선시대의 ‘정통론’이란 소중화(小中華)의 입장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한백겸이 󰡔동국지리지󰡕에서 마운령 정상에 존재하는 ‘석추구기(石樞舊基)’가 진흥왕순수비라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채, 윤관의 선춘령 정계비로 추정한 결과이다.
      둘째, ‘함흥평야설’은 일제의 관학자들이 주장하였으며, 한반도와 만주를 일제의 영구적 식민지로 만들려는 목적으로 조작한 식민사관 중의 반도사관에 의한 결과물이다.
      셋째, ‘두만강 이북설’은 조선초기 기록인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용비어천가󰡕·󰡔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들을 토대로 연구되어 졌으며, 동북9성은 두만강 이북 지역에 위치했었다고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이들 문헌자료들의 거리와 지명 등을 근거로 현지를 답사하여 고증한 결과, 동북 9성 위치를 비정하는 주요 지명인 공험진과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했었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고찰하면,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이남부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처 지역의 여진 귀속 문제를 승인 받았다. 이 사실들로 볼 때 조선 초기에는 공험진이 두만강 이북에 있었다는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인식 아래 명과의 외교 교섭을 벌여 두만강 이북에 대한 관할권을 인정받은 것이다.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동북9성이 두만강 이북 700리에 실재했다는 사실을 한국사 교과서에 명확하게 기록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경문제는 남북통일 이후 주변국과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것이 분명하므로, 먼저 우리 학계 내부에서 국경문제와 관련한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국가 차원의 연구 지원사업을 통해서 동북9성이 고려 및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 현재의 흑룡강성 수분하 일대 및 연변 등 길림성 일대의 지역에 있었다는 인식을 전제로 현재의 연해주 일대까지 국가의 강역으로 경략하려 했다는 논의를 분명하게 정립할 필요
      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동북9성 길주 이남설 및 함흥평야설 비판
      • 1. 길주 이남설 비판
      • 2. 함흥평야설 비판
      • Ⅲ. 동북9성 두만강 이북설 검토
      • Ⅰ. 머리말
      • Ⅱ. 동북9성 길주 이남설 및 함흥평야설 비판
      • 1. 길주 이남설 비판
      • 2. 함흥평야설 비판
      • Ⅲ. 동북9성 두만강 이북설 검토
      • 1. 관련 연구 검토
      • 2. 동북9성 두만강 이북설 관련 문헌 근거 분석
      • Ⅳ. 문헌과 현지 답사에 의한 공험진·선춘령 위치 비정
      • 1. 문헌에 의한 공험진·선춘령의 위치 비정
      • 2. 공험진·선춘령 비정 지역 답사 현황
      • 3. 공험진·선춘령 지역의 역사지리적 검토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구진, "「윤관 9성의 범위와 조선 6진의 개척」, 여진세력 관계를 중심으로" 21·22 : 1977

      2 윤무병, "「길주성과 공험진」, 공험진 입비문제의 재검토" 10 : 1958

      3 "해동역사속"

      4 "해동역사"

      5 방동인, "한민족과 북방과의 관계사 연구" 1995

      6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 1990

      7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 ㈜두산 2009

      8 김영심, "조선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26 : 2000

      9 "조선왕조실록"

      10 이인철, "일제의 한국사 왜곡이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선사(1938)』의 역사지리 비정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2

      1 김구진, "「윤관 9성의 범위와 조선 6진의 개척」, 여진세력 관계를 중심으로" 21·22 : 1977

      2 윤무병, "「길주성과 공험진」, 공험진 입비문제의 재검토" 10 : 1958

      3 "해동역사속"

      4 "해동역사"

      5 방동인, "한민족과 북방과의 관계사 연구" 1995

      6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 1990

      7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 ㈜두산 2009

      8 김영심, "조선후기 정통론의 수용과 그 변화" 26 : 2000

      9 "조선왕조실록"

      10 이인철, "일제의 한국사 왜곡이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선사(1938)』의 역사지리 비정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2

      11 복기대, "윤관의 9성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48 : 2011

      12 "용비어천가"

      13 김상기, "여진 관계의 시말과 윤관(尹瓘)의 북정" 국사편찬위원회 4 :

      14 "신증동국여지승람"

      15 "승정원일기"

      16 윤여덕, "수빈강 선춘령에 서린 천년한" 2008

      17 "성호사설"

      18 최규성, "선춘령과 공험진비에 대한 신고찰" 34 : 2002

      19 "동환록"

      20 "동사강목"

      21 "동국지리지"

      22 "동국지리지"

      23 "동국여지지"

      24 "대동지지"

      25 김구진, "공헌진과 선춘령비" 21 : 1976

      26 정해은, "고려의 북방정책-여진정벌의 평가와 윤관9성 고찰을 중심으로" 세계문화사 1983

      27 "고려사절요"

      28 "고려사"

      29 이정신,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32) : 107-140, 2012

      30 최규성, "고려 초기의 북방영토와 구성의 위치비정" (76) : 2006

      31 허인욱, "고려 중기 동북계의 범위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32 김종수,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33 금성출판사 편집부, "고등학교 한국사" 금성출판사 2014

      34 方東仁, "高麗時代의 北界劃定에 關한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3

      35 朝鮮史編修會, "朝鮮史" 朝鮮總督府 1932

      36 조성을, "《我邦彊域考》에 나타난 丁若鏞의 歷史認識" 15 : 1992

      37 허태용, "17세기 말∼18세기 초 中華繼承意識의 형성과 正統論의 강화" 진단학회 (103) : 59-85, 2007

      38 김순자, "10~11세기 고려와 요의 영토전쟁" 고구려연구재단 (11)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