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世宗實錄 地理志와 高麗史 地理志의歷史地理 認識 = The Historio-geographical Locations of the Capitals and Boundaries of Korean Ancient Kingdoms in Sejong Sillok Chilichi and Koryosa Chilich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 to modern P'yongyang. Second,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modern P'yongan province belonged to Kochoson. Third, Sejong Sillok Chi...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 to modern P'yongyang.
      Second,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modern P'yongan province belonged to Kochoson.
      Third, Sejong Sillok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Mahan the modern Iksan.
      Fourth, Sejong Sillok Chilichi did not refer to Samhan's boundaries.
      Fifth, Sejong Sillok Chilichi la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yo to Seongchon and did not refer to the lcatioin of the second capital, Kuknaeseong.
      Six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Koguryo's boundary had included Hamgyung, P'yungan, Hwanghae, Kangwon and Kyunggi Province.
      Eigh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that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Ch'ungch'unng and Cholla Province.
      Ninth, Sejong Sillok Chilichi thought Silla's boundary was Kyungsang Province.
      The contents of Koryosa Chilichi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capital of Kochoson's to modern P'yongyang.
      Second, Koryosa Chilichi thought the bundary of Koryo's P'ukgue had belonged to Kochoson.
      Third, Koryosa Chilichi located Mahan's capital to Keummajeo, modern Iksan.
      Fourth, Koryosa Chilichi thought Koryo had unified Samhan's boundaries.
      Fifth, Koryosa Chilichi located the first capital of Koguryo to Seongch'on.
      Six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first capital of Paeckje was Chiksan and Paeckje moved to Kwangju in modern Kyunggi Province in the 14th year of King Ohnjo.
      Seven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north to the Han River in Kyunggi had belonged to Koguryo.
      Eighth Koryosa Chilichi thought that the Paeckje's boundary had included Kyunggi and South Ch'ungch'ung, and Cholla Provind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론에서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고조선을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의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고조선의 수도를 평양에 비정하였다. 둘...

      본론에서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고조선을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의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고조선의 수도를 평양에 비정하였다. 둘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시대 당시 평안도 지역이 원래 고조선의 강역이었던 것으로 비정하였다.셋째 삼한 가운데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馬韓의 首都에 대하여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전라도 益山으로 비정하였다. 넷째 세종실록 지리지의 서두 및 각 道 서두의 沿革 설명에서는 삼한의 강역과 후대와 관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다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고구려 첫 번째 수도 졸본은 평안도 成川 부근에 비정되었고 두 번째 수도 국내성의 위치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세 번째 수도는 평양으로 비정하였다. 여섯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백제의 처음 수도 위례성은 稷山이며 이 곳에서 온조 14년 南漢山(=廣州)으로 옮겼다고 하였다. 일곱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조선 세종 당시 함길도(나중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원래 貊 지역), 황해도, 경기도 지역을 고구려의 강역으로 생각하였다.여덟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을 충청도와 전라도에 비정하였으며 경기 지역은 고구려 영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아홉째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신라의 강역은 경상도 지역에 비정되었다.열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檀君朝鮮箕子朝鮮衛滿朝鮮을 三朝鮮으로 묶어서 파악하는 동시에 이들의 수도를 모두 平壤(고려 당시 西京)에 비정하였다.열한 번째 고려사 지리지는 고려 당시의 北界 지역을 고조선의 강역으로 보았다. 열두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삼한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마한의 수도는 金馬郡으로 비정되었다. 열세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려가 三韓 지역을 통일한 것으로 보면서 삼한의 馬韓, 辰韓, 卞韓 가운데 구체적으로 그 강역을 언급한 것은 辰韓만이다.열네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수도에 대하여 처음 수도 졸본은 대략 成州(고려 당시; 조선시대 成川) 부근으로 비정하였다. 열다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초기 백제의 수도 변천에 대하여 처음 도읍지 위례성은 직산이며 직산에서 온조 14년 남한산성(오늘날 경기도 廣州)으로 이주하였다고 보았다.열여섯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는 고구려의 강역에 대하여 고려시대 양광도 지역 가운데 한강 이북은 원래 고구려 강역이었다고 간주하였고 고려 시대 교주도 지역은 본래 貊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강역이 되었으며 고려시대 북계 지역은 원래 고조선 지역이었으나 삼국시대에 고구려 강역이 되었다고 보았다.열일곱 번째 고려사 지리지에서 백제의 강역에 대하여는 고려시대 양광도 가운데 한강이남 지역과 고려시대 전라도 지역을 원래 백제의 강역이었다고 생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무, "한국의 관찬지리지" 6 : 1982

      2 _, "한국역사의 이해" 집문당 1995

      3 박인호,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이회 1996

      4 정두희,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 2" 70 : 1976

      5 정두희,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 1" 69 : 1976

      6 서인원, "조선초기 지리지 연구-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혜안 2002

      7 조성을, "조선초기 고조선삼한삼국의 수도와 강역 인식-신증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아주대 박물관 11 : 2005.12

      8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9 "백제사대계 1 수록 예정" 2006

      10 이태진, "동국여지승람 편찬의 역사적 성격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비교" 서울대출판부 1980한영우1981

      1 이성무, "한국의 관찬지리지" 6 : 1982

      2 _, "한국역사의 이해" 집문당 1995

      3 박인호,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이회 1996

      4 정두희,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 2" 70 : 1976

      5 정두희,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 1" 69 : 1976

      6 서인원, "조선초기 지리지 연구-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혜안 2002

      7 조성을, "조선초기 고조선삼한삼국의 수도와 강역 인식-신증동국여지승람을 중심으로-" 아주대 박물관 11 : 2005.12

      8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9 "백제사대계 1 수록 예정" 2006

      10 이태진, "동국여지승람 편찬의 역사적 성격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비교" 서울대출판부 1980한영우1981

      11 조성을, "朝鮮 中後期 百濟 認識-首都와 疆域觀을 中心으로-"

      12 조성을, "三國史記에서의 三韓三國의 首都와 疆域 認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