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我國·我東方’ 의식의 추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6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에서는 초기부터 다양한 이종족·이국인이 내조·내헌과 내투·내부의 방식을 통해 한시적 거주 내지 영구 거주하면서 고려 해동천하를 이루고 있었다. 고려 해동천하에서 탐라·발해 �...

      고려에서는 초기부터 다양한 이종족·이국인이 내조·내헌과 내투·내부의 방식을 통해 한시적 거주 내지 영구 거주하면서 고려 해동천하를 이루고 있었다. 고려 해동천하에서 탐라·발해 출신은 한인 출신과 같이 국가명을 출자로 표시하여 관리되었지만, 한인 출신과는 다르게 고려 사회에 깊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한편 여진, 거란, 몽골 등 북방 출신은 그 종족명으로 출자를 표시하였지만 고려 정부에서 종족 단위로 파악하여 관리하였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여진 등은 지역적, 공간적 통제로 관리되었다. 그런 배경 속에 고려에서는 ‘族類’가 조선 전기와 달리 같은 친족의 사람이란 좁은 의미로 활용되었다. 종족과 유사한 용어인 ‘遺種’ ‘種類’도 그 의미를 특정하기 힘들게 활용되었고 송으로부터 들어와 정부에서도 알고 있었던 ‘種族’ 용어도 활용되지 않았다. 그와 같은 고려의 ‘종족’ 인식 위에서 고려의 자기의식도 점차 조정되어 갔다.
      고려 초기부터 태조 왕건과 최승로로 대표되는 국왕과 신료의 사고 범주 중심에 ‘우리나라(我國)’가 있었고 ‘아국’으로의 집단귀속의식은 강조, 하공진 등으로 대표되는 ‘고려인’으로서의 강렬한 귀속의식이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거란과 대립 속에서 발전된 지방인들의 집단귀속의식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그 위에 ‘我東方’ ‘我海東’ ‘我大邦’ ‘我日月’ ‘我乾坤’ 등으로 표현되는 해동천하로서의 집단귀속의식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아일월’과 ‘아건곤’은 백성과 함께 하는 소천하로서의 면모를 가지고 있었고, 해동천하에서는 이종족도 ‘우리’로 포함되어 ‘我蕃軍’이 보고문에서 활용되었다. 이는 지리 공간을 중심축으로 하는 집단귀속의식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고려 중·후기 국제관계의 변화 속에서 고려의 역사의식은 과거로 확장되어 갔고 ‘우리나라’의 ‘우리(我)’는 과거 우리나라의 왕조를 포괄하는 의미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고려 말에 ‘고려인’은 선조 혈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개념으로 조정되어갔다. 고려 전기의 국가귀속의식을 보여주는 ‘고려인’이 고려 말에 와서는 종족적인 함의를 품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우리 동방(我東方)’도 기자 이래 수천년 역사를 담는 개념으로 조정되었다. 이는 고려 말로 갈수록 시간을 중심축으로 한 집단귀속의식으로 점차 조정되어 갔던 것을 보여준다.
      ‘삼한’은 韓이란 출자로 표현된, 정체성 있는 역사적 영역세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시간을 중심축으로 한 집단귀속의식을 잘 보여주는 것이지만, 韓이 셋으로 분리된 것을 내포한 것이란 점에서 근원적으로 하나의 우리 종족 단위가 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그런 한계는 고려 후기 ‘조선’의 재발견을 통해 극복되었다. 고려 말 ‘조선’은 고려의 별칭으로 활용되었고 國祖로서의 ‘조선’이 외교문서에서도 활용된 결과, 이후 신왕조 개국 후 조선으로 국호가 결정되는 배경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various ethnic groups and foreigners have been living in Goryeo for a while or for a long time. Various species and foreigners were not managed by ethnic groups but by local control. Against this backdrop since t...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various ethnic groups and foreigners have been living in Goryeo for a while or for a long time. Various species and foreigners were not managed by ethnic groups but by local control. Against this backdrop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e king and his officials had a strong sense as a Goryeoin(高麗人). Such a sense of belongingness was composed of the state and the units of the Goryeo world. The sense of belongingness as a member of the Goryeo Dynasty was expressed as the consciousness of Aguk(我國). And the one as a member of the Goryeo world was expressed as the consciousness of Adongbang(我東方). However in a common historical experience, such as the loss of the eastern and western jurchens of Goryeo, the long-standing war with Mongols and Yuan interference, the sense of history of Goryeo expanded to the past in search of a root that could not be shaken. During the chan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term "Goryeoin(高麗人)" was used based on ethnic consciousness, and Samhan(三韓) which had a limited ethnic meaning, was replaced by Joseon(朝鮮).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종족’ 인식
      • Ⅲ. 고려의 ‘我國·我東方’ 의식 추이와 ‘고려인’·‘조선’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려의 다원적 종족 구성과 ‘종족’ 인식
      • Ⅲ. 고려의 ‘我國·我東方’ 의식 추이와 ‘고려인’·‘조선’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돈,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풀빛 1998

      2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나종우, "한국 중세 대일교섭사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96

      4 "태종실록"

      5 김구진, "조선전기 여진족의 2대 종족-오랑캐(兀良哈)와 우디캐(兀狄哈)" 68 : 2004

      6 김구진, "조선 초기에 韓民族으로 동화된 토착 여진" 58 : 2001

      7 최종석, "조선 건국의 대외적 정당화 작업과 중화 보편의 추구" 한국사연구회 (180) : 79-112, 2018

      8 이석현, "북방민족과 중원왕조의 민족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9 한규철, "발해의 대외관계사" 신서원 1994

      10 이효형, "발해 유민사 연구" 혜안 2007

      1 노태돈,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풀빛 1998

      2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나종우, "한국 중세 대일교섭사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96

      4 "태종실록"

      5 김구진, "조선전기 여진족의 2대 종족-오랑캐(兀良哈)와 우디캐(兀狄哈)" 68 : 2004

      6 김구진, "조선 초기에 韓民族으로 동화된 토착 여진" 58 : 2001

      7 최종석, "조선 건국의 대외적 정당화 작업과 중화 보편의 추구" 한국사연구회 (180) : 79-112, 2018

      8 이석현, "북방민족과 중원왕조의 민족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9 한규철, "발해의 대외관계사" 신서원 1994

      10 이효형, "발해 유민사 연구" 혜안 2007

      11 박찬승, "민족・민족주의" 소화 2016

      12 "단종실록"

      13 남인국, "고려전기의 투화인과 그 동화정책" 8 : 1986

      14 채웅석, "고려전기의 다원적 국제관계와 문화인식" 한국중세사학회 (50) : 11-45, 2017

      15 마종락, "고려전기 정치권력과 유학사상" 80 : 1995

      16 박순우, "고려전기 정부의 한인(漢人)인식과 내투(來投) 한인들의 행적" 한국역사연구회 (84) : 215-249, 2012

      17 송용덕, "고려전기 국경지역의 주진성편제" 51 : 2005

      18 한정수, "고려전기 異邦人‧歸化人의 입국과 해동천하" 한국중세사학회 (50) : 113-155, 2017

      19 박경안, "고려전기 外來人의 문화적 특성과 정착과정 - 왕조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 한국중세사학회 (42) : 247-274, 2015

      20 추명엽, "고려전기 ‘번(蕃)’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2

      21 송용덕, "고려의 一字名 羈縻州 편제와 尹瓘 축성" 한국중세사학회 (32) : 71-105, 2012

      22 박옥걸, "고려시대의 귀화인 연구" 국학자료원 1996

      23 박옥걸, "고려시대의 귀화인 연구" 국학자료원 1996

      24 이진한, "고려시대 송상왕래 연구" 경인문화사 2011

      25 채웅석, "고려시대 민족체 인식이 있었다" 58 : 2002

      26 김위현,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4

      27 박용운, "고려시대 개경 연구" 일지사 1996

      28 "고려사절요"

      29 채웅석, "고려사 형법지 역주" 신서원 2009

      30 "고려사"

      31 이기백, "고려귀족사회의 형성" 일조각 1990

      32 노명호, "고려국가와 집단의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33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34 박종기, "고려 전기 주민 구성과 국가체제 - 來投문제를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3) : 99-133, 2009

      35 이미지, "고려 전기 異國人 入境의 유형과 실상-來獻‧來朝‧來投‧來附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43) : 41-88, 2015

      36 추명엽, "고려 역사상의 탐색" 집문당 2017

      37 박종기, "고려 다원사회의 형성과 기원" 한국중세사학회 (36) : 109-140, 2013

      38 박종기, "고려 다원사회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중세사학회 (45) : 9-28, 2016

      39 추명엽, "高麗時期 ‘海東’ 인식과 海東天下" 한국사연구회 (129) : 29-59, 2005

      40 이진한, "高麗時代 外國人의 居留와 投化" 한국중세사학회 (42) : 137-175, 2015

      41 한국역사연구회, "譯註 羅末麗初金石文(上)" 혜안 1996

      42 "東人之文四六"

      43 "新五代史"

      44 "宋史"

      45 "冊府元龜"

      46 추명엽, "11세기후반~12세기초 여진정벌문제와 정국동향" 45 : 2001

      47 노명호, "10~12세기 탐라와 고려국가" 28 : 2005

      48 김용선, "(개정판)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아시아문화연구소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