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公州 彌勒院 飯子의 銘文과 奉安處에 대한 재고찰 = Reconsideration on the Inscriptions and Places Enshrined for the Buddhist gong at MiReukWon, KongJu made during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8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륵원 반자는 1191년(명종 21)에 본래부터 있었던 인제원이 미륵원으로 개칭될 때 승려인 道人 孝安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彌勒院의 飯子에 담긴 銘文의 의미를 재검토하고, 반...

      미륵원 반자는 1191년(명종 21)에 본래부터 있었던 인제원이 미륵원으로 개칭될 때 승려인 道人 孝安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彌勒院의 飯子에 담긴 銘文의 의미를 재검토하고, 반자가 걸렸던 미륵원의 위치를 비정하였다. 먼저, 명문의 해독과 관련해서는 허흥식이 이전에 ‘公州 土車縣 땅의 人濟院’이라고 해독한 구절을 ‘公州 땅 車峴(車嶺) 꼭대기 또는 차령 모퉁이의 인제원’이라는 말로 재해석했다. 그 근거로는 유사한 시기에 제작된 반자의 명문이 제작연월일+제작지+봉안처+제작자+기원문+중량 등으로 구성된 점과 공주에 토거현이라는 지명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었다.
      미륵원이 설치되어 운영된 지역은 공주에서 천안으로 넘어가는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 뒷말의 절터로 추정된다. 인풍리 뒷말 일대는 차령과 쌍령의 중간지점이며, 교통의 요지이다. 현재에도 그곳에는 인저원, 인지원 등의 지명이 남아있고, 지역 주민들은 서북쪽 차령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인제원 고개, 원터 고개라고 부른다. 따라서 조선시대 인제원은 고려시대 인제원의 후신이며, 고려시대 인제원은 한 때 미륵원이라고도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끝으로 미륵원이 다시 인제원으로 바뀐 이유에 대해서는 몽골 침입기의 어느 시점에 폐지되었다가 또다시 개설되는 과정에서 그러한 변화가 있지 않을까 추정하였다. 미륵원이 폐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회덕에 미륵원이 생긴 것이 중요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ce where the Buddhist gong was made during Goryeo Dynasty, the historical fact contained to the inscribed characters and the place of the MiReukWon enshrined with the Buddhist gong were looked into in this paper. The aforementioned important po...

      The place where the Buddhist gong was made during Goryeo Dynasty, the historical fact contained to the inscribed characters and the place of the MiReukWon enshrined with the Buddhist gong were looked into in this paper. The aforementioned important poi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Buddhist gong at MiReukWon was made by a monk, zen master Hyoan at MiReukWon, Kongju on 1191(12st year of King Myungjong). The Buddhist gong was cast newly while InJeWon where the Buddhist gong placed from the beginning changed its name at that time. An interesting thing is the location of MiReukWon where the Buddhist gong was hoisted. It was the place not too much different with the InJeWon of Choseon Dynasty. In the other words, it was in the village called as InJuWon till today.
      With regards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s, Park Heung-sik reinterpreted the phrase of ‘InJeWon on the land of Togeo prefecture, Kongju’ for ‘the top of Charyeung on the land of Kongju or InJeWon at the edge of Charyeung.’ He point out for its rationale that the inscriptions on the Buddhist gong made during similar age was composed of make date, make place, storage place, maker, optative sentence, and the geographical name of Togeo prefecture was not existed in Kongju. Still, there are the geographical names such as InJeoWon and InJiWon at the proximities of Inpoong-ri, Jungan-myeon, Kongju City. The name of the hill crossing to Charyeung in the northwest is InJeWon Hill or Wonteo Hill. From these fact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JeWon of Goryeo Dynasty is the later self of InJeWon of Goryeo Dynasty, and it is highly probable the InJeWon of Goryeo Dynasty was called as MiReukWon at on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머리말
      • 2. 미륵원 반자 명문의 재검토
      • 3. 미륵원의 위치와 기능
      • 4. 맺음말
      • 초록
      • 1. 머리말
      • 2. 미륵원 반자 명문의 재검토
      • 3. 미륵원의 위치와 기능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4, 충남편(상)" 2001

      2 吳亨根, "한국미륵사상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7

      3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韓國美術史學會刊 1981

      4 이종봉, "한국 중세 도량형제 연구" 혜안 2001

      5 송성욱, "춘향전" 민음사 2004

      6 신선혜, "신라 중고기 僧職의 설치와 僧團" 한국불교연구원 (46) : 179-207, 2017

      7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8 홍영의,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학회 (50) : 225-281, 2017

      9 李東洲, "고려불화한국의미⑦" 中央日報社 1994

      10 심봉근, "고려불구(高麗佛具)의 분석(分析)-청동반자(靑銅飯子)를 중심(中心)으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11 : 1986

      1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4, 충남편(상)" 2001

      2 吳亨根, "한국미륵사상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7

      3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韓國美術史學會刊 1981

      4 이종봉, "한국 중세 도량형제 연구" 혜안 2001

      5 송성욱, "춘향전" 민음사 2004

      6 신선혜, "신라 중고기 僧職의 설치와 僧團" 한국불교연구원 (46) : 179-207, 2017

      7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8 홍영의,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학회 (50) : 225-281, 2017

      9 李東洲, "고려불화한국의미⑦" 中央日報社 1994

      10 심봉근, "고려불구(高麗佛具)의 분석(分析)-청동반자(靑銅飯子)를 중심(中心)으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11 : 1986

      11 채웅석, "고려19 금문 및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2014

      12 홍영의, "고려 금속제 佛具類 銘文에 보이는 京‧外 匠人의 제작활동" 한국중세사학회 (46) : 259-305, 2016

      13 김정호, "걸어서 가던 한양 옛길, 제주~서울간 호남대로 현장답사" 향지사 1999

      14 황수영, "黃壽永全集4(금석유문)" 혜안 1998

      15 손영문, "高麗時代<彌勒下生經變相圖>硏究"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45-74, 2008

      16 손영문, "高麗時代 龍華手印 彌勒圖像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53) : 121-147, 2006

      17 최응천, "高麗時代 靑銅金鼓의 硏究" 9 : 1988

      18 "高麗史節要"

      19 "高麗史"

      20 黃壽永, "高麗佛畵-阿彌陀像과 觀經變相" 한국미술사학회 2 : 108-, 1961

      21 최응천, "韓國禁口形金鼓의 造形과 展開" 동악미술사학회 (13) : 7-32, 2012

      22 "海東高僧傳"

      23 "海東繹史"

      24 최응천, "水多寺址 出土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의 성격과 명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7) : 233-250, 2016

      25 "林下筆記"

      26 "新增東國輿地勝覽"

      27 "惺所覆瓿藁"

      28 "彌勒院南樓記"

      29 "大東地志"

      30 許興植, "中世(上, 下)" 亞細亞文化社 1984

      31 "三國遺事"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