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속격 조사와 처소격 조사의 분화 가능성에 대한 고찰 ―속격 조사 ‘ㅣ’ 모음의 기원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of Korean Genitive Case Markers and Locative Case Markers ―Focus on the Original Setting of the Genitive Case Marker ‘ㅣ’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4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고대와 중세국어 문헌에 보이는 소위 ‘특이처격 조사’로도 분류되는, 후기중세국어의 속격조사 ‘-/의’의 기원형 설정을 통해, 조사들의 교체 및 분화 양상을 고...

      이 글의 목적은 고대와 중세국어 문헌에 보이는 소위 ‘특이처격
      조사’로도 분류되는, 후기중세국어의 속격조사 ‘-/의’의 기원형 설정을
      통해, 조사들의 교체 및 분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중세국어 문헌에
      서 주격조사 ‘ㅣ’와 속격조사 ‘ㅣ’와 ‘/의’, 그리고 처격조사 ‘애/에’는 모
      두 형상적 유사성뿐만 아니라 기능상 관련성을 보이는데, 즉, 중세어의
      경우 이들 조사들은 문헌상에서 각기 상이한 형상적 특징을 지녔으나, 동
      일한 기능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음 조사들이 모두
      기원적으로 동일한 범주에 속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주
      격조사 ‘ㅣ’와 달리 처속격조사 ‘ㅣ’와 ‘/의’, ‘애/에’는 모두 동일한 기원
      형 [/긔]에서 기원하여, ‘ㄱ’이 탈락 혹은 약화되어 활음화된 후, 다양
      한 이중모음으로 분화되었음을 가정하고, 그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러한 논의를 위해 처속격조사의 기원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처속격조사의 기원형의 기저형을 ‘/긔’이라 가정하고, 향가
      에서 처속격조사로 쓰였던 ‘矣’, ‘衣’, ‘希’, ‘中’ 을 형태 음소적 관점에서
      비교 고찰하였다. 이 가운데 ‘원가’의 ‘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에서 ‘沙
      矣’는 모래에 대응하고, 모래의 고어형이 ‘몰개’임을 통해 ‘矣’가 ‘/긔’에
      대응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여 방언형과 몽골어, 구결, 계림유사 등
      의 사례를 통해 /k→h→ø/의 과정 즉 자음의 약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
      다. 이러한 자음의 약화에 의한 활음화는 주모음에 영향을 미쳐, 주모음
      이 약화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물로 속격조사
      ‘ㅣ’가 출현하게 됨을 논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ltern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ase markers through the original setting of the genitive case marker ‘- / 의’ in the ancient and medieval Korean language, which is also classified as the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ltern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ase
      markers through the original setting of the genitive case marker ‘- / 의’ in the
      ancient and medieval Korean language, which is also classified as the so-called
      “special locative case markers”.
      In the medieval Korean texts, the nominative case marker ‘ㅣ’, the genitive case
      marker ‘ㅣ’, ‘/의’ and the locative case marker ‘애/에’ all show not only formal
      similarity but also functional relevance. That is, in the case of medieval Korean
      language, these case markers have different features in the texts, but they often have
      the sam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postpositional
      particles consisting of vowels all originally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ve case markers ‘ㅣ’, ‘/의’ and ‘애/에’
      all originated from the same origin [/긔], unlike the nominative case marker ‘ㅣ’.
      Under this assumption, it was also assumed that ㄱ was deleted or weakened and
      became active, and then it wa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vowels. And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 pattern. The origin of the locative case markers was examined
      through these discuss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origin of the locative case markers
      is ‘ / 긔’ and compares them morphologically of ‘矣’, ‘衣’, ‘希’ and ‘中’ which
      were used in Hyangga as the locative case mark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ossibility that ‘矣’ corresponds to  / 긔 through
      the fact that ‘沙矣’ corresponds to 모래 in ‘行尸浪阿叱沙矣以攴如攴’ of Wonga
      and the origin of ‘모래’ is ‘몰개’. We examined the process of / k → h → ø /,
      that is, the process of weakening consonants, through examples such as dialects,
      Mongolian language, Gugyeol and Gyeorimyusa etc.
      These weakening of the consonants and glide derivation affect the main vowels,
      leading to the process of weakening the main vowel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the following glide plays the role of the main vowel, and the possibility of
      emergence of the genitive research ‘ㅣ’ wa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속격조사의 통시적 변천
      • 2. 1. ‘矣’, ‘衣’, ‘-希’, ‘-中’의 형태 음소적 비교 고찰
      • 2. 2. 자음 약화로 인한 핵모음의 활음(glide)화
      • 3. /X-VK/ ~ /X-Vj/의 교체
      • 1. 서론
      • 2. 속격조사의 통시적 변천
      • 2. 1. ‘矣’, ‘衣’, ‘-希’, ‘-中’의 형태 음소적 비교 고찰
      • 2. 2. 자음 약화로 인한 핵모음의 활음(glide)화
      • 3. /X-VK/ ~ /X-Vj/의 교체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곤, "한글학회 50돌 기념 논문집" 한글학회 1971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2

      3 허용, "한국어 모음체계의 유형적 특성 연구" 언어연구소 (61) : 175-200, 2013

      4 金完鎭, "학술원 논문법(인문, 사회과학편)" 1964

      5 李南淳, "통합범주 처속격(處屬格) 설정 문제" (80) : 291-306, 1995

      6 이승재, "차자표기 자료의 격조사 연구" 127 : 107-132, 2000

      7 김동소, "중세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2002

      8 南豊鉉, "중세어(中世語)에 있어서의 차용어표기(借用語表記)" 국어국문학회 (68·69) : 285-287, 1975

      9 김동언, "중세어 이중모음 'ij' 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9ㆍ10) : 25-53, 1983

      10 박종희, "중세국어 활음 `j`의 음운론적 기능" (239) : 5-32, 1998

      1 김승곤, "한글학회 50돌 기념 논문집" 한글학회 1971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2

      3 허용, "한국어 모음체계의 유형적 특성 연구" 언어연구소 (61) : 175-200, 2013

      4 金完鎭, "학술원 논문법(인문, 사회과학편)" 1964

      5 李南淳, "통합범주 처속격(處屬格) 설정 문제" (80) : 291-306, 1995

      6 이승재, "차자표기 자료의 격조사 연구" 127 : 107-132, 2000

      7 김동소, "중세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2002

      8 南豊鉉, "중세어(中世語)에 있어서의 차용어표기(借用語表記)" 국어국문학회 (68·69) : 285-287, 1975

      9 김동언, "중세어 이중모음 'ij' 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9ㆍ10) : 25-53, 1983

      10 박종희, "중세국어 활음 `j`의 음운론적 기능" (239) : 5-32, 1998

      11 박종희, "중세국어 활음 /j/의 자음화에 대하여" 한글학회 (283) : 5-30, 2009

      12 박용찬, "중세국어 속격조사의 예외적 쓰임" 한국어문학회 (110) : 113-135, 2010

      13 김완진, "중세국어 성조의 연구" 1977

      14 김완진, "중세국어 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82

      15 송재목, "중세국어 모음조화 - 지배음운론적 관점에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5) : 137-165, 1999

      16 허용, "중간언어 음운론을 위한 모음 연구" 이중언어학회 (25) : 309-330, 2004

      17 이병선, "주격조사(主格助詞) 연구(硏究) -고대국어(古代國語) 주격조사(主格助詞)와「가」의 발달(發達)을 중심(中心)으로" 72·73 : 15-45, 1976

      18 신승용, "이중모음의 정의와 이중모음에서의 분절음 탈락 - ‘wi → i ~ u’, ‘ɨy → ɨ ~ i’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0) : 37-59, 2012

      19 유창돈, "이조어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1964

      20 김선효, "의사관형구조 ‘에의’의 형성 과정과 요인" 국어학회 (55) : 105-125, 2009

      21 허용, "음운론 이해" 도서출판 동인 2005

      22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23 신우봉, "수의적 /j/ 활음화와 /j/ 활음 첨가에 대한 음성, 음운론적 연구" 영주어문학회 25 : 55-73, 2013

      24 박진호, "속격에서 주격으로" 81-94, 2016

      25 홍종선, "속격(屬格)·처격(處格)의 발달(發達)" 91 : 281-284, 1984

      26 황선엽, "석독구결 사전" 박문사 2009

      27 조재형,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한말연구학회 (26) : 187-208, 2010

      28 배혜진, "달성지역어에 나타난 ㄱ, ㅎ 구개음화와 ‘오>우’의 변이와 변화에 관한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66) : 31-59, 2014

      29 김완진, "다시 β>W를 찾아서" 서울대 어학 연구소 8 (8): 1972

      30 박종희, "국어의 음운현상"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5

      31 남풍현, "국어사를 위한 구결 연구" 태학사 1999

      32 박종희, "국어 음운론 연구Ⅱ"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3

      33 高暢洙, "고대국어의 구조격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34 고영근, "개정판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02

      35 이진호, "개정판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출판사 2014

      36 김형규, "韓國方言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4

      37 김지오, "釋讀口訣의 處格·冠形格 複合助詞" 구결학회 (31) : 137-162, 2013

      38 조재형, "處所副詞格助詞의 用法 考察 - 朝鮮 初期까지의 借字表記에 限하여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157-182, 2006

      39 이기문, "新訂版 國語史槪說" 태학사 1998

      40 金完鎭, "國語 母音體系의 新考察" (24) : 63-99, 1963

      41 南廣佑, "古語辭典" ㈜교학사 2016

      42 조재형, "古代國語時期의 借字表記 ‘良’의 讀音 考察" 중앙어문학회 (40) : 101-123, 2009

      43 이승재, "口訣資料의 '-ㄱ-' 弱化?脫落을 찾아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0) : 1-31, 2002

      44 洪允杓, "十五世紀國語의 格硏究" 국어학연구회 21 : 1969

      45 安秉禧,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2013

      46 李崇寧, "中世國語文法" 을유문화사 1997

      47 허용, "‘ㅡ’ 모음의 기저구조와 음운론적 해석에 대한 연구*- 어두와 어말에서의 분포를 중심으로-" 언어과학회 27 : 407-424, 2003

      48 성환갑, "‘-에게’形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시적 고찰 -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63-86, 2011

      49 조재형, "‘-良中’의 形成과 變遷過程에 대한 通時的 考察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91-116, 2012

      50 조재형, "‘-中’의 起源과 形態에 대한 再考" 중앙어문학회 (42) : 137-164, 2009

      51 Carlos Gussenhoven, "Understanding Phonology" 2011

      52 Tomas Riad, "The Phonology of Swed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3 "Online Etymology Dictionary"

      54 Miller, P. D., "Bleaching and coloring" 9 : 386-397, 1973

      55 崔世和, "15世紀 國語의 重母音硏究 제10輯" 亞細亞文化社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3-1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Urimal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7 1.448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