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淸 乾隆年間 八旗漢軍 出旗 정책의 樣相과 그 영향 ― 出旗 허용 정책과 出旗 강제 정책의 분석을 중심으로 ― = The Chinese-martial bannermen(Hanjun) Expulsion Policies and Their Effects on the Qianlo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53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乾隆 年間에 실시된 八旗漢軍 出旗 정책을 출기 허용 정책과 출기 강제 정책으로 나눈 뒤 그 영향을 분석한 글이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

      본 논문은 乾隆 年間에 실시된 八旗漢軍 出旗 정책을 출기 허용 정책과 출기 강제 정책으로 나눈 뒤 그 영향을 분석한 글이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출기한 한군 기인의 수를 부정확하게 산출한 채 그 영향을 논하였다. 둘째, 출기 정책의 목표ㆍ시행 대상ㆍ실시 방법이 상이했던 출기 허용 정책과 출기 강제 정책 간의 차이에 주목하지 않았다. 셋째, 출기 정책의 실시를 전후하여 팔기한군에 발생한 변화를 살펴보는 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팔기한군 출기 정책과 관련된 정확한 통계를 바탕으로 각각의 출기 정책을 세분하여 그 영향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논의의 범주는 八旗 내 漢人 출신 기인 중 八旗漢軍 旗籍에 속한 자로 국한하였다.
      순치~옹정 연간, 漢軍 旗人의 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官兵으로 복무하지 못하는 閑散 旗人의 수가 늘어났다. 기인의 경우 문무 관원이나 팔기 관병으로 근무하는 것 외에 다른 직업을 가질 수 없었다. 이로 인해 팔기한군 내 閑散 기인의 증가는 한군 기인의 생계 문제로 직결되었다. 건륭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안으로 한군 기인의 수 자체를 줄이는 방식을 택했다. 이후 건륭 말까지 京師와 駐防에서 팔기한군을 대상으로 출기 허용 혹은 출기 강제 정책이 시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청이 중국 통일 전쟁을 수행한 기간에는 팔기한군이 비교적 높은 대우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淸初부터 팔기한군의 지위는 팔기만주ㆍ팔기몽고ㆍ팔기한군 중 가장 낮았다. 이는 팔기한군의 몫으로 할당된 문무관원ㆍ팔기관병 직의 수가 그 규모에 비해 현격히 적었던 것을 통해 확인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구 과잉 문제가 가장 심각했던 팔기한군을 대상으로 출기 정책이 시행된 것은 一見 자연스럽다. 단 청이 入關하기 이전부터 팔기에 속했던 한군 기인은 일반 한군 기인에 비해 우대를 받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入關 한군 중에서도 엘리트 계층에 속한 자는 팔기만주나 팔기몽고 소속 엘리트 기인과 유사한 대우를 받았다. 팔기한군 내부의 이러한 계층 차이는 출기 허용 대상을 선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건륭 7년(1742)부터는 출기 허용 정책이 실시되었다. 이 정책은 팔기한군 내부의 인구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기획되었으며 실시 초기에는 京師에서만 시행되었으나 후에 內地 駐防까지 확대되었다. 옹정 8년(1730과 건륭 3년(1738) 팔기한군의 兵額을 일부 늘려 일자리를 추가로 마련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한군 기인의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잡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출기 허용 정책은 자발적 출기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제성은 없었다. 또 각 단계별로 출기를 허용하는 자와 불허하는 자를 별도로 규정하였다. 출기 허용 대상을 규정하는 조항이 건륭 55년(1790)까지 개정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실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정책의 주된 대상은 팔기한군 내 하급 관병이나 閑散 기인이었다. 入關 漢軍의 후손은 정책이 최초로 실시된 이후 20년 간 출기가 불허되었다. 입관 한군 내에서도 팔기한군 내 니루를 세습해온 집안 출신은 본인이 원하는 경우에도 출기할 수 없었다. 이 정책으로 출기된 한군 기인의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다만 건륭 연간의 팔기한군 출기 정책을 통틀어 한군 기인의 규모가 약 60% 감소하였을 것으로 추산되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divides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expulsion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the Qianlong Emperor(1735-96) into the withdrawal permission policy and the forced expulsion policy and analyzes their effects. Based on accurat...

      The present study divides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expulsion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the Qianlong Emperor(1735-96) into the withdrawal permission policy and the forced expulsion policy and analyzes their effects. Based on accurate statistics related to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expulsion policies, it focuses on breaking down and elucidating the effects of each expulsion policy. The scope of discussions is limited to those on Chinese-martial bannermen household registers from among Chinese-martial Bannermen in the Eight Banners.
      In general,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are known to have received a comparatively favorable treatment during the Qing Dynasty’s engagement in wars to unify China. From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however,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were far lower in status than the Manchu Eight Bannermen and the Mongol Eight Bannermen.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numbers of both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posts of Eight Banner officers and soldiers allocated to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were disproportionately small. Amidst such a situation, it is seemingly natural for expulsion policies to have been implemented on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for whom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was the gravest.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Chinese-martial bannermen belonging to the Eight Banners even before the Qing Dynasty’s entry through Shanhai Pass to conquer Beijing were treated better than other, ordinary Chinese-martial bannermen. Even out of Chinese-martial bannermen who had thus passed Shanhai Pass, those from the elite class received treatment similar to elite Bannermen belonging to the Manchu Eight Bannermen and the Mongol Eight Bannermen. Such class differences among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affected the selection of those who would be allowed to leave the Eight Banners.
      Starting in the 7th year of the Qianlong Emperor’s reign (1742), the withdrawal permission policy was implemented. Planned to resolve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among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this policy was implemented only in the capital at first but subsequently expanded to Garrisons in China proper also. In the 8th year of the Yongzheng Emperor’s reign(1722-35) and the 3rd year of the Qianlong Emperor’s reign (1738), the number of troops assigned to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was partly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additional jobs as well. However, such measures were inadequate for accommodating the rate of population increase among Chinese-martial bannermen. The withdrawal permission policy was implemented by allowing voluntary withdrawal and did not involve coercion. In addition, those to whom withdrawal would be allowed and those to whom it would be prohibited were separately regulated at each stage. Judging from the fact that clauses regulating the objects of permission to withdraw were revised up to the 55th year of the Qianlong Emperor’s reign (1790), it is clear that this policy was implemented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The main objects of the policy were low-ranking officers and soldiers and idle Bannermen from among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Descendents of Chinese-martial bannermen who had entered through Shanhai Pass were barred from withdrawal for 20 years following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Out of Chinese-martial bannermen who had entered through Shanhai Pass, those from families who had successively inherited niru in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could not withdraw even if they wished to.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exact number of Chinese-martial bannermen who were expulsed because of this policy. However, the number of Chinese-martial bannermen is estimated to have decreased by approximately 60% throughout the period in which the Chinese-martial bannermen expuls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under the Qianlong Emperor, half of whom would have left as an effect of the forced expulsion policy. Consequently, app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엘리엇(Mark C. Elliott),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2 "高宗純皇帝實錄" 中華書局 1985

      3 安雙成, "順治朝八旗男丁滿文檔案選譯" 吉林文史哲出版社 1 : 1992

      4 安雙成, "順康雍三朝八旗丁額淺析" 1983

      5 "雍正朝滿文朱批奏摺全譯(上冊)" 黃山書社 1998

      6 呂小鮮, "道光初籌議八旗生計史料" 1995

      7 呂小鮮, "道光元年査辦冒入旗籍史料" 1995

      8 黃一農, "紅夷大炮與皇太極創立的八旗漢軍" 2004

      9 孫守朋, "漢軍旗人官員與淸代政治硏究" 人民日報出版社 2011

      10 劉家駒, "淸朝初期的八旗圈地" 國立臺灣大學出版部 1964

      1 엘리엇(Mark C. Elliott),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2 "高宗純皇帝實錄" 中華書局 1985

      3 安雙成, "順治朝八旗男丁滿文檔案選譯" 吉林文史哲出版社 1 : 1992

      4 安雙成, "順康雍三朝八旗丁額淺析" 1983

      5 "雍正朝滿文朱批奏摺全譯(上冊)" 黃山書社 1998

      6 呂小鮮, "道光初籌議八旗生計史料" 1995

      7 呂小鮮, "道光元年査辦冒入旗籍史料" 1995

      8 黃一農, "紅夷大炮與皇太極創立的八旗漢軍" 2004

      9 孫守朋, "漢軍旗人官員與淸代政治硏究" 人民日報出版社 2011

      10 劉家駒, "淸朝初期的八旗圈地" 國立臺灣大學出版部 1964

      11 "淸文獻通考" 浙江古籍出版社 2000

      12 "淸史稿" 中華書局 1998

      13 安雙成, "淸初編審八旗男丁滿文檔案選譯" 1988

      14 張晉藩, "淸入關前國家法律制度史" 遼寧人民出版社 1988

      15 陳鋒, "淸代軍費硏究" 武漢大學出版社 1992

      16 杉山淸彦, "淸代滿漢關係硏究"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1

      17 陳文石, "淸代滿人政治參與" 48 (48): 1977

      18 華立, "淸代新疆農業開發史" 黑龍江敎育出版社 1998

      19 蔡家藝, "淸代新疆社會經濟史綱" 人民出版社 2006

      20 劉小萌, "淸代北京旗人社會"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21 范傳南, "淸代前期八旗漢軍特殊作用淺議" 2010

      22 任桂淳, "淸代八旗駐防興衰史" 三聯書店 1993

      23 定宜莊, "淸代八旗駐防制度硏究" 遼寧民族出版社 2003

      24 謝景芳, "淸代八旗漢軍的瓦解及其社會影向 : 兼論淸代滿漢融合過程的複雜性" 2008

      25 劉小萌, "淸代八旗子弟" 遼寧民族出版社 2008

      26 王鍾翰, "淸代八旗中的滿漢成分問題" 中央民族大學 2002

      27 小沼孝博, "淸と中央アジア草原: 遊牧民の世界から帝國の邊境へ" 東京大學出版會 2014

      28 "欽定八旗通志" 吉林文史出版社 2002

      29 乾隆, "欽定八旗則例" 蝠池書院出版 2004

      30 光緖, "大淸會典事例" 上海古籍出版社 2002

      31 嘉慶, "大淸會典" 文海出版社 1991

      32 光緖, "大淸會典" 上海古籍出版社 2002

      33 "嘯亭雜錄" 淸代史料筆記叢刊, 中華書局 1997

      34 "八旗通志初集" 東北師范大學出版社 1985

      35 李喬, "八旗生計問題述略" 1985

      36 "八旗滿洲氏族通譜" 遼海出版社 2002

      37 孫靜, "乾隆朝八旗漢軍身分變化述論" 2005

      38 范傳南, "乾隆朝八旗漢軍出旗述論" 遼寧師范大學 2008

      39 范傳南, "乾隆朝八旗漢軍出旗標準芻議" 2010

      40 "世宗憲皇帝實錄" 中華書局 1985

      41 Pamela Kyle Crossley, "The Qianlong Retrospect on the Chinese-martial(hanjun)Banners" 10 (10): 1989

      42 Mark C. Elliott,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 Press 2001

      43 Pamela Kyle Crossley, "The Conquest Elite of the Ch'ing Empire" 9 : 2008

      44 Evelyn S. Rawski, "Presidential Address : Reenvisioning the Qing : The Significance of the Qing Period in Chinese History" 55 (55): 1996

      45 Edward J.M. Rhoads,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Univ. of Washington Press 2000

      46 Mark C. Elliott,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Univ. of California Press 2006

      47 Peter C. Perdue, "China Marches West :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48 Chao-ying Fang, "A Technique for Estimating the Numerical Strenghth of the Early Manchu Military Forces" 13 : 19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0.99 1.7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