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 Jaejo Daejanggyeong and the meaning of its 'Oej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90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인사에 보관해온 팔만대장경 경판은 세계 조판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수한 경판을 거의 완벽하게 보존해온 문화유산이다. 이제까지 경판의 정확성이나 보관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받...

      해인사에 보관해온 팔만대장경 경판은 세계 조판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수한 경판을 거의 완벽하게 보존해온 문화유산이다. 이제까지 경판의 정확성이나 보관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받아 왔지만, 고려 대장경 문화의 사상사적 의미를 새롭게 평가해야 한다. 대장경正藏에 이은 '外藏'의 간행이 이에 대한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 初彫大藏經의 조판은 開寶板 宋本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契丹本과 고려의 傳本을 적극 활용하여 가장 정확한 판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대장경 조판에 이어 義天이 敎藏을 이루어냄으로써 대장경과 교장을 함께 이루어냈다. 몽고의 침공으로 초조대장경판이 불타자 16년만에 만들어낸 再彫대장경은 초조보다 더 철저한 校勘을 통해 정확한 경판이었고, 제작과 함께 『校正別錄』을 펴내 교정 사실을 명확히 밝혔다. 장경 목록인 『大藏目錄』을 포함하여 모두 1498종의 經論이 재조대장경 正藏이다. 이에 더하여 內藏인 '正藏'에 이어 '外藏'이라 부를 수 있는조판 사업이 정장 조판 기간 중에 대장도감에서 시작되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 '외장'은 동아시아 논저들을 주로 모은 것으로 팔만대장경판의 15종과 해인사 간행의 9종 등이다. '외장'의 중심은 화엄종 주석서와 선종 전적들이었다. 신라와 중국의 화엄종 형성기의 조사전적에 대한 신라와고려 승려들의 주석서들은 재조 사업을 주도한 守其가 소속된 화엄종의 사상적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인사의 성향이 짙게 배어 있다. 또 선종 전적은 수선사 결사로 고려 후기 불교계를 주도하던 선종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또다른 결사인 백련사의 사상적 바탕인 천태 저술도 간행되었다. 이들 전적은 주로 고려의 傳本이 많고 고려에서 중시되던 전적들 이었다. '외장'의 간행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사업이 재조대장경 조판 인력에 의해 이어졌다는데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초조대장경은 동아시아 대장경 조판 체제에서 정확성을 배가하였다. 재조대장경은 초조 이후 추가된 목록에 의거하여 증보 완성하였다. 이어 동일한 인적 자원에 의해 이루어진 '외장' 조판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에 따른 독자적 사업으로서, 해인사와 수선사 중심의 고려후기 불교의 경향을 드러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lman Daejanggyeong(Goryeo Tripitaka) are the most excellent of all Tripitak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its accuracy and elega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Goryeo Buddhist thought. Chojo Daejanggyeong(The First Tripitaka) were produce...

      Palman Daejanggyeong(Goryeo Tripitaka) are the most excellent of all Tripitak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its accuracy and elega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Goryeo Buddhist thought. Chojo Daejanggyeong(The First Tripitaka) were produced based on Sung Tripitaka and were compared with Liao Tripitaka and the Goryeo traditional edition. After that, Ucheon published Gyojang(Collection of Research) that supplement the Tripitaka. Chojo Daejanggyeong were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just after Jaejo Daejanggyeong(The Second Tripitaka) were engraved. They made a more precise edition by a thorough comparison with various editions. As a result, the Chief Editor Sugi wrote Gyogeongbyeollok(Extra list of revision). Jaejo Daejanggyeong was listed in 1498 books by Daejangmonnok(List of Tripitaka). Then 'Oejang' continued
      by Daejangdogam, the national publishing organization. The main parts of Oejang consisted of the books of Hwaeom School and Seon School(Suseonsa). It shows the tendency of later Goryeo Buddhist thought. The books of Oejang were based on a Goryeo tradition, and were accounted in Goryeo Buddhism. The publishing of Oejang verifies the main tendency of late Hwaeom School and Haeinsa. The meaning of Jaejo Daejanggyeong,(that includes Oejang) is this point. And it shows the unique tendency and ability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初影대장경과 대장경 문화
      • III. 再影대장경의 계승성과 독자성
      • IV. 재조대장경의 '外藏'
      • V. 맺음말
      • I. 머리말
      • II. 初影대장경과 대장경 문화
      • III. 再影대장경의 계승성과 독자성
      • IV. 재조대장경의 '外藏'
      • V.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부현,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불교학연구회 16 : 71-108, 2007

      2 千惠鳳, "초조대장경의 현존본과 그 특성" 11 : 1976

      3 金潤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4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의 연구과제" 서지학회 (32) : 35-60, 2005

      5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 및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405-428, 2006

      6 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學의 變遷" 30 : 1980

      7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1991

      8 姜順愛, "高麗大藏經校正別錄의 學術的 意義" 20 : 2000

      9 高翊晋, "高麗大藏經 補遺板所收 證道歌事實의 著者에 대하여" 1 : 1975

      10 姜順愛,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의 分析을 통해 본 初雕 및 再雕大藏經의 變容에 관한 硏究" 7 : 1994

      1 유부현,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불교학연구회 16 : 71-108, 2007

      2 千惠鳳, "초조대장경의 현존본과 그 특성" 11 : 1976

      3 金潤坤, "고려대장경의 새로운 이해" 불교시대사 2002

      4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의 연구과제" 서지학회 (32) : 35-60, 2005

      5 김성수, "고려 초조대장경의 분류체계 및 <호림박물관> 소장 초조본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405-428, 2006

      6 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學의 變遷" 30 : 1980

      7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1991

      8 姜順愛, "高麗大藏經校正別錄의 學術的 意義" 20 : 2000

      9 高翊晋, "高麗大藏經 補遺板所收 證道歌事實의 著者에 대하여" 1 : 1975

      10 姜順愛,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의 分析을 통해 본 初雕 및 再雕大藏經의 變容에 관한 硏究" 7 : 1994

      11 裵象鉉, "高麗國新彫大藏校正別錄과 守其" 17 : 1997

      12 吳龍燮, "高麗國新彫大藏校正別錄 硏究" 1 : 1986

      13 鄭駜謨, "高麗佛典目錄硏究" 亞細亞文化社 1990

      14 柳富鉉, "高麗 再彫大藏經과 大藏目錄의 構成" 33 : 2006

      15 許興植, "韓國中世佛敎史硏究" 一潮閣 1994

      16 李富華, "漢文佛敎大藏經硏究" 宗敎文化出版社 2003

      17 千惠鳳, "湖林博物館所藏 初彫大藏經調査硏究" 1988

      18 법보종찰해인사·합천군, "海印寺 藏經板殿 板架 經板 補修事業 報告書" 2008

      19 최영호,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판각사업 연구" 景仁文化社 2008

      20 宿白, "唐宋時期的彫版印刷" 文物出版社 1999

      21 方廣錩, "八-十世紀 佛敎大藏經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1

      22 金相永, "一然과 再彫大藏經 補板" 2 : 1993

      23 "『高麗國新雕大藏校正別錄』"

      24 "『高麗史』"

      25 "『大覺國師文集』"

      26 "『大藏目錄』"

      27 李箕永, "「 高麗大藏經, 그 歷史와 意義」『 高麗大藏經』48-總目錄 解題 索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