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후기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과 그 배경 =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Manufacturing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후기 청자의 제작실태를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과 그 배경에 주목한 것이다. 주요 박물관에 소장된 상감청자유개발탁은 제작수준과 문양소재 및 형...

      본 논문은 고려후기 청자의 제작실태를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과 그 배경에 주목한 것이다. 주요 박물관에 소장된 상감청자유개발탁은 제작수준과 문양소재 및 형태, 사용흔을 근거로 왕실용 부장품으로써 그 가치가 인정되었고 13세기말~14세기로 편년되었다. 다만, 단편적 기술 외에 기형과 문양에서 보이는 영향관계, 제작과 그 배경에 대한 논의가 배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산유적과 소비유적에서 출토된 상감청자유개발탁에 대한 해석 또한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감청자유개발탁은 전성기의 비색청자·상감청자와 달리 원대 자기의 기형, 문양, 시문방식에 영향을 받았고, 규격면에서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이 왕실용 청자 제작처였던 강진 사당리 일대에 집중되었음을 인지한다면 이러한 제작추이는 당시 청자 제작에 변화를 가져온 고려 왕실의 상황에 주목하게 하였다.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주된 제작시기인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반은 고려가 원으로부터 내정간섭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한 시점이자 원 황실의 부마가 되었던 충렬왕의 재위기에 해당하였다.
      어린 시절 원에서 보냈던 경험과 원 황실 부마로써의 책무, 고려 왕실의 정치적 방향성에 대한 충렬왕의 의지는 곧 각종 의장과 제도 나아가 기물의 성격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고려 왕실에 머물렀을 몽골인들의 존재는 자연히 그들의 문화와 성향이 농후한 각종 기물이 유입되도록 하였다. 친원적인 고려 왕실의 태도는 청자의 기형, 문양, 규격 나아가 시문방식에 이르기까지 원대 자기를 포함한 공예품의 특징을 받아들이게 하였고, 자연히 왕실용 자기를 제작하던 강진 사당리 일대 역시 이에 부합한 청자를 제작하도록 요구받았다.
      고려 왕실은 원의 내정간섭기에 원 황실 및 지배층의 취향에 적합한 청자를 제작함으로써 그들의 신임을 얻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상감청자유개발탁의 등장은 원대 자기에서 보이는 시문방식과 문양의 종류와 구성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나 재현에 그친 것이 아니라, 원의 습속을 적극 수용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했던 고려 왕실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였다. 즉, 상감청자유개발탁은 고려후기의 청자가 퇴조 일로에 있었다는 기존의 의견과 달리 당시 왕실용 청자의 제작 기술력이 여전히 높았음을 알려주는 단서이자 고려 왕실의 친원적인 성향이 고스란히 투영된 증거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vestigate background and manufacturing of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as part of the study on the Celadon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has been high...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vestigate background and manufacturing of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as part of the study on the Celadon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has been highly acclaimed the value of the Goryeo
      royal family’s burial Goods based on manufacture level, patterns and decoration techniques,
      presumed to be manufactured in the late 13th century to the early 14th century.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wa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Yuan Wares. This leads the case of Yuan’s Intervention
      that Goryeo Dynasty faced at that time, recognizing manufacturing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led by Gangjin Sadang-ri kiln site for the Goryeo royal family. From the
      late 13th century, the early 14th century was the period of major manufacturing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of Yuan’s Intervention and of King Chung-yul(忠烈王)’s reign(1274~1298,
      1298~1308).
      King Chung-yul(忠烈王)’s will revealed his childhood in Yuan and his responsibility as King
      Yuan’s son-in law, which settled the political way out of Goryeo Dynasty. Mongolians in the
      Goryeo royal family brought their culture, history, traditions and religion. This pro-Yuan-leaning
      attitude of the Goryeo court resulted i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Yuan Wares made the Inlaid
      Celadon in Sadang-ri kiln site, Gangjin. Through this, the Goryeo court looked forward to win
      Yuan’s confidence. After all,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was not only simple, imitative adap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Yuan Wares but also the Goryeo court’s active accept and application of Mongolians’ Culture and Custiom(習俗). The Inlaid Celadon Yougaebaltak(有蓋鉢托) is worth a evidence of excellent technology manufacturing the Celadon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Dynasty and a reflection of the pro-Yuan -leaning attitude of the Goryeo cou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조형적 특징과 현황
      • Ⅲ.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처와 제작시기
      • Ⅳ. 상감청자유개발탁에 나타난 원의 영향과 의미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조형적 특징과 현황
      • Ⅲ. 상감청자유개발탁의 제작처와 제작시기
      • Ⅳ. 상감청자유개발탁에 나타난 원의 영향과 의미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림박물관, "호림박물관명품선집1" 호림박물관 1999

      2 정의도, "한국 고대 숟가락 연구" 경인문화사 2014

      3 장남원, "쿠빌라이시대 고려·원 도자수용의 변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8) : 194-223, 2009

      4 권영미, "충렬왕대 초의 려원관계와 정국운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장남원, "최근 출토 고려청자의 의의" 강진청자박물관 2013

      6 강진청자자료박물관, "청자빛 하늘에 담긴 구름과 학"

      7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8 목포대학교 박물관, "진도 용장성"

      9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10 장남원, "중국 元代유적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 검토" 호서사학회 (48) : 309-339, 2007

      1 호림박물관, "호림박물관명품선집1" 호림박물관 1999

      2 정의도, "한국 고대 숟가락 연구" 경인문화사 2014

      3 장남원, "쿠빌라이시대 고려·원 도자수용의 변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8) : 194-223, 2009

      4 권영미, "충렬왕대 초의 려원관계와 정국운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 장남원, "최근 출토 고려청자의 의의" 강진청자박물관 2013

      6 강진청자자료박물관, "청자빛 하늘에 담긴 구름과 학"

      7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8 목포대학교 박물관, "진도 용장성"

      9 방병선,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2012

      10 장남원, "중국 元代유적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 검토" 호서사학회 (48) : 309-339, 2007

      11 국립중앙박물관, "자연의 노래 유천리 고려청자"

      12 국립문화재연구소,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구라컬렉션 한국문화재"

      13 국립중앙박물관, "신안 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14 국립중앙박물관,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중앙박물관 2011

      15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16 삼성미술관 리움, "금은보화"

      17 문화재청, "국보 도자기 및 기타"

      18 윤용이, "고려후기 간지명 상감청자의 제작시기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2) : 157-180, 2004

      19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청자보물선과 강진"

      20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청자명품특별전"

      21 烏云高娃, "고려와 원의 정치적 통혼과 문화교류" 수선사학회 (58) : 205-231, 2016

      22 이윤진, "고려시대 자기잔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3 김문숙,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24 김윤정, "고려말․조선초 供上用 銘文靑瓷의 이행 과정과 제작 배경" 석당학술원 (55) : 147-185, 2013

      25 김윤정, "고려·원 관계 추이와 복식문화의 변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26 정의도, "고려 후기 숟가락의 변화" 한국중세고고학회 1 : 2017

      27 이종민, "고려 후기 對元 陶磁交流의 유형과 성격" 진단학회 (114) : 261-295, 2012

      28 김은경, "고려 청자 완·발의 기형 변화와 음차법"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1

      29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왕실의 도자기"

      30 김현라, "고려 忠烈王代의 麗․元關係의 형성과 그 특징" 부경역사연구소 (24) : 195-224, 2009

      31 국립문화재연구소, "강화 석릉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32 강진청자박물관, "강진청자박물관 명품도록" 강진청자박물관 2007

      33 고려청자박물관,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34 강진청자박물관, "강진 고려청자 소장 유물 100선"

      35 강진청자박물관, "강진 고려청자 500년-강진 청자요지 발굴유물 특별전"

      36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 "龍泉東區窯址發掘報告" 文物出版社 2005

      37 이종민, "高麗靑磁 龍 裝飾의 樣式的 系譜와 編年" 호서사학회 (53) : 337-375, 2009

      38 김윤정,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60 (260): 35-66, 2008

      39 정동훈, "高麗時代 外交文書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40 김윤정, "高麗後期 象嵌靑瓷에 보이는 元代 磁器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49) : 163-205, 2006

      41 한성욱, "高麗後期 「正陵」銘象嵌靑瓷의 性格" 동악미술사학회 6 : 2005

      42 "高麗史"

      43 李益柱, "高麗·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44 안귀숙, "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예경 2004

      45 한성욱, "高麗 後期 靑瓷의 器形 變遷" 한국미술사학회 232 : 2001

      46 刘金成, "高安元代窖藏瓷器" 朝华出版社 2006

      47 이종민, "韓國初期靑磁의 形成과 傳播 -塼築窯와 土築窯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240 : 2003

      48 中國歷史博物館 西藏博物館, "金色寶藏" 中國藏學出版社 2001

      49 内蒙古自治区文物考古研究所, "辽陈国公主墓" 文物出版社 1993

      50 王会民, "石家庄市后太保元代史氏墓群发掘简报" 文物出版社 1996

      51 江西省文物考古研究所, "景德鎮湖田窑址 1988-1999年考古发掘报告(下)" 文物出版社 2007

      52 故宮博物院古陶瓷研究中心, "故宮博物院藏古陶瓷资料选萃" 北京紫禁城出版社 2005

      53 盖之庸, "探寻逝去的王朝 辽耶律羽之墓" 內蒙古大學出版社 2004

      54 안외순, "忠宣王과 麗蒙 관계 ― 배경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2) : 199-232, 2011

      55 陳永志, "內蒙古集寧路古城遺址 出土瓷器" 文物出版社 2004

      56 上海博物館, "元代靑花瓷器特集" 上海博物館 2013

      57 馬希桂, "元代瓷器" 北京出版社出版集團 2005

      58 마가렛 메들리, "中國陶磁史 先史時代부터 淸代까지" 열화당 1998

      59 中國金銀玻璃珐琅器全集編輯委員會, "中國金銀玻璃珐琅器全集3" 河北美術出版社 2004

      60 馬爭鳴, "中國出土的高麗靑瓷" 浙江大学 33 : 2009

      61 上海博物館, "上海唐宋元墓" 科學出版社 2014

      62 박경자, "14세기 康津 磁器所의 해체와 窯業 체제의 二元化" 한국미술사학회 (237·238)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5 0.5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