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베리아와 그 주변지역 돌날석기문화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 = A New Angle on the Origin and Disporsal of the Blade Tool Industry in Siberia and the Contiguous Territor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new archeological specimens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research trends and new hypotheses of the blade industry have been examined. As the result, some of the hypotheses already suggested are considered to be reexamined. Fi...

      Based on the new archeological specimens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research trends and new hypotheses of the blade industry have been examined. As the result, some of the hypotheses already suggested are considered to be reexamined. First of all, the new data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blade industry,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ut of Africa” theory, draw our attention. This is because they show that many remains from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the upper paleolithic have been found not only in Siberia but in Mongolia and Central Asia as well. Especially, the artifacts of Tolbor in Mongolia region and those of Obi-Rakhmat in Central Asia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initial upper paleolithic.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 of Obi-Rakhmat remains sets an upper limit in 85ka. Moreover, the fact that the existing Kara Bom and Karakol variant don’t always apply to this region should not be overlooked as well.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origin of the microblade industry should be verifi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blade industry. In other words, the remains from the blade industry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associated with small-sized blades and unsystematic microblades, regardless of Karakol variant. If we define these cores as microblade cores, they may cause some confusion in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lades from the period when microblade industry spread out, which are found all over Northeast Asia from about its 27ka and have systematic detaching technique. Therefore,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to make close connection between unsystematic microblade core and other systematic microblade cores in terms of technical system. Meanwhile, it is a remarkable technological shift that the blade tool group of Karakol variant adopted a lithic technology, which was the similar approach that the middle and small-sized blade cores of 1 striking platform 1 working face and those of 2 striking plaform and 1 working face took. Along with such changes, more systematic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out if the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small-sized blades would appear. Even though being a few, such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have been consistently found in the remains from 30-40ka. Also, because the timing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unsystematic ones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remains which may help us to find out the technological change at that time would be soon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used bifacial technique as a core not a tool, which brought the systematization of technology, is the key of the technological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프리카 기원설과 다른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의 새로운 자 료들은 최근 연구 성과로 확인되었다. 시베리아와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여러 유적에서 중기-후기구석기시대의 과도...

      아프리카 기원설과 다른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의 새로운 자 료들은 최근 연구 성과로 확인되었다. 시베리아와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여러 유적에서 중기-후기구석기시대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여러 유적들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몽골지역의 톨보르유적군과 중앙아시아의 오비-라흐 마트유적은 편년과 성격 설정에 있어 신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세형돌날문화 기원에 대해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을 통해서 확인할 필 요가 있다. 시베리아와 그 주변 지역의 전형적인 돌날문화유적에서 카라콜 유형 여부와 상관없이 소형돌날과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공반된다. 이 몸돌들은 세형몸돌로 규정할 경우 약 27ka부터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확인 되는 체계화된 박리체계를 갖고 있는 세형돌날문화의 확산기의 몸돌들과 의 관계 설정에 많은 혼돈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술체계적 측면에서 여전히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몸돌과의 기술적 연 관성을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카라콜유형의 석기군이 돌날석기문화가 정착되어가며 중소형의 1타격면·1작업면의 몸돌과 2타격면·1작업면의 몸돌들과 같이 기술적으 로 중소형돌날을 전략적으로 떼어내는 방식의 기술이 확대되는 것은 주 목할 만한 기술 변화이다. 변화의 맥락에서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소 형돌날들이 등장하는 것은 아닌지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 다. 특히 이런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소량이지만 30-40ka의 유적들 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세형몸돌 간의 시간적 차이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그 기술변화의 중심에는 기술의 체계화를 가져온 양면박리기술을 석기로가 아니라 몸 돌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Рыбин Е.П,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동쪽지역의 문화적 중요 유물의 연대 및 지리적 분포" 4 (4): 2014

      2 이헌종, "한국의 돌날과 세형돌날석기 : 기원과 확산" 연세대학교박물관 2014

      3 장용준, "한국 후기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 학연문화사 2007

      4 최복규, "포천 화대리 쉼터 구석기유적" 강원대학교 2005

      5 Васильев С.Г, "톨바가 정착지" 1987

      6 Деревянко А.П, "카라봄 유형 석기군의 존재의 시·공간적인 양상" Изд-во Алт. гос. ун-та 1988

      7 Деревянко А.П, "카라봄 유적의 층위화된 부분의 구석기군"

      8 이승원, "충주 송암리 왜실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2014

      9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19 : 5-23, 2004

      10 이기길,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제1권 :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살림" 조선대학교박물관·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2005

      1 Рыбин Е.П, "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의 동쪽지역의 문화적 중요 유물의 연대 및 지리적 분포" 4 (4): 2014

      2 이헌종, "한국의 돌날과 세형돌날석기 : 기원과 확산" 연세대학교박물관 2014

      3 장용준, "한국 후기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 학연문화사 2007

      4 최복규, "포천 화대리 쉼터 구석기유적" 강원대학교 2005

      5 Васильев С.Г, "톨바가 정착지" 1987

      6 Деревянко А.П, "카라봄 유형 석기군의 존재의 시·공간적인 양상" Изд-во Алт. гос. ун-та 1988

      7 Деревянко А.П, "카라봄 유적의 층위화된 부분의 구석기군"

      8 이승원, "충주 송암리 왜실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 2014

      9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19 : 5-23, 2004

      10 이기길,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제1권 :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살림" 조선대학교박물관·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2005

      11 이기길, "진안 진그늘 구석기시대 유적 현장설명회 자료"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12 Харевич В.М, "중앙예니세이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 단계"

      13 Окладников А.П, "중앙아시아의 구석기시대"

      14 Медведев Г.И, "중앙시베리아 남쪽의 층서학, 고고학, 고지형학" 1990

      15 Воробьева Г.А, "중부 시베리아 남부의 홍적세-충적세 퇴적물과 지질학적 층위에서의 고고학적 흔적"

      16 Деревянко А.П, "중기구석기에서 후기구석기로의 전환의 세 가지 시나리오, 첫 번째 시나리오: 중앙아시아와 근동의 후기구석기시대로의 전환" (4) : 2010

      17 Харевич В.М, "제르비나 5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의 석기기술"

      18 Окладников А.П, "자바이칼남동쪽의 석기시대와 초기 청동기시대"

      19 Лбова Л.В, "자바이칼 서쪽지역 구릉지대의 구석기시대"

      20 Харевич В.М, "우스트-말탓 2 후기구석기유적의 초기 석기생산 기술"

      21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84-115, 2015

      22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3) : 65-82, 2004

      23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36-69, 2015

      24 이헌종, "우리나라 돌날석기문화 연구" 단양군·(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25 이헌종, "우리나라 돌날석기 제작기법의 특징과 변화" 단양군·(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26 이헌종, "우리나라 돌날몸돌 제작기술체계의 특징과 변화 시고" 한국구석기학회 1 (1): 21-48, 2014

      27 호남문화재연구원, "완주 갈산리 유적Ⅰ" 2014

      28 이헌종, "예니세이강 유역과 그 주변지역의 세형돌날문화 문화변동 연구"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65-102, 2015

      29 Деревянко А.П, "아르혼의 구석기시대" Изд-во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О РАН 2010

      30 손동혁, "시베리아지역 후기구석기시대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소고" 호남문화재연구원 (23) : 2017

      31 최몽룡,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 주류성 2003

      32 Кузьмин Я.В, "시베리아와 극동 구석기시대의 방소성탄소연대" (1) : 2010

      33 손동혁, "시베리아 후기구석기시대의 사냥도구 검토" 중앙문화재연구원 (24) : 107-138, 2017

      34 손동혁, "시베리아 후기구석기시대의 골각기 검토" 전남문화재연구소 (16) : 2017

      35 이기길, "순천 죽내리 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순천시청·익산지 방국토관리청 2000

      36 Абрамова З.А, "소련의 구석기시대" 1984

      37 Абрамова З.А., "북아시아의구석기시대" Наука 1989

      38 Деревянко А.П., "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의 중기구석기에서 후기구석기로의 전환기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형성문제"

      39 Цейтлин С. М, "북아시아 후기 구석기시대의 지질학" 1979

      40 이헌종, "바이칼지역 후기구석기시대 세형돌날문화의 기술·형태적 특성과 주변지역과의 비교 연구" 한국-시베리아센터 20 (20): 25-64, 2016

      41 Константинов М.В, "바이칼 아시아의 동쪽 지역의 석기시대"

      42 장용준, "밀양 고례리유적 몸돌(석핵)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43 Аксенов М.П, "레나강 상류 구석기시대의 새로운 발견, Вып. 4" Изд-во Иркут, гос. ун-та 1978

      44 Кинд Н.В, "동위원소 자료에 의한 후기 인류의지질연대학" Наук 1974

      45 김환일, "대전용산동 구석기유적" 한국구석기학회 (10) : 2004

      46 중앙문화재연구원, "대전용산동 구석기유적" 2007

      47 홍미영, "남양주 호평동 유적 Ⅰ·Ⅱ" 기전문화재연구원·한국토지공사 2008

      48 김종찬, "남양주 덕소유적" 수원대학교박물관·(주)동부건설 2008

      49 양정석, "남양주 덕소 유적" 수원대학교 박물관·(주)동부건설 2008

      50 Деревянко А.П, "남몽골 치헨-2 석기시대의 유적" Изд-во ИАЭТ СО РАН 2000

      51 이헌종, "나주 당가·촌곡리 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04

      52 Константинов М.В, "구석기시대의 정착지 톨바가, Вып. 2" 1973

      53 이헌종, "곡성오지리유적" 마한문화재연구원 2008

      54 이헌종, "곡성 오지리유적과 후기구석기 후기의 돌날석기문화 연구" 호남사학회 (33) : 1-22, 2008

      55 서영남, "경남밀양시 고례리유적 후기구석기문화, 영남지방의 구석기문화" 1999

      56 이헌종, "韓國 後期舊石器時代 文化갈래의 複雜性 試考" 수양개와 그 이웃들 2010

      57 木村英明, "シベリアの旧石器文化" 北海道大學図書刊行会 1997

      58 경남발전연구원, "『거창 정장리 유적』Ⅱ"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59 경남발전연구원, "『거창 정장리 유적』Ⅰ"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04

      60 Деревянко А.П, "Природная среда и человек в палеолите г орного Алтая" Издательство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СО РАН, Новосибирск 2003

      61 Vasiliev S.G, "Tolbaga:Upper Paleolithic Settlement Patterns in The Trans- Baikal Region" 37 (37): 2009

      62 Derevianko A.P, "Three scenarios for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Scenario 1: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ransition in northern Asia" lzd, IAE SB & RAS 38 : 2010

      63 Derevianko A.P, "The technology of early Upper Paleolithic lithic reduction in northern Mongolia: the Tolbor-4 site" 29 : 2007

      64 Derevianko A.P, "The stratified cave site of Tsagaan Agui in the Gobi Altai (Mongolia)" 1 : 2000

      65 Derevianko A.P, "The paleolithic of Siber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66 Zwyns N, "The open-air site of Tolbor 16 (northern Mongolia): preliminary results and perspectives" 347 : 2014

      67 Brantingham P.J,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in Northeast Asia" 42 : 2001

      68 Rybin E.P, "The impact of the LGM on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Paleolithic in Mongolia" xxx : 2016

      69 Sergei A. Gladyshev, "The Upper Paleolithic of Mongolia: Recent finds and new perspectives" 281 : 36-46, 2012

      70 Vasiliev S.G, "The Upper Palaeolithic of Northern Asia" 34 (34): 1993

      71 Kuhn S.L, "Rethinking the initial Upper Paleolithic" 347 : 2014

      72 Gladyshev G., "Radiocarbon dating of Paleolithic sites in the Ikh-ulberiin-Gol River Valley, Northern Mongolia" 12 (12): 44-48, 2013

      73 Zwyns N, "Mongolia:paleolithic, Encyclopedia of Global Archeology Vol. 8 (Mo-O), Chapter:Mongolia:Paleolithic" Springer-Verlag 2014

      74 Zwyns N, "Laminar Technology and the Onset of the Upper Paleolithic in the Altai (Siberia)" Leiden University Press 2012

      75 Derevianko A.P, "Formation of Blade Industries in Eastern Asia" lzd, IAE SB & RAS 4 (4): 2005

      76 Derevianko A.P, "Developments of technological traditions of lithic tool manufacture in the lithic industries of the Early Upper Paleolithic in northern Mongolia (based on materials from the sites of Tolbor-4 and –15)" 56 : 2013

      77 S.A. Gladyshev, "Chronology and periodization of upperpaleolithic sites in mongolia" 38 (38): 33-40, 2010

      78 Derevianko A.P, "Archaeological Studies Carried Out by the Joint Russiane Mongoliane American Expedition in Mongolia in 1996" Institute of Archaeology & Ethnography, SB RAS Press 1998

      79 Derevianko A.P, "Archaeological Studies Carried Out by the Joint Russian-Mongolian-American Expedition in Mongolia in 1997-1998" Institute of Archaeology & Ethnography SB RAS Press 2000

      80 Jaubert J., "Analogies avec les donnèes de l”Altaï et de Sibèrier (Acts of the XIVth UISPP Congress University of Liège, Belgium, 2-8 September 2001. Section 6: Le Palèolithique Supèrieur)" Archaeo Press 225-241, 2004

      81 Деревянко А.П, "(북몽골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기술의 발달" Изд-во ИАЭТСО РАН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Siberia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66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