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과 전개 =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Dolhareubang in Ch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는 돌하르방이라 불리는 석상이 있다. 이 돌하르방은 제주도 세 곳의 지역에 산재해 있으며 현재 47기가 전해온다. 제주도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일반 대...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는 돌하르방이라 불리는 석상이 있다. 이 돌하르방은 제주도 세 곳의 지역에 산재해 있으며 현재 47기가 전해온다. 제주도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일반 대중들에게도 인기 높은 돌하르방은 그 기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는 남방기원설, 북방기원설, 제주자생설 등이 제기되었다. 각 주장들은 구체적인 돌하르방의 양식분석 없이 역사적 배경이나 인류학적인 검토를 통해 돌하르방의 기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 세 곳에 흩어져 있는 돌하르방의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복신미륵이라 불리는 석불입상에 대해서도 조성시기를 추정하였다. 복신미륵은 제주도에서 가장 큰 석불입상으로 돌하르방의 조성시기를 밝힐 수 있는 양식적 특성을 갖고 있다. 복신 미륵과 문헌자료를 통해 제주도 돌하르방 중 대정현성 돌하르방의 조성시기가 가장 오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2기의 대정현성 돌하르방 중4기가 몽골간섭기 몽골인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는 몽골풍 복식을 착용하고 있으며 대정현성 돌하르방과 유사한 진주 대아고등학교 석인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이 유라시아 대륙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Cheju Island, the largest island in Korea, there are stone statues called Dolhareubangs. These statues are scattered in three areas of the island. Today, only 47 Dolhareubangs remain. The Dolhareubang is a popular icon symbolizing Cheju Island. How...

      On Cheju Island, the largest island in Korea, there are stone statues called Dolhareubangs. These statues are scattered in three areas of the island. Today, only 47 Dolhareubangs remain. The Dolhareubang is a popular icon symbolizing Cheju Island. However,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ver where the Dolhareubang originated. Currently, there are three theories regarding its origin: the south, the north, or Cheju. These arguments are based solely on historical backgrounds and anthropological analyses, with no analysis of the Dolhareubangs’ characteristic style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no decisive conclusions regarding the origin of the Dolhareubang . This paper analyz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 s scattered across three areas of Cheju Island. It also estimated the time when a stone Buddha statue called Pokshin Maitreya was built. Pokshin Maitreya is the largest stone statue of a standing Buddha in Cheju, and its style characteristics allow us to trace back to the time when it was built. Through Pokshin Maitreya and literary sources, I identified that, of all the Dolhareubangs existing in the island, those in Dolhareubang (Daejeong-hyeon, or Daejeong-county Fortress) are the oldest. Thus, this paper assumes that it is very likely that 4 out of the 12 Dolhareubangs in Daejeonghyeonseong were made by Mongols during the 13th century Mongol Occupation Era in Korean history. This assumption is backed by the fact that the costumes of these Dolhareubangs are in Mongol style.similar to the costume of the stone statue located in Taea High School in Jinju City, Gyeongnam Province. Through such analys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origin of Dolhareubangs in Cheju Island can be traced back to the Eurasian contin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盧啓鉉, "麗蒙外交史" 甲寅出版社 1993

      2 김병모, "한국 석상문화 소고"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1982

      3 金錫翼, "탐라기년" 瀛洲書館 1918

      4 박원길,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뚜바인의 삶과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5

      5 한기선, "조선조 세종의 抑佛과 信佛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사학회 3 : 1986

      6 김용태, "조선전기 억불정책의 전개와 사원경제의 변화상" 조선시대사학회 (58) : 5-33, 2011

      7 강윤희, "조선시대 제주지역 동자석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명철,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 : 읍성, 진성과 봉수, 연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정성권, "제주도 돌하르방에 관한 연구-양식적 특징 및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檀國史學會 34 : 2001

      10 주채혁, "제주도 돌하르방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 그 명칭과 개념정의 및 존재시기–동몽골 다리강가 훈촐로와 관련하여" 청주대학교사학회 6 : 1994

      1 盧啓鉉, "麗蒙外交史" 甲寅出版社 1993

      2 김병모, "한국 석상문화 소고"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1982

      3 金錫翼, "탐라기년" 瀛洲書館 1918

      4 박원길,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뚜바인의 삶과 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5

      5 한기선, "조선조 세종의 抑佛과 信佛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사학회 3 : 1986

      6 김용태, "조선전기 억불정책의 전개와 사원경제의 변화상" 조선시대사학회 (58) : 5-33, 2011

      7 강윤희, "조선시대 제주지역 동자석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명철,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 : 읍성, 진성과 봉수, 연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정성권, "제주도 돌하르방에 관한 연구-양식적 특징 및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檀國史學會 34 : 2001

      10 주채혁, "제주도 돌하르방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 그 명칭과 개념정의 및 존재시기–동몽골 다리강가 훈촐로와 관련하여" 청주대학교사학회 6 : 1994

      11 주채혁, "제주도 돌하르방 연구의 몇가지 문제점 : 그 기능과 형태 및 계통 –동몽골 다리강가 훈촐로와 관련하여" 강원대학교 사학회 9 : 1993

      12 강창언, "제주도 石像에 관한 一硏究" 제주도사연구회 7 : 1998

      13 김유정, "제주 미술의 역사" 파피루스 2007

      14 강진옥, "전설의 역사적 전개" 한국구비문학회 5 : 1997

      15 유홍준, "장승" 열화당 1988

      16 고창석, "원대의 제주도 목장" (창간) : 1985

      17 Vkadimir D. Kubarev, "알타이의 제사유적" 학연문화사 1999

      18 데 바이에르, "몽골석인상의 연구" 혜안 1994

      19 윤형원, "몽골 석인상의 편년과 상징성에 대한 일고찰" 중앙아시아학회 11 : 197-209, 2006

      20 文基善, "돌하르방의 美術解剖學的硏究" 제주대학교 13 : 1981

      21 김유정, "돌하르방 북방·남방 기원설에 대한 재론" 탐라문화연구소 (31) : 203-236, 2007

      22 이형상, "남환박물" 푸른역사 2009

      23 이개석, "고려-대원 관계 연구" 지식산업사 2013

      24 金日宇, "高麗時代耽羅史硏究" 신서원 2000

      25 정성권, "高麗 建國期 石造美術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26 李元鎭, "耽羅志"

      27 김정선, "翁仲石: 돌하르방에 대한 고찰" 탐라문화연구소 (33) : 199-244, 2008

      28 梁浩一, "濟州道돌하르방의 形態考察" 한양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2 : 1996

      29 鉉容駿, "濟州石像‘우석목’ 小考" 제주도청 8 : 1963

      30 金榮敦, "濟州大靜旌義州縣城石像" 한국문화인륙학회 5 : 1972

      31 "朝鮮王朝實錄"

      32 金榮敦, "朝鮮時代濟州文物展" 濟州大學校博物館 1992

      33 淡水契, "增補耽羅誌"

      34 이경화, "坡州龍尾里磨崖二佛竝立像의 造成時期와 背景– 成化7年造成設을 提起하며-" 불교미술사학회 2005

      35 秦聖麒, "南國의 傳說" 一志社 1968

      36 上海市戱曲學校中國服裝史硏究組, "中國歷代服飾" 學林出版社 1994

      37 林俊雄, "ユーラシアの石人" 雄山閣 2005

      38 D. Bajar, "A Comparptive Study of Jeju’s Tulharubang and Mongol’s Hunchclo" 2 : 1994

      39 李琪亨, "<제주도 전설> 녹핀 하르방" 8 : 1963

      40 문현순, "1450년~1460년대 紀年銘아미타삼존불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