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국의 문자 정책 소고 - 몽골어에 관한 법을 중심으로 - = Official Policy of Mongolia on Mongolian Writing System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aw on the Mongolian Languag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7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debates within the Mongolian society for the selection of the national script between the present Cyrillic Mongolian script and the traditional Mongolian script. This paper also introduces the major legal and administr...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debates within the Mongolian society for the selection of the national script between the present Cyrillic Mongolian script and the traditional Mongolian script. This paper also introduces the major leg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which resulted in the “Law on Mongolian Language,” enacted by Ulsyn Ih Hural, or the Parliament of Mongolia, on February 12 2015, and which became effective as of July 1 of the same year.
      The author discusses the main points of the “Law on Mongolian Language” in the following order.
      1. Structure of the law 2. Official language of the nation 3. Selection of the national script and the meaning of the script names 4. Preparation for the future use of two scripts 5. Orthography of both writing systems The author recognizes the difficulties of using two official writing systems in a single country but he argues that the knowledge and mastery of the traditional Mongolian script by Mongolians should improve greatly by 2025 through the efforts of both schools and society, and with the enforcement of various steps provided by the “Law on the Mongolian Language.” The author expects efforts by Kazakh students, families, and schools, as well as the cooperation of the entire Mongolian society, will help improve the Mongolian proficiency of the Kazakh citizens of Mongolia.
      In the appendix, a full Korean translation of the “Law on the Mongolian Language” is provided along with related articles on the “Law on Vio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몽골에서는 민주화와 더불어 시작되어 25년 이상 지속된 활발한 토론과 여러단계의 법적, 행정적 절차를 거쳐 마련된 “몽골어에 관한 법(Монгол хэлний тухай хууль)”이 2015년 2월...

      몽골에서는 민주화와 더불어 시작되어 25년 이상 지속된 활발한 토론과 여러단계의 법적, 행정적 절차를 거쳐 마련된 “몽골어에 관한 법(Монгол хэлний тухай хууль)”이 2015년 2월 12일 국회를 통과하여 그해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같은 해 12월 4일 제23조(위반자에 대한 벌칙)에 대한 개정을 추가하였다. 전부 7 장 24조로 이루어진 이 법은 곧 ‘몽골 겨레의 정신문화의 소중한 유산, 겨레의 문화 문명의 뿌리와 줄기, 나라의 통합된 상태, 겨레의 안녕, 자주 독립의 한 확증인 (제5조 제1항) 몽골어를 제대로 배우고, 가르치고 사용하고, 물려주고, 물려받기’ 위해(제5조 제2항, 제3항) 마련된 장치로서 그 지위가 대한민국의 “국어기본법” 에 상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법이 제정, 공포되기까지 여러 의미 있는 법적, 행정적 절차, 시책이 있었고시행착오도 거듭되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몽골인민공화국 바가 호랄1)의1991년도 제36호 결정(“몽골인민공화국에서 공무를 몽골어로 처리 시행할 것과그 준비하는 일을 보장할 데 대하여”), 이에 근거한 1994년도 몽골 국회 제66호 결정(“국가 바가 호랄의 1991년도 제 36호 결정의 실천을 논의한 데 대하여”), 다시이에 근거한 “몽골문의 기본 계획” (1995~2005), 그 시행착오를 점검하여 다시 마련한 “몽골문의 기본 계획 2” (2008~2015), 2003년 5월 15일 국회를 통과하여2015년 6월 30일까지 발효된 국가의 공식 언어에 관한 법, 2013년 2월 2일의 몽골정부의 제37호 결정 (“몽골어문의 교육을 향상시킬 대책에 관하여”), 2003년 6월25일 공포된 대통령령 제105호(“칭기스 칸께서 보우하신 몽골 국의 문자를 사용한 800돌을 기념할 데 대하여”)과 같은 것들이다.2) 이 발표에서는 이 법의 주요 내용과 법이 마련되기까지의 논의를 본론삼아 소개하고, 이 법을 통해 실현하려는 몽골 어문 정책의 미래를 결론 삼아 전망하려고한다. 발표문의 끝에는 부록으로 이 법과 개정 조항의 우리말 번역, 그리고 위반에 관한 법 중 해당 조항의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몽골의 어문 정책을 한국의 다양한 방면의 연구자들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좀 더 나은 번역을 위한 조언도 받을 기회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원수, "현대 몽골어의 문자 표기: 몽골어에 관한 법을 중심으로" 한국알타이학회 57-77, 2016

      2 "칭기스 칸께서 보우하신 몽골 국의 문자를 사용한 800돌을 기념할 데 대하여"

      3 "출생증명서(견본)"

      4 유원수, "전환기 몽골 사회의 연구(1990~현재) ― 몽골의 이슬람 ―" 중앙아시아학회 20 (20): 1-20, 2015

      5 "유네스코"

      6 "위반에 관한 법률 /개정안"

      7 유원수, "위구르 계통 문자들의 역사와 현황" 한글학회 (306) : 179-211, 2014

      8 "몽골인민공화국의 역사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Түүхийн Хүрээлэн,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Түүх III: Нэн шинэ үе, Улсын Хэвлэлийн Хэрэг Эрхлэх Хороо: Улаанбаатар"

      9 "몽골어에 대한 법(개정) (2015.12.04. 개정 공포)"

      10 "몽골어에 관한 법 (2015.02.12. 제정 공포)"

      1 유원수, "현대 몽골어의 문자 표기: 몽골어에 관한 법을 중심으로" 한국알타이학회 57-77, 2016

      2 "칭기스 칸께서 보우하신 몽골 국의 문자를 사용한 800돌을 기념할 데 대하여"

      3 "출생증명서(견본)"

      4 유원수, "전환기 몽골 사회의 연구(1990~현재) ― 몽골의 이슬람 ―" 중앙아시아학회 20 (20): 1-20, 2015

      5 "유네스코"

      6 "위반에 관한 법률 /개정안"

      7 유원수, "위구르 계통 문자들의 역사와 현황" 한글학회 (306) : 179-211, 2014

      8 "몽골인민공화국의 역사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Түүхийн Хүрээлэн, Бүгд Найрамдах Монгол Ард Улсын Түүх III: Нэн шинэ үе, Улсын Хэвлэлийн Хэрэг Эрхлэх Хороо: Улаанбаатар"

      9 "몽골어에 대한 법(개정) (2015.12.04. 개정 공포)"

      10 "몽골어에 관한 법 (2015.02.12. 제정 공포)"

      11 "몽골어문의 교육을 향상시킬 대책에 관하여 (2013.02.02. 제정 공포)"

      12 "몽골문의 기본 계획 2 (2008~2015)(2008. 05. 28. 제정 공포)"

      13 "몽골문의 기본 계획 (1995~2005) (1995년 결정 공포)"

      14 "국가의 바가 호랄의 1991년의 제36호 결정의 실행을 논의한데 대하여 (1994. 07. 08. 발표)"

      15 "국가의 공식 언어에 관한 법 (2003.05.15. 제정 공포)"

      16 "교육 평가 본부"

      17 볼드들, "Монгол хэлний дэлгэрэнгүй тайлбар толь, Шинжлэх Ухааны Академи Хэл Зохиолын Хүрээлэн" Улаанбаатар 2008

      18 유엔디피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