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文 史書와 근세 내륙아시아 연구 = Mongolian Chronicles and the Inner Asian History of the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8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Qing history owes principally to the document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Archives of Taiwan,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and the several Provincial Archives in China. Besides of the documen...

      Recently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Qing history owes principally to the document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Archives of Taiwan,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and the several Provincial Archives in China. Besides of the documents in the Chinese script, these Archives above mentioned also includes a large number of the significant materials in Manchu, Mongolian, Tibetan, and Russian, most of which are the first-hand materials to research on the Early Qing politics,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nchu, Mongol, and Tibet, and the process to the formation of the Fan bu(藩部) system and so on. Most of the early Qing archival documents in Chinese, for example Qing shi lu, and military histories(fang lue) like as Qin ding ping ding shuo mo fang lue, originally translated from official chronicles in Manchu, which had composed by chosen Mongolian, and Tibetan records. In these days, scholarship on the Qing history start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the documents in Mongolian, because before Qing Dynasty established the Fan-bu system in the Mongolia, Tibet, and Xinjiang, during the 16-17th centuries, Mongols had controlled most of the Inner Asia, as Fan-bu Area of the Qing. But unfortunately little of the Mongolian archives has been published, besides of Mongɤol dangsa ebkemel-ün emkidkel, Dotoɤadu yamun-u mongɤol bičig-ün ger-ün dangsa and Arban doluduγar jaγun-u emün-e qaγas-tu qolbuγdaqu mongγul üsüg-ün bičig debter. In this paper, mainly discussed Engke amuγulang-un qorin jirγuduγar on-u dangsa from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These documents contain several significant sources on the history of the Khalkha Mongols, Dalai Lama’s diplomatic policy to the Qing and Mongols, and the Early Qing policy to the Mongols and Tibet and so on. For the research on the Inner Asian History during the 17thcentury, especially before Galdan of the Jungar Mongols had attacked the Left Wing of the Khalkha Mongols, these will show more evidence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Mongols and the Early Qing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 역사학계는 시대를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사와 미시적이고 때로는 이를 바탕으로 한 거시적 통찰을 통해 새로운 단계의 시대 성격 논쟁을 준비하고 있다. 아직 명시적인 논의가 진...

      최근 우리 역사학계는 시대를 넘나드는 다양한 주제사와 미시적이고 때로는 이를 바탕으로 한 거시적 통찰을 통해 새로운 단계의 시대 성격 논쟁을 준비하고 있다. 아직 명시적인 논의가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분석의 시대 기준, 지역의 한계, 중심과 부심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시도에서 작지만 그러한 방향성이 포착된다. 이러한 변화의 근간에는 유라시아에 대한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관점이 존재하며, 그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은 사료에 있다. 그간 존재를 알지 못했거나 주목받지 못했던 다양한 사료의 발굴과 이용이 용이해지면서 관점을 달리하는 새로운 해석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심에 단연 몽골사 연구가 자리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사, 내륙아시아사, 몽골제국사, 포스트 몽골제국사, 청대 몽골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던 몽골의 역사는 최근까지도 시대의 성격을 논하기보다는 통사적 골격을 만드는 일에 급급했다.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몽골사의 황금기였던 몽골제국 시대를 설명할 수 있는 사료가 상대적으로 부족했고, 그나마 몽골문 사료가 다수 남아있는 16세기 이후의 몽골사는 전체 몽골사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최근 라시드 앗 딘의 『집사』를 비롯한 페르시아어 사료가 소개, 번역되고 북경 第一歷史檔案館이 공간한 몽골문 사료가 이용되면서 몽골 제국과 제국 붕괴 이후 몽골사 연구가 풍성한 결실을 맺고 있다. 특히 중국사에서 청대에 해당하는 17~18세기 몽골문 사료에서는 앞선 제국기를 포함하여 몽골사 전체를 다룬 通史가 다수 편찬되었으므로 몽골 제국기 연구와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하겠다. 이에 필자는 16세기 이래 몽골문으로 정리된 사료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몽골사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그간 청대 몽골사로 분류되었던 이 시기 내륙아시아사를 몽골을 비롯한 내륙아시아 구성원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烏蘭, "「蒙古源流」研究" 遼寧民族出版社 2000

      2 조병학, "청대(淸代) 만몽(滿蒙) 당안(檔案)과 몽골사 연구 - 새로운 몽골 당안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31) : 41-61, 2011

      3 라시드 앗 딘, "집사: 칸의 후예들" 사계절 2005

      4 라시드 앗 딘, "집사: 칭기스 칸 기" 사계절 2003

      5 라시드 앗 딘, "집사: 부족지" 사계절 2002

      6 김장구, "역주 몽골 황금사" 동북아역사재단 2014

      7 유원수, "몽골비사" 사계절 2014

      8 김성수, "몽골 제국 붕괴 이후 쿠빌라이계의 활동과 그 한계" 한국몽골학회 (39) : 29-63, 2014

      9 조병학, "강희제의 제1차 대(對) 준가르 몽골 친정 과정 및 영향" 한국몽골학회 (34) : 109-132, 2013

      10 조병학, "갈단이 티베트에 보낸 서신의 만·한역(滿·漢譯) 비교 분석 시론 -달라이 라마, 디바, 라모 나이충, 바라이붕 나이충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35) : 47-80, 2013

      1 烏蘭, "「蒙古源流」研究" 遼寧民族出版社 2000

      2 조병학, "청대(淸代) 만몽(滿蒙) 당안(檔案)과 몽골사 연구 - 새로운 몽골 당안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31) : 41-61, 2011

      3 라시드 앗 딘, "집사: 칸의 후예들" 사계절 2005

      4 라시드 앗 딘, "집사: 칭기스 칸 기" 사계절 2003

      5 라시드 앗 딘, "집사: 부족지" 사계절 2002

      6 김장구, "역주 몽골 황금사" 동북아역사재단 2014

      7 유원수, "몽골비사" 사계절 2014

      8 김성수, "몽골 제국 붕괴 이후 쿠빌라이계의 활동과 그 한계" 한국몽골학회 (39) : 29-63, 2014

      9 조병학, "강희제의 제1차 대(對) 준가르 몽골 친정 과정 및 영향" 한국몽골학회 (34) : 109-132, 2013

      10 조병학, "갈단이 티베트에 보낸 서신의 만·한역(滿·漢譯) 비교 분석 시론 -달라이 라마, 디바, 라모 나이충, 바라이붕 나이충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35) : 47-80, 2013

      11 齊木德道爾吉, "關于康熙本“三朝實錄”" 2002 (2002): 2002

      12 喬吉, "蒙文歷史文獻槪述" 內蒙古人民出版社 1994

      13 敖其爾, "蒙文古籍的搜集整理和出版情況" 1986 (1986): 1986

      14 喬吉, "蒙古歷史文獻板本類型與系統" 1992 (1992): 1992

      15 羅桑丹津, "蒙古黃金史" 蒙古學出版社 1993

      16 比拉, "蒙古書籍史槪述" 1994 (1994): 1994

      17 留金鎖, "蒙古學十年" 1990

      18 沙 ․ 比拉, "蒙古史學史:十三世紀-十七世紀" 內蒙古敎育出版社, 上海古籍出版社 2015

      19 金啓孮, "自准部逃回被俘馬兵藍生芝口供──檔案、《實錄》、《東華錄》关系之管窥" 1996 (1996): 1996

      20 朱風, "漢譯蒙古黃金史綱" 內蒙古人民出版社 1985

      21 齊木德道爾吉, "滿文蒙古文和漢文"淸太祖實錄"之間的關係" 2003 (2003): 2003

      22 杜家驥, "淸朝滿蒙聯姻硏究" 人民出版社 2003

      23 中國第一歷史檔案館, "淸內閣蒙古堂檔" 內蒙古人民出版社 2005

      24 宝音德力根, "明清档案与蒙古史研究 第一辑, 第二辑" 内蒙古人民出版社 2002

      25 國立故宮博物院, "文獻足徵: 第二屆淸代檔案國際學術硏討會" 國立故宮博物院 2005

      26 金峰, "對我國托忒蒙文文獻硏究的展望" 1986 (1986): 1986

      27 國立故宮博物院故宮文獻編輯委員會, "宮中檔康熙/雍正/乾隆/光緖/嘉慶/道光/咸豊朝奏摺" 國立故宮博物院 1996

      28 喬吉, "喀喇沁王府所藏一部珍贵的蒙文史籍——關於漢文眉批蒙文 ≪Buγ da Činggis qaγan sudur(聖成吉思汗史)≫" 2003 (2003): 2003

      29 金峰, "呼和浩特史蒙古文獻資料匯編" 內蒙古人民出版社 1990

      30 烏雲畢力格, "十七世纪蒙古史論考" 內蒙古人民出版社 2009

      31 中國第一歷史檔案館, "內秘書院蒙古文檔案匯編" 內蒙古人民出版社 2003

      32 淸格爾泰 那順烏日圖, "中國蒙古文獻硏究" 1991 (1991): 1991

      33 森川哲雄, "アルタン‧ハ-ン伝硏究" 九州大學校 1987

      34 吉田順一, "アルタン‧ハ-ン伝硏究" 風間書房 1998

      35 珠荣嘎, "『阿勒坦汗传』 Erdeni tunumal neretü sudur orusiba" 内蒙古人民出版社 1990

      36 ϒombojab, "ϒ angγ-a-yin urusqal" 內蒙古人民出版社 1983

      37 喬吉, "ϒ angγ-a-yin urusqal" 內蒙古人民出版社 1983

      38 烏雲畢力格, "[阿薩喇克其史]硏究" 中央民族大學出版社 2009

      39 "Uyiγurjin mongγol üsüg-ün durasqaltu bičig-üd[回鶻式蒙古文文獻匯編]" 民族出版社 1983

      40 Johan Elverskog, "The Jewel Translucent Sūtra: Altan Khan and the Mongols in the sixteenth century" Brill 2003

      41 Joseph Francis Fletcher, "The Erdeni-yin erike as a Source for the Reconciliation of the Khalkha, 1681-1688" Harvard University 1965

      42 留金鎖, "Qad-un ündüsün quriyangγui altan tobči" 內蒙古民族出版社 1980

      43 Badai, "Oyirad teüken surbulji bičig" 内蒙古文化出版社 1985

      44 C. Damdinsürüng, "Mongγul uran jokiyal-un degeji jaγun bilig orusiba" 内蒙古人民出版社 1979

      45 Bira, Sh, "Mongolian Historical Literature of the ⅩⅦ-ⅩⅨ Centuries Written in Tibetan" 1970

      46 Nicola di Cosmo, "Manchu-Mongol Relations on the Eve of the Qing Conquest" Brill 2003

      47 Natsagdorj, "Khalkyn Tüükh" 1963

      48 佚名, "Erten-ü mongɤ ol-un qad-un ündüsün-ü yeke sira tuɤ uji orusiba" 民族出版社 1983

      49 Saɤang Sečen, "Erdeni-yin tobči" 内蒙古人民出版社 1980

      50 Rachewiltz, "Erdeni-yin tobci, Faculty of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1

      51 Galdan, "Erdeni-yin erike kemekü teüke bolai, Monumenta Historica vol.3" 1960

      52 Karénina Kollmar-Paulenz, "Erdeni tunumal neretü sudur: Die Biographe des Altan Qaɤan der Tümed-Mongolen" Harrassowitz 2001

      53 Jimbadorji, "Bolur toli" 民族出版社 1984

      54 Šamba, "Asaraɤ či neretü-yin teüke" 民族出版社 1984

      55 李保文, "Arban doloduγar jaγun-u emün-e qaγas-tu qolboγdaqu mongγol üsüg-ün bičig debter" 內蒙古少年兒童出版社 1997

      56 佚名, "Arban buyan-tu nom-un čaɤ an teüke" 内蒙古人民出版社 2000

      57 羅布桑布丹津, "Altan tobči" 內蒙古人民出版社 1999

      58 Dharm-a, "Altan kürdün mingγan kegesütü" 內蒙古人民出版社 1987

      59 额尔登泰, "<蒙古秘史>校勘本" 内蒙古人民出版社 1980

      60 金成修, "1세 제브준단바호톡토와 17세기 할하 몽골" 동양사학회 83 : 2-79, 2003

      61 조병학, "18세기 초 청ㆍ준가르몽고 관계 연구 ― 『청내각몽고당당』중 체왕랍탄[tsewang labtan]관련 기사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36) : 215-250, 2011

      62 이성규, "17世紀 蒙文年代記의 蒙古語 硏究" 네오출판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