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홍성지역 재지세력의 형성과 추이 =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during the Chos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based on the geography book of the clan, consanguineous village and successful applicants in the licentiate examination(samasi). The analysis on the g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ongseong's local gentry based on the geography book of the clan, consanguineous village and successful applicants in the licentiate examination(samasi). The analysis on the gentry(sajok) which were influential in a local community could lead to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local area.
      Most of the consanguineous villages in Hongseong were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Choson Dynasty through the entry time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although the Hongju Lee family and the Damyang Jeon family had already settled down in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his formation of villag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amasi applicants; that is, more families had successful applicants during the King Sukjong's reign than before. For instance, in Hongseong a few family clans and families with particular genealogy were initially the ruling class consisting of the SaengwonㆍGinsa. It was not until in the middle of the Choson Dynasty that the Hongseong region became generally known, so the region was occupied with both the family who dwelt at the beginning and later the gentry who formed their consanguineous village with successful samasi-applicants.
      This gentry group developed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led a social developmen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1945. They played a vital role in reforming the local area, in particular, in educating the publ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에서 일정한 세력을 형성했던 사족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지리지에 수록된 성씨와 동족마을, 사마시 합...

      지역에서 일정한 세력을 형성했던 사족에 대한 분석과 이해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지리지에 수록된 성씨와 동족마을, 사마시 합격자 중 홍성출신 인사를 중심으로 사족의 형성과 추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홍성의 동족마을은 홍주이씨와 담양전씨 등 초기부터 정착한 가문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중기 이후 입향하여 후기에 재지세력화 단계를 거쳤다. 이러한 분포는 사마시 합격자의 배출에서도 거의 그대로 일치하고 있는데, 숙종 이전에 합격자를 많이 배출한 가문보다 숙종 이후에 배출한 가문이 압도적이었던 것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생원ㆍ진사 배출현황을 중심으로 살펴본 홍성지역 지배층의 혈연적 구조의 단면이 소수 본관 및 특정 계보에 편재되어 있었음도 살필 수 있다. 나말려초 중앙에 비로소 알려지기 시작한 홍성에는, 초기부터 입향한 가문과 중기 이후 입향하여 후기에 동족마을을 형성하고, 다수의 사마시 합격자를 배출하면서 재지세력화 나아가 사족화를 이룬 가문으로 구성되었던 것이다.
      이들 가문의 출신 인사들은 한말, 일제강점기에 민족운동의 전개와 함께 사회의 변화ㆍ발전을 주도하였다. 교육을 통한 계몽에 앞장서는 등 지역사회 변화를 주도하였던 엘리트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주대관"

      2 "홍성읍지"

      3 "홍성군지"

      4 "홍북면지"

      5 "홍동면지"

      6 "홍동면지"

      7 대덕문화원, "호연재 김씨의 시와 삶"

      8 전용우, "호서사림의 형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 1994

      9 장규식, "해방후 국가건설운동과 지역사회의 동향-충청남도 홍성군사례-" 16 : 1994

      10 김경수, "한말ㆍ일제하 홍성지방의 감리교 수용과 확산, 지역엘리트의 형성"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9 : 139-179, 2003

      1 "홍주대관"

      2 "홍성읍지"

      3 "홍성군지"

      4 "홍북면지"

      5 "홍동면지"

      6 "홍동면지"

      7 대덕문화원, "호연재 김씨의 시와 삶"

      8 전용우, "호서사림의 형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 1994

      9 장규식, "해방후 국가건설운동과 지역사회의 동향-충청남도 홍성군사례-" 16 : 1994

      10 김경수, "한말ㆍ일제하 홍성지방의 감리교 수용과 확산, 지역엘리트의 형성"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9 : 139-179, 2003

      11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12 이두현, "한국민속학 개설" 학연사 1983

      13 이수건, "토성연구" 16 : 1975

      14 김진호, "충남지방 3․1운동 연구" 충남대 2002

      15 "충남발전사"

      16 전종한, "종족집단의 주거지 이동과 지역화과정" 교원대 2002

      17 김일철, "종족마을의 전통과 변화" 백산서당 1998

      18 김경옥, "조선후기 동성마을의 형성배경과 사족들의 향촌활동 - 전라도 영암 영보리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6 (6): 2003

      19 임선빈, "조선초기 외관제도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20 "조선왕조실록"

      21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22 최진옥, "조선시대 생원진사 연구" 집문당 1998

      23 임병조, "조선시대 관료층의 내포지방 정착과정" 13 : 2000

      24 정만조,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집성촌과 사족" 국민대출판부 2004

      25 이해준, "조선시기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1996

      26 이균영, "조선민흥회와 신간회를 둘러싼 제의론의 검토. In: 한국근대민족운동사연구" 1987

      27 "조선국세조사보고 도편 제3권 충남"

      28 "조선국세조사보고"

      29 "조선の 취락 후편"

      30 "장곡면지"

      31 한규무, "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7

      32 김동수, "세종실록지리지의 연구-특히 물산․호구․군정․간전․성씨조를 중심으로-" 서강대 1991

      33 황성창, "성리학의 전성지 결성현 호학파 강론장 결성관란정" 19 : 2004

      34 이정주, "생원․진사 합격자들. In: 조선시대 아산지역의 유학자들" 2007

      35 "사마방목"

      36 김상기, "복암 이설의 항일민족운동에 대한 고찰"

      37 이관호, "마을 공동체 신앙의 구성체계 분석 연구" 4 : 1997

      38 이연숙, "동족마을의 서당 설립과 근대적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37) : 105-140, 2006

      39 이성우, "대한광복회 충청도지부의 결성과 활동" 12 : 2000

      40 담양전씨 홍주문중사 편찬위원회, "담양전씨 홍주문중사"

      41 임선빈, "내포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역사․문화적 성격. In: 근대이행시 지역엘리트 연구 1" 경인문화사 2006

      42 김경수, "내포의 중심, 어제의 홍주와 오늘의 홍성" 청운대학교 인력개발센터 9 : 2008

      43 김상기, "김복한의 학통과 사상" 1995

      44 김권정, "기독교세력의 신간회 참여와 활동. In: 한국독립운동과 종교활동" 국학자료원 2000

      45 김권정, "기독교세력의 신간회 참여와 활동. In: 한국독립운동과 종교활동" 국학자료원 2000

      46 "금마면지"

      47 충남대학교 내포지역연구단, "근대이행기 지역엘리트의 연구" 경인문화사 2006

      48 조성미, "구재패록" 161 : 2007

      49 "광천읍지"

      50 "경국대전"

      51 "결성면지"

      52 "갈산면지"

      53 "淸州韓氏淸原世譜"

      54 전하수, "庚午司馬榜目" 6 : 2000

      55 조동걸, "3․1운동의 地方史的 性格-江原道지방을 중심으로-" 47 : 1970

      56 조항래, "1910년대의 애국계몽운동 연구"

      57 김상기, "1895~1896년 홍주의병의 사상적 연원과 전개"

      58 홍제연, "14~15세기 충청도 연산현 사족의 입향과 정착" 충청학과 충청문화 3 3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