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 은평뉴타운 ‘靑覃寺’ 명문 기와 출토 건물지의 성격 검토-나말여초 화엄 십찰 한주 부아산 ‘靑潭寺’ 특정 문제와 관련하여- =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 of Inscribed Roof Tiles in 'Cheongdamsa(靑覃寺),' located in Eunpyeong New Tow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unpyeong-gu New Town 'Cheongdamsa' where inscribed roof tiles were excavated is a unique building site on the roadside. The roof tiles, on which the letters of Sambocho(三宝草), Cheongdamsa(靑覃寺), Samgaksan(三角山) are inscribed, were disc...

      Eunpyeong-gu New Town 'Cheongdamsa' where inscribed roof tiles were excavated is a unique building site on the roadside. The roof tiles, on which the letters of Sambocho(三宝草), Cheongdamsa(靑覃寺), Samgaksan(三角山) are inscribed, were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between 2007 ~ 2008. For this reason, this site is known as the site of Cheongdamsa. However, this building is located at the base of the important transportation network connecting Gyeonggi and Namgyeong in the era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and connecting Hanseong and Gyeseong. Therefore, this building is estimated to be an officially-used building, or a temple, not a temple as a meditation space.
      "Deoksuwon(德水院)," which is seen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at the similar time of its existence in the area where this building site is located, is confirmed in documentary records. The building site of inscribed roof tiles in Eunpyeong New Town 'Cheongdam Temple' has a unique feature to such an extent as to be rarely find similar case due to the left on the side of south without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s, the shape of 回, though it is a single building, location running parallel to the main road and building allocation. In addition, the majesty, revealed as a magnificent architecture of the standardized intercolumniation of four meter, is noticed as an example of the authoritarian architecture in the limited space of the end of Goryeo.
      Meanwhile, the discovery of roof tiles, on which letters of Sambocho(三宝草), Cheongdamsa(靑覃寺) and Samgaksan(三角山)are inscribed, makes us consider that this temple is the main subject of a particular templ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is "Cheongdamsa" can be regarded as the same Cheongdamsa, which is called "one of Korea's Ten Greatest Hwaeom Temples in Buasan" recorded in the early 10th century. It is important, however, that the presence of the temple called Cheongdamsa, located near the Samgaksan was identified. To confirm i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arry out a precise excavation investigation around the ruins and nearby build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은평 뉴타운 ‘靑覃寺’ 명문 기와 출토 유적은 대로변에 위치한 특수한 성격의 건물지이다. 이곳에서는 지난 2007~2008년 발굴조사 과정에서 ‘三角山 靑覃寺 三宝草’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

      은평 뉴타운 ‘靑覃寺’ 명문 기와 출토 유적은 대로변에 위치한 특수한 성격의 건물지이다. 이곳에서는 지난 2007~2008년 발굴조사 과정에서 ‘三角山 靑覃寺 三宝草’라는 명문이 있는 기와가 발견되어, 그간 청담사지로 알려졌다. 이 건물지는 고려와 조선시대 개경과 남경을 잇고, 한성과 개성을 잇는 중요 교통망의 거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유적은 수행 공간으로서의 사찰이 아닌 관용 건물, 혹은 院 시설일 가능성이 있다.
      이 건물지가 위치한 지역 내에는 이의 존속 시점과 비슷한 시기에 설치・운영된 것으로 보이는 德水院이 문헌 기록 속에서 확인된다. 이 원은 15세기 전반까지는 존재했으며, 오늘날의 창릉천, 곧 조선 후기에는 덕수천으로 불린 하천 하단의 구릉에 위치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아울러 덕수천이라는 명칭은 조선 전기 덕수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입지와 제반 여건들은 은평뉴타운 ‘청담사’명 기와 출토 건물지에 대한 조사 결과와 일치한다.
      은평뉴타운 ‘청담사’ 명문 기와 출토 건물지는 지리적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남면의 좌향, ‘回’자형의 배치를 취한 점, 대로와 평행하는 입지와 건물 배치 등 비슷한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주칸거리 4m로 규격화된 장대한 건축물로 드러나는 위엄은 고려 말기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권위 건축의 한 예로서 주목된다.
      한편, 이 건물지에서 발견된 ‘三角山 靑覃寺 三宝草’ 명문 기와의 발견은 ‘원’의 운영 주체인 특정 사찰을 상정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나 이 ‘靑覃寺’를 화엄십찰로 10세기 초반 기록에 언급된 부아산의 ‘靑潭寺’로 볼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유적 주변 및 인근 건물지 등에 대한 정밀한 발굴조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2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3 김일림, "화엄십찰의 입지요인 -갑사, 범어사, 해인사, 화엄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187-200, 2017

      4 "홍재전서"

      5 "해동지도"

      6 "한양경성도"

      7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파주 혜음원지 발굴조사 보고서–1차~4차 (1)" 2006

      8 "지승"

      9 청주대학교 박물관, "중원 미륵리사지 4차 발굴조사보고서" 1992

      10 "임백호집"

      1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2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3 김일림, "화엄십찰의 입지요인 -갑사, 범어사, 해인사, 화엄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7 (27): 187-200, 2017

      4 "홍재전서"

      5 "해동지도"

      6 "한양경성도"

      7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파주 혜음원지 발굴조사 보고서–1차~4차 (1)" 2006

      8 "지승"

      9 청주대학교 박물관, "중원 미륵리사지 4차 발굴조사보고서" 1992

      10 "임백호집"

      11 한강문화재연구원, "은평뉴타운 3-A공구 고려시대 건물지 출토 명문기와 현황" 2008

      12 황정욱, "원주 법천사지 9차 발굴조사" 2015

      13 "연도기행"

      14 "약천집"

      15 곽승훈, "신라 말기 최치원(崔致遠)의 승전(僧傳)찬술" 22 : 2005

      16 장일규, "신라 말 靑潭寺와 화엄 불교계의 동향" 신라사학회 (41) : 149-180, 2017

      17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진관동 유적 Ⅲ" 2010

      18 박성희, "서울 은평뉴타운 ‘청담사(靑潭寺)’ 명문 기와 출토 건물지 발굴조사의성과와 의의" 2015

      19 "새서울略圖"

      20 章輝玉, "삼국시대의 화엄경 전래시기와 「法藏 和尙傳」에 대한 재고찰" 14 : 1989

      21 "사우정집"

      22 "사계전서"

      23 "목은집"

      24 최연식, "고려시대 院館 사찰의 출현과 변천과정" 이화사학연구소 (52) : 1-34, 2016

      25 정요근, "고려 중.후기 '임진도로(臨津渡路)'의 부상(浮上)과 그 영향" 한국역사연구회 (59) : 197-227, 2006

      26 정요근, "고려 역로망 운영에 대한 원(元)의 개입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64) : 161-195, 2007

      27 鄭治泳, "高麗~朝鮮 前期 기와의 조달 양상" 5 (5): 2006

      28 韓基汶, "高麗 歷代 國師・王師의 下山所의 存在樣相과 그 機能" 16 : 1991

      2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瑞山 普願寺址 Ⅱ" 2012

      3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瑞山 普願寺址 1" 2010

      31 "朝鮮五万分一地形圖"

      32 국립문화재연구소, "景福宮 燒廚房址 發掘調査報告書 1" 2008

      33 최홍조, "新羅 哀莊王代의 政治改革과 그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54) : 301-366, 2009

      34 최성은, "慈氏閣의 불상과 화엄십찰 靑潭寺"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2) : 23-49, 2009

      35 李九義, "崔致遠의 「法藏和尙傳」攷" 19 : 1991

      36 金福順, "崔致遠의 「法藏和尙傳」 檢討" 57 : 1987

      37 "唐大薦福寺故寺主翻經大德法藏和尙傳"

      38 정요근, "7~11세기 경기도 북부지역에서의 간선교통로 변천과 ‘長湍渡路’" 한국사연구회 (131) : 191-222, 2005

      39 박성희, "2008 한국고고학저널" 주류성 2009

      40 "1872년 지방지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