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활주체의 경험을 통해 본 광주 예술의 거리 장소성 연구 = A Study on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Looked through Experience of Life Sub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7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에서 살아온 생활주체들의 경험의 관점에서 거리의 형성 과정과 장소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의 거리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 변...

      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에서 살아온 생활주체들의 경험의 관점에서 거리의 형성 과정과 장소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의 거리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 변화, 광주 예술계의 흐름과 경제?정치적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예술의 거리가 지정되기 이전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파악을 위해, 선행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물리적, 행태적, 의미적 요소를 도출해내었다. 장소성 형성의 물리적 요소는 행정권력에 의해 드러난 요소와 생활주체가 생각하는 중요한 요소를 종합하여 파악했다. 행태적 요소는 생활주체가 거리에서 경 험하는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역사적 과정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미적 요소는 의미경합의 장 으로서 생활주체들이 경험한 예술의 거리의 역사 속에서, 그들이 거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생활주체의 인식과 관점을 통한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진단을 통해, 거리 정체성 확립과 통합적 장소브랜드 개발, 생활주체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위한 내발적인 장소성 만들기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treet, look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life subjects living in this street. For this purpose, at first, history before art street was designated was trac...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treet, look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life subjects living in this street. For this purpose, at first, history before art street was designated was traced by review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transformation of the Art Street with the trend of Gwangju art scene and economic?political situation. And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formation factors of placeness are extracted into physical element, behavior element and semantic element. Physical element and behavior element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ata analysis for individual and microscopic historical process of life subjects being experienced in the street that is contrary to policy and plan. Finally, a semantic element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naire as to how people recognize current art street through a history being experienced as a venue of conflict of meaning. It is implied that bottom up place making policies that may connect context of the formation of placeness with the viewpoint of life subject in the Art Street is required to be presented no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범위와 방법 및 분석틀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범위와 방법 및 분석틀
      • 4. 광주 예술의 거리의 형성 과정
      • 5. 광주 예술의 거리 장소성 분석
      • 6.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hnston, R. J, "현대인문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1992

      2 "침체된 예술의 거리 2001.9.4"

      3 안예현, "청계천 지역의 장소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도심재개발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7

      4 이경동, "청계천 복원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인근 가로환경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2008

      5 심광택, "지역학습을 위한 공간성·장소성·환경가치의 연구: 진주지역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349-367, 2005

      6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 마케팅 전략" 논형 2006

      7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91 : 169-184, 1997

      8 최막중,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36 (36): 153-162, 2001

      9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2004

      10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 Johnston, R. J, "현대인문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1992

      2 "침체된 예술의 거리 2001.9.4"

      3 안예현, "청계천 지역의 장소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도심재개발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7

      4 이경동, "청계천 복원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인근 가로환경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2008

      5 심광택, "지역학습을 위한 공간성·장소성·환경가치의 연구: 진주지역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349-367, 2005

      6 이무용,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 마케팅 전략" 논형 2006

      7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91 : 169-184, 1997

      8 최막중,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 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36 (36): 153-162, 2001

      9 백선혜,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 한국과 미국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2004

      10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 서울 홍대지역 클럽문화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1 노정민, "장소마케팅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 구도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08

      12 김태진, "장소 관점에서 본 도시내특화된 재래시장의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황학동 중고품시장을 중심으로" 2004

      13 박승규, "일상의 지리학: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묻다" 책세상 2009

      14 김상철, "일상문화적 관점을 통한 도시노후주거지역의 장소성 분석 :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3동 와우산 일대를 사례로" 전남대학교 문화전 문대학원 2012

      15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16 아트로드프로젝트, "예술의 거리에서 예술가처럼 사는 법" 2011

      17 연합뉴스, "예술의 거리 활성화자금 제 구실 못해 1990.5.11"

      18 양은나, "서울 문화거리의 재해석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8

      19 안영진, "사회지리학의 이해" (주)푸른길 2008

      20 "무등예술관 개관 1991.11.21"

      21 李錫煥, "도시 가로의 장소성 연구 : 대학로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8

      22 이철우, "대구 약령시의 장소정체성과 장소마케팅" 한국지역사회학회 13 (13): 133-161, 2005

      23 "네이버 지도"

      24 "너도나도 경관 조명 설치 2009.10.5"

      25 아트로드프로젝트, "길 위에서 길을 만나다" 2010

      26 "궁동 예술의 거리 2004.5.10"

      27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 국토용어해설"

      2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9 문현영, "광화문 광장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 이용 행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127-138, 2011

      30 "광주시, 예술의 거리 상설공 연장 설치 2011.5.20"

      31 이권호, "광주 예술의 거리내 (가칭)현대미술관 기본 계획 설계 : 미술관의 기능과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32 "광주 궁동 예술의 거리 2000.5.12"

      33 박선홍, "광주 1백년" 심미안 2012

      34 남상희, "공간과 시간을 통해 본 도시와 생애사 연구" 한울 2001

      35 박우주, "거주민의 삶을 통해 본 학 팔거리 장소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2009

      36 Steele, F, "The Sense of Place" CBI Publishing Company 1981

      37 Entrikin, J. Nicholas, "The Betweenness of Plac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1

      38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39 Pred, A,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Macmillan 337-365, 1985

      40 Agnew, J, "Place and Politics" Allen and Unwin 1987

      41 Relph, E, "Place and Placeness" PION 1976

      42 Auge, M,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Verso 1995

      43 May, J. A, "Kant's Concep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ront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ublication 4-, 1970

      44 Lukermann, F, "Geography: de facto or de juce" 32 : 189-196, 1965

      45 Trancik, R, "Finding Lost Space: Theories of Urban Design" John Wiley & Sons 1986

      46 Merriman, P, "Driving Places: Marc Augé, Non-places, and the Geographies of England's M1 Motorway" 21 (21): 145-167, 2004

      47 Antoniades, A. C, "Architecture and Allied Design: An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980

      48 Bonta, J, P, "American Architects and Texts: A Computer-aided Analysis of Literature" MIT Press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