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산성 지명의 분포와 변천 = 『北漢誌』 수록 지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

      본 글의 목적은 북한산성 안에 분포하는 지명들의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지명 변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존하는 지명 자료 중 가장 많은 북한산성 지명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평가받는 『북한지(北漢誌)』 (1745)를 중심으로 시대별 지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후부 지명소에 따라 자연 지명과 인문 지명으로 나누어 지명의 분포 및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북한산’ 등의 주요 지명들을 선정하여 지명의 의미와 그 변천 양상을 전부 지명소를 중심으로 기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에 활발하게 통용되던 북한산이란 지명은 고려시대에는 삼각산, 조선시대에는 다시 ‘북한산’ 및 ‘북산’ 이란 지명으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고, 1711년 북한산성이 축조되면서 북한산이란 지명 통용이 공식화되면서 지명 언중들에 의해 활발히 인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북한지』에 수록된 지명들이 자연 지명 중 산지와 하천 지형을 가리키는 지명들과 이러한 지리적 환경에 자리 잡고 있는 산성 관련 각종 인공 시설물 명칭들, 특히 이 책을 편찬한 승려 성능을 통해 동일시된 불교적 정체성과 이데올로기를 담은 불교 관련 지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lace names in the area of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o basically suggest the several features which have happened throughou...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ymbolic meanings of the place names in the area of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o basically suggest the several features which have happened throughout the process of toponymic change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 collected the chronological toponymic dat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Bukhanji (Record of Bukhansanseong, 1745) in which the most existing place names related to Bukhansanseong are recorded. In the
      meantime, I proposed the character of distributions and types of the physical, human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rear-part of toponymic morpheme, i.e. the generic name. Moreover, selecting the main place names such as ‘Bukhansan’, etc., I analyzed some features on the toponymic meanings and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fore-part of toponymic morpheme, the specific name. Consequently, I identified the facts that the name of ‘Bukhansan’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Samgaksan’ in the Goryeo Dynasty, and again ‘Bukhansan’ or ‘Buksan’ in the Joseon Dynasty era had been primarily called. And then the place name, ‘Bukhansan’ has been officially named until now since constructing the Bukhansanseong Fortress in 1711. Meanwhile, the physical place names related to mountainous and fluvial topography, the place names of artificial facilities such as a mountain fortress on this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especially Buddhistic place names which was named and identified by Buddhist monk, Seongneung who wrote the Bukhanji, representing the Buddhistic identity and ideology, form a large majority of the place names within Bukhansanse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명의 분포
      • 3. 주요 지명의 의미 및 변천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명의 분포
      • 3. 주요 지명의 의미 및 변천
      • 4.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 1:5만지형도(서울, 성동)"

      2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동지도, 지승, 1872년지방지도"

      3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08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

      6 "한국고전종합DB(신증동국여지승람)"

      7 지헌영, "한국 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2001

      8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7(경기편: 상)" 한글학회 1985

      9 도수희, "한국 지명 연구" 이회 1999

      10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큰사전(상・하)" 한글학회 1991

      1 "현대 1:5만지형도(서울, 성동)"

      2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동지도, 지승, 1872년지방지도"

      3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08

      4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2003

      5 "한국사데이터베이스(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

      6 "한국고전종합DB(신증동국여지승람)"

      7 지헌영, "한국 지명의 제문제" 경인문화사 2001

      8 한글학회, "한국 지명 총람 17(경기편: 상)" 한글학회 1985

      9 도수희, "한국 지명 연구" 이회 1999

      10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큰사전(상・하)" 한글학회 1991

      11 김순배, "하남(河南) 지역의 지명 변천" 한국지명학회 17 : 61-104, 2011

      12 김순배, "필사본『朝鮮地誌資料』충청북도편 지명 자료의 시론적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31-44, 2013

      13 남풍현, "차자 표기법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81

      14 김순배,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대한지리학회 45 (45): 201-220, 2010

      15 김순배, "지명과 권력: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변천" 경인문화사 2012

      16 "종로도서관(京畿道高陽郡郡勢一班)"

      17 "조선시대전자문화지도시스템"

      18 이수건, "조선시대 지방행정사" 민음사 1989

      19 김순배, "설악산권 자연지명의 의미와 지명 영역의 변화 -‘설악’과 ‘한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21 : 37-78, 2014

      2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지명사전" 서울시 2009

      21 "서울지명사전"

      22 김성태, "북한산성의 지명과 불교의 가르침"

      23 경기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 행궁지: 종합정비기본계획" 고양시・경기문화재단 2009

      24 경기문화재단, "북한산 조사연구자료집" 경기문화재단 2011

      25 김순배, "백두대간 고개 지명의 분포와 변천 -설악산과 오대산 일대를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23 : 5-74, 2015

      26 김순배,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99-131, 2013

      27 "다음지도"

      28 "농지공간포털 지도서비스"

      29 "네이버 지식백과(한국의 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0 "국토지리정보원 지도검색서비스(1:50,000, 1:25,000, 1:5,000 지형도)"

      31 김성태, "고양시 북한산성 이야기, (시민강좌)고양시의 고고학 이야기" 겨레문화재연구원 2013

      32 이은만, "고양군 지명유래집" 고양문화원

      33 "경기문화재연구원 북한산성문화사업팀 (“다시 보는북한산성”)"

      34 고양군지편찬위원회, "高陽郡誌" 1987

      35 고양시사편찬위원회, "高陽市史" 2005

      36 조선총독부, "近世韓國五萬分之一地形圖(1:50,000, 京城)" 경인문화사 1988

      37 "輿地圖書" 국사편찬위원회 1973

      38 일본육군참모본부, "舊韓末 韓半島 地形圖" 성지문화사 1996

      39 조선총독부,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 태학사 1985

      40 유형원, "東國輿地志" 아세아문화사 1983

      41 "東國輿地備攷"

      42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태학사 1985

      43 "戶口總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44 성능, "北漢誌"

      45 연합뉴스, "300년 역사 북한동 마을 전설 속으로: 연말까지 55가구 이주하고 사찰만 남아"

      46 고양신문, "300년 역사 북한동 마을 사라져: 공원관리사업소 남은 5가구 철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