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이전 사행 관련 지리공간의 사행노정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 동팔참(東八站)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plomatic Envoy Journey(使行路程) Electronic Culture Map of Geographial Spaces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Focusing on the ‘Dongpalcham(東八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envoy trip in the traditional era was the stage of diplomatic activity and the space of literature creation. As Myeonginjaesa (名人才士), those who travelled around the world sublimated the knowledge of a cruise into travel literature. Poetry a...

      An envoy trip in the traditional era was the stage of diplomatic activity and the space of literature creation. As Myeonginjaesa (名人才士), those who travelled around the world sublimated the knowledge of a cruise into travel literature. Poetry and prose that they left such as diplomatic travel record (使行錄), Yeonhaengrok (燕行錄), Yeonhaenggasa (燕行歌辭), novel, etc. became literature. Diplomatic envoy journey (使行路程) is characterized by literature space, which allowed just the envoy travel literature (使行文學) to be born. The envoy travel literature to China crossed the Yalu River, headed for Shenyang-Shanhai-kuan-Beijing (up for Rehe (熱河) far away), went across the Yalu River again, and then returned to Joseon. The space from the Yalu River to Shenyang mean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envoy travel literature to China. This was called Dongpalcham. The close-relation feature and the geographic cognition of being contained in this region was as if having faced mountains and streams in Joseon. Thus, the space in imaginative geography and imaginary history is just the Dongpalcham region.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Envoy Journey Culture Atlas’, which is a digital culture map, through making it archive with recording the images (photos․video․GPS) of diplomatic envoy journey, which is the space of historical․cultural․geographical background in envoy travel literature Ow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i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even a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ities is getting diverse. As a research methodology or an educational methodology of humanities, an attention to cultural informatics and ‘digital humanities’ tends to be growing. ‘Envoy trip digital map’, which is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to be an introductory case that tries to realize the section of Dongpalcham, which is the literature space and the diplomatic envoy journey, as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at is a research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A map, which ‘digitalized’ cultural information, is called ‘electronic culture map’. Electronic culture atlas can be said to be ‘a knowledge production method that creates new information’ in that it itself is database, which was organized wit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focusing on time, space and theme. As ‘new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ities,’ the possibility of electronic culture atlas' has been brought up. In that regard, this study aimed to seek a method of implementing electronic culture atlas after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electronic culture atlas’ as a methodology of inquiring into the space of envoy travel literature, into the hero's traffic line (journey), and into the contents of a work.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2 web sites (travel-record history journey, story theme park) of having made envoy-trip culture (journey) archive, referred to the outcome of a previous research, and then attempted the application of archive materials to the envoy-trip-culture digital map. With regard to being various in the envoy-trip culture and to being thick in historical literature, the feasibility is high even as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ulture atlas by diverse sub-themes such as Yeolha Ilgi (热河日记), Seaway Route Journey (海路路程), Byeongjahoran (丙子胡亂)-Pironojeong (被虜路程).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시대 사행(使行)은 외교활동의 무대이자 문학창작의 공간이었다. 조선의 명인재사로서 세계를 여행한 이들은 유람의 견문을 기행문학으로 승화시켰다. 사행록(연행록), 연행가사, 산문,...

      전통시대 사행(使行)은 외교활동의 무대이자 문학창작의 공간이었다. 조선의 명인재사로서 세계를 여행한 이들은 유람의 견문을 기행문학으로 승화시켰다. 사행록(연행록), 연행가사, 산문, 소설 등 그들이 남긴 시문은 문학이 되었다. 사행노정은 바로 사행문학(使行文學)을 탄생케 한 문학공간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다. 중국지역 사행노정은 압록강을 건너 심양-산해관-북경(멀리 열하까지)으로 향하였고, 다시 압록강을 건너 조선으로 돌아왔다. 압록강에서 요양 혹은 심양에 이르는 공간은 중국지역 사행노정의 시작과 끝인 셈이다. 이곳의 여덟 개 역참을 동팔참(東八站)으로 불렀다. 이 지역에 내포된 역사문화적 친연성과 자연지리에 대한 사신들의 인식은 마치 조선의 산하를 대하듯 했다. 연구자는 사행문학의 역사․문화․지리적 배경 공간인 사행노정(使行路程)을 영상기록(사진․동영상․GPS기록)하고 아카이빙 해 왔다. 본고에서는 동팔참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 문화지도인 ‘사행노정 전자문화지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최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문학 연구방법론도 다양해지고 있다. 인문학의 연구방법론 혹은 교육방법론으로서 인문정보학과 ‘디지털인문학’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사행노정전자문화지도’는 문학공간이자 사행노정인 동팔참구간을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인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해 보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전자문화지도는 인문학 연구방법론으로 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분야이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사행문학 작품의 공간, 동선, 내용을 연구하는데 있어 전자문화지도의 활용성을 제시하고,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을 기획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사행문화(노정)정보를 아카이브화 한 웹사이트 2곳(<사행록역사여행>, <스토리테마파크>)의 사례를 분석한 후, 선행연구의 성과를 참고하여 사행노정 전자문화지도에 아카이브 자료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사행문화 정보가 매우 다양하고 역사문적 층위가 두텁다는 점에서 『열하일기』, <해로노정>, <병자호란피로노정> 등 다양한 소주제별 전자문화지도 구축으로도 파생가능성이 높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은, "한국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7

      2 이혜은, "한국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7

      3 김태준, "한국의 여행 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4 김동훈, "중국 조선족전자문화지도 제작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선시대전자문화지도시스템"

      6 이형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47-63, 2006

      7 민현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3-46, 2006

      8 민현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1-22, 2006

      9 김흥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10 신춘호, "연행노정 영상아카이브 구축 및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 2014

      1 이혜은, "한국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7

      2 이혜은, "한국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7

      3 김태준, "한국의 여행 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4 김동훈, "중국 조선족전자문화지도 제작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선시대전자문화지도시스템"

      6 이형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47-63, 2006

      7 민현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3-46, 2006

      8 민현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1-22, 2006

      9 김흥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와 문화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10 신춘호, "연행노정 영상아카이브 구축 및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 2014

      11 신춘호, "연행노정 공간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일고 - <스토리테마파크>의 스토리를 활용한 ‘병자호란 역사관광콘텐츠’ 기획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고전학회 31 (31): 367-413, 2015

      12 임영상, "연변조선족의 문화중심 용정과 ‘문화루트’ 개발" 인문콘텐츠학회 (13) : 213-238, 2008

      13 "스토리테마파크"

      14 "사행록역사여행"

      15 함춘성, "문화콘텐츠와 퍼블릭 도메인스토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6 이원석, "문화콘텐츠와 퍼블릭 도메인 스토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7 유동환, "문화콘텐츠와 퍼블릭 도메인 스토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8 이영구, "문화콘텐츠 기획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19 김상헌, "문화연구를 위한 문화지도의 개념과 활용" 역사문화연구소 (34) : 495-522, 2009

      20 김태준, "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공간, 상․중․하" 논형 2005

      21 김종혁,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 전자문화지도" 한국국학진흥원 1 (1): 263-290, 2008

      22 권혁래, "나선정벌 서사의 시각화 콘텐츠 제작 방안 모색" 열상고전연구회 (50) : 67-100, 2016

      23 이형대, "기행가사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 한국시가문화학회 (34) : 311-342, 2014

      24 강지훈, "구글어스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57-363, 2014

      25 권혁래, "『북정록』과 나선정벌 노정 연구-회령-목단강시 구간을 대상으로-" 열상고전연구회 (37) : 313-344, 2013

      26 신춘호, "‘17C 역사소설 공간’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시고"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 : 119-148, 2015

      27 김재웅, "<최척전> 국내 공간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온지학회 (42) : 161-192, 2015

      28 이승수, "1658년 나선정벌 관련 기록의 서사지리" 한국고전문학회 (45) : 165-20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