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명의 정치학 = Politics of Toponyms -The Case Study of the Cheongdo(청도) Kim Lineage and Naming of Cheongdo-myeon(청도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68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일제 식민주의 행정제도가 구한말의 조선왕조의 행정 지명체계를 해체하던 시기에 어떻게 명명된 지명이 종족집단의 기억사와 관련하였는지를 연구한 경우는 없다. 이 논문은 종...

      지금까지 일제 식민주의 행정제도가 구한말의 조선왕조의 행정 지명체계를 해체하던 시기에 어떻게 명명된 지명이 종족집단의 기억사와 관련하였는지를 연구한 경우는 없다. 이 논문은 종족 구성원들이 청도에 대한 지역화된 다양한 역사적 기억을 지명 명명 과정에서 상호 연관시키는 방식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첫째, 1914년 청도면이라는 지명이 명명되는 과정에는 경상남북도의 접경지라는 지리공간적 위치, 일제 강점기라는 정치적 상황과 지배와 피지배의 사회관계, 종족집단의 집단기억을 근간으로 한 역사적 장소에 대한 실천 등이 관련하였다. 종족집단은 이러한 요소를 토대로 하면서 과거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지역적 기억을 반영하는 지명을 명명하였다.
      둘째, 면 명칭이 명명되는 과정에는 지역 종족집단이 고려시대부터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청도와 관련한 시조와 명조, 입향조와 관련한 사료, 족보, 기념비적 장소 등에 나타난 그들의 인물됨·사건·행적·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일화,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한 장기적인 역사적 기억을 지속시키기 위한 전략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기억은 종족집단의 시원부터 연속된 의식이 누적된 것이라기보다 어떠한 시기에 한정된 기억의 단층을 상황에 따라 그들이 선택하여 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 것이다.
      셋째, 그들의 기억사는 공간적 범주로 전환되어 결합되었다. 그것은 종족집단이 이주·정착·분파하는 과정과 관련한 그 근원이 된 시조의 산소 영역, 마을, 미시지역(산동과 산서), 그리고 인접군 사이에 향권을 다투는 접경지역과 포괄적 관련성을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lace names related to the memory of Kim lineage group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ve system dismantled the place naming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It aims to understand how Kim lineage mem...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lace names related to the memory of Kim lineage group whe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ve system dismantled the place naming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It aims to understand how Kim lineage members correlate their various localized historical memories of Cheongdo(청도) during the naming process.
      First, the process of naming the territory “Cheongdo-myeon(청도면)” in 1914 was rela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geographical and spatial location of the border areas betwee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경상북도-경상남도),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ocial relations of dominance and subordinance, and the verification of historical places based on collective memory of Kim lineage group. Based on these factors, Kim lineage group designated places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local memories of the past.
      Second, in the process of naming the territory “Cheongdo-myeon(청도면),” Kim lineage group pursued strategies to explore the narratives and long-term historical memories about their ancestors’ virtues and social status from the founder of Kim lineage, one of the Korean verse forms, and several statements from the Goryeo(고려) period before Japanese colonization. Moreover, they examined documentation about early generation immigrants, their pedigrees, and monumental places to keep names significant and meaningful. These historical memories are not accumulations of consciousness consecrated from the origin of Kim lineage group, but they are made by combining the selected dislocation of memory limited during certain periods and contexts.
      Third, the historical memory of Kim lineage group was transformed into a growing spatial class. It has a comprehensive relevance to the process of their immigration –settlement– dispersal, ancestral cemeteries, towns, and the bordering territory with intertwined authority with neighboring ar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머리말
      • 2. 이론적 배경과 민족지적 조사
      • 3. 지명 변경과 청도에 대한 종족집단의 기억사
      • 4. 역사적 기억의 지역화와 지명 명명방식
      • [초록]
      • 1. 머리말
      • 2. 이론적 배경과 민족지적 조사
      • 3. 지명 변경과 청도에 대한 종족집단의 기억사
      • 4. 역사적 기억의 지역화와 지명 명명방식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주차헌병대사령부, "「조선행정구획지도」(1: 300,000), 내고장 역사알기" 국가기록원

      2 권대웅, "한말․일제초기 청도지역의 민족운동과 주도세력의 성격" 21 : 291-316, 2000

      3 이수건,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453-493, 1984

      4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서편)" 교문사 8-9, 2009

      5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50-, 2012

      6 박순직, "청라" 사단법인 신라오릉보존회청도군지부 153-154, 1994

      7 조선총독부, "청도지도, 내고장 역사알기" 국가기록원

      8 밀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 "청도면 마을지 자료집"

      9 이상동, "청도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 : 지역 한문학 연구를 위한 시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정현, "청도 김씨사" 고산자의 후예들 67-138, 2003

      1 조선주차헌병대사령부, "「조선행정구획지도」(1: 300,000), 내고장 역사알기" 국가기록원

      2 권대웅, "한말․일제초기 청도지역의 민족운동과 주도세력의 성격" 21 : 291-316, 2000

      3 이수건,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453-493, 1984

      4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서편)" 교문사 8-9, 2009

      5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50-, 2012

      6 박순직, "청라" 사단법인 신라오릉보존회청도군지부 153-154, 1994

      7 조선총독부, "청도지도, 내고장 역사알기" 국가기록원

      8 밀양문화원 향토문화연구소, "청도면 마을지 자료집"

      9 이상동, "청도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 : 지역 한문학 연구를 위한 시론"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정현, "청도 김씨사" 고산자의 후예들 67-138, 2003

      11 권선정, "지명의 지리학" 푸른길 221-243, 2008

      12 박태화, "지명의 지리학" 푸른길 145-171, 2008

      13 김순배, "지명과 권력: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경인문화사 4-7, 2012

      14 이정은, "일제의 지방통치체제 수립과 그 성격" 6 : 233-273, 1992

      15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학교출판부 40-, 1990

      16 이근열, "영남 지역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245-302, 2012

      17 중앙일보, "성씨의 고향: 청도 김씨"

      18 곽재용, "밀양지역의 지명연구(II): 삼랑진읍을 중심으로" 30 : 55-104, 1996

      19 조선총독부, "밀양지도, 내고장 역사알기" 국가기록원

      20 김광억, "문화의 정치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안동과 안동 김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71-, 2012

      21 곽재용, "땅이름의 국어학적 연구 방법" 우리말글학회 30 : 1-23, 2004

      22 대한제국, "대한제국관보, 칙령 제 49호"

      23 청도문화원, "譯註 鰲山誌" 2003

      24 이중경, "朝鮮寰輿勝覽(院祠 편)" 1937

      25 林茂樹, "大正2年府郡廢合事情の追憶" 30-36, 1931

      26 Halbwachs, M., "The Collective Memory" Harper & Row 105-, 1950

      27 Hansen, Thomas Blom, "The Anthropology of Names and na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24, 2006

      28 vom Bruck, Gabriele, "The Anthropology of Names and Na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2006

      29 Parkinson, John, "Symbolic Representation in Public Space: Capital Cities, Presence and Memory" 45 (45): 1-14, 2009

      30 Frake, Charles O., "Senses of Place" School of American Research Press 229-257, 1996

      31 Feuchtwang, Stephan, "Making Place: State Projects, Globalisation and local Responses in China" UCL Press 12-, 2004

      32 Millo, Daniel, "Les lieux de mémoire: La République 2" Galimard 1887-1918, 1997

      33 Nora, Pierre, "Les lieux de mémoire: La Nation 1" Galimard 15-38, 1997

      34 Halbwachs, M., "Les cadres sociaux de la mémoire" A. Michel 114-145, 1925

      35 Siblot, Paul, "La bataille des noms de rues d'Alger: discours et idéologie d'une toponymie coloniale, Cahiers de sociolonguisti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06

      36 Di Méo, G., "L'espace social" Arman Colin 142-143, 2005

      37 Flagan, D., "Irish Place Names" Gill & Macmillan 2002

      38 Bourdieu, Pierre, "Esprits d’etat: genèse et structure du champ bureaucratique" 96-97 : 49-62, 1993

      39 Chivallon, C., "Espace, mémoire et identité à la Martinique: la belle histoire de Providence" 113 : 400-424, 2004

      40 Pellow, Deborah, "Cultural Difference and Urban Spatial Forms: Elements of Boundedness in an Accra Community" 103 (103): 9-75, 2001

      41 Yeoh, Brenda S. A., "Contesting Space: Power Relations and the Urban Built Environment in Colonial Singapore" Oxford University Press 219-242, 1996

      42 Bloch, Maurice, "Anthropology and the Cognitive Challe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200, 2012

      43 Candau, Joël, "Anthropologie de la mémoire" PUF 56-58, 1996

      44 Le Square, Roseline, "Analyse des perceptions, usages et fonctions des toponymes actuels des territoires ruraux et urbains de Bretagne"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11 : 81-99, 2006

      45 이대화, "20세기 초반 지방제도 개편의 목적과 추진과정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23) : 69-119, 2009

      46 김익한, "1910년대 일제의 지방 지배 정책:행정 구획 통폐합과 면제를 중심으로" 50 : 219-269,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