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초기 마목장 설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10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초기의 마목장 설치는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중에서도 명나라의 징마요구, 도성방어를 위한 전마확보, 왕실호위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한 갑사목장의 필요성,...

      조선 초기의 마목장 설치는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중에서도 명나라의 징마요구, 도성방어를 위한 전마확보, 왕실호위를 위해 지방에서 상경한 갑사목장의 필요성, 야인 정벌을 위한 전마확보가 마목장을 설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먼저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된 경기도 마목장은 모두 26개다. 그중 수도권의 양주부와 광주목에 8개, 남양도호부와 경기도 외곽지역인 강화도호부·인천군 등에 18개의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양주부의 전곶목장은 왕실의 내승목장이었고, 양주부의 녹양목장은 중군과 좌군의 군사목장이었으며, 광주목 금천현의 사외포목장은 우군의 군사목장이었다. 특히 전곶목장에는 무예를 사열하는 강무장을 설치하였고, 해마다 마제를 지냈다. 삼군의 군사목장을 갑사목장이라고 한 것은 삼군의 군사 중 갑사의 숫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경기도 강화도에는 태종이 처음으로 제주목장의 준마 1백여 필을 본 섬인 길상산에 방목하였고, 세종은 태종의 강화도 전 섬의 목장화 정책을 계승하여 강화도 부속섬 신도·장봉도·보음도에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기록된 하삼도 마목장 숫자는 충청도 6개, 경상도 2개, 전라도 8개로 총 16개다. 충청도에는 태안군의 다리곶목장, 홍주목의 흥양·대산곶·원산도 목장, 감포현의 토진곶목장, 당진현의 맹곶목장을 설치하였다. 세종 8년에 충청도 마목장을 대산곶목장·흥양목장·원산목장 등 3개의 마목장으로 개편하여 체구가 큰 준마는 대산곶목장에서, 체구가 작은 토마는 흥양목장에서 방목하였다. 경상도 마목장은 세종대 전반기에 2개, 세종대 후반기부터 중종대까지 16개 마목장 명칭이 전한다. 그리고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확인되는 전라도 마목장은 8개며, 이후 중종대까지 10개의 마목장을 설치하였다. 태종은 건국 직후 명나라가 제주에 자국의 목장을 설치하려고 하자, 제주목장의 암수 종마 1천 8백 필을 가까운 진도로 옮김으로써 혁신적인 전마생산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세종대 전반기 북방의 마목장은 황해도와 평안도에 7개, 함경도에 4개를 설치하여 모두 11개가 있다. 황해도에는 해주목의 용매도목장, 옹진현의 기린도·창린도목장, 장연현의 백령도목장, 풍천군의 초도·석도목장이 있다. 그리고 평안도 선천군의 목미도목장, 함경도 함흥부의 도련포목장, 영흥대도호부의 말응도목장, 단천군의 두언태목장, 온성부의 대초도목장이 있다. 세종대 후반기부터 중종대까지 황해도 마목장은 5개가 증가했다. 특히 함길도에서는 일찍부터 호마인 달단마와 토마가 교접하여 혼혈의 준마를 생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경기도 마목장의 설치와 운영
      • Ⅲ. 하삼도 마목장의 설치와 전마생산
      • Ⅳ. 북방의 마목장 설치와 호마 생산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경기도 마목장의 설치와 운영
      • Ⅲ. 하삼도 마목장의 설치와 전마생산
      • Ⅳ. 북방의 마목장 설치와 호마 생산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재성, "한민족전쟁통사 Ⅲ" 국방군사연구소 1996

      2 강면희, "한국재래마의 계통에 관한 연구" 7 : 1965

      3 남도영, "한국마정사"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6

      4 민현구, "한국군제사" 1968

      5 "증보문헌비고"

      6 최형국, "조선초기 軍事 戰術체계와 제주 戰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3) : 67-103, 2014

      7 이홍두, "조선전기 畿甸의 馬牧場 설치" 서울역사편찬원 (93) : 7-36, 2016

      8 "조선왕조실록"

      9 남도영, "조선시대의 목축업" 9 : 1979

      10 남도영, "조선시대 제주도 목장" 4 : 1969

      1 유재성, "한민족전쟁통사 Ⅲ" 국방군사연구소 1996

      2 강면희, "한국재래마의 계통에 관한 연구" 7 : 1965

      3 남도영, "한국마정사"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6

      4 민현구, "한국군제사" 1968

      5 "증보문헌비고"

      6 최형국, "조선초기 軍事 戰術체계와 제주 戰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3) : 67-103, 2014

      7 이홍두, "조선전기 畿甸의 馬牧場 설치" 서울역사편찬원 (93) : 7-36, 2016

      8 "조선왕조실록"

      9 남도영, "조선시대의 목축업" 9 : 1979

      10 남도영, "조선시대 제주도 목장" 4 : 1969

      11 이홍두, "조선시대 강화도 馬牧場의 置廢와 戰馬의 생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3) : 105-136, 2014

      12 남도영, "조선마정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76

      13 남도영, "제주도 목장사"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3

      14 고창석, "원대의 제주도 목장" 1 : 1985

      15 "신증동국여지승람"

      16 이홍두, "마의 전래와 조선시대 호마목장의 설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9) : 113-144, 2016

      17 천관우, "근세조선사연구" 일조각 1992

      18 "고려사"

      19 大原六郞, "濟州島牧場に就と" 193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