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섬과 연안의 문헌자료 데이터(DB)의 구축과 활용 전망 = Databas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islands and coastal related literature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5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land research is doing a lo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ical human geology and natural geography. Also, in the conventional research, it has been limited to the literature materials secured by researchers themselves. For these reasons, th...

      The island research is doing a lo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ical human geology and natural geography. Also, in the conventional research, it has been limited to the literature materials secured by researchers themselves. For these reasons, the island's research showed a further development and unachievable limi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interdisciplinary exchanges and convergence such as human geography, natural geography, oceanography and marine ecology, focusing on history.
      From the 2000s the public's interest in the ocean has increased, and utilization of the island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process, island related research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terests on the island and new research advanced in historical humanities geography field. As a result, many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island have been accumulated, and the professional majors are also increasing. In addition to this, new materials related to the island have been discovered, and discussions on new research methodologies are actively made.
      However, the data on the island is so enormous that it is not easy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use.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se problems and to find ways to organize and utilize vast amounts of data in a comprehensive manner.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Korean government in terms of reflection and interest in the book policy of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based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database of basic data on islands. First, The name of the island in history and the contents of related documents are compared. Secondly, I will introduce the process of how to categorize and organize the index words exiled from materials and database. Thirdly, I mentioned examples of utilization of island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
      The vast amount of data accumulated should be available effectively and in various disciplines. This will depend on how you use the database output. In order to do this, the accumulated data should be arranged by period and translated and translation work. Also, it will be more useful when 'Island Concept Dictionary' is compi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서(섬) 연구는 역사학보다 인문지리학 또는 자연지리학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자료를 통합적으로 확보하기보다는 개별 연구자가 확보한 문헌 자료에 주로 의지해 왔다. 그...

      도서(섬) 연구는 역사학보다 인문지리학 또는 자연지리학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자료를 통합적으로 확보하기보다는 개별 연구자가 확보한 문헌 자료에 주로 의지해 왔다. 그러나 개별 연구자가 확보한 문헌 자료만으로는 더 이상 연구 성과의 진전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섬 연구의 활로를 역사학을 중심으로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해양학 및 해양생태학과의 학제 간 교류와 융합에서 찾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0년대부터 해양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섬의 활용은 국가 차원에서도 중요한 정책의 하나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섬 관련 연구 단체가 조직되면서 역사학과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섬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섬 관련 연구 성과도 많이 축적되고 있으며, 전문 전공자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섬에 대한 새로운 자료의 발굴 뿐만 아니라, 섬 연구의 연구 방법론을 새롭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섬과 관련된 자료들이 워낙 방대하여 체계적인 정리와 이용이 쉽지 않았다.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 체계화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이 글은 과거 우리의 도서(섬) 정책에 대한 반성과 관심 제고의 측면에서 도서(섬) 관련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을 전제로 고·중세 역사 속의 섬 지명 및 관련 문헌자료들의 내용을 검토 분석하고, 색인어를 축출하여 그 내용에 따라 어떻게 분류·체계화하여 DB화하였는가의 과정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섬 관련 문헌 자료의 대상 범위, 자료의 분류체계화 및 DB화 과정, 섬 관련 문헌 자료의 활용 사례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렇게 집적된 방대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문 자료로서의 한계를 극복해야만 한다. 이는 결국 DB화 한 결과물을 어떻게 이용하는데 달려 있을 것이다. 이러한 풍토를 조성하려면 집적된 자료를 시대별로 배열하여 번역, 역주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섬 개념사전’이 편찬될 때 보다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嶺湖南沿海形便圖"

      2 홍영의, "한국역사상 고·중세 島嶼(苫) 관련 기초자료DB 구축과 활용 - 도서(섬) 역사문화·지리학을 통한 해양권역 연구 활성화 -" 한국학연구소 46 : 1-30, 2016

      3 정문기, "한국어도보" 일지사 1977

      4 박구병, "한국수산업사" 태화출판사 1966

      5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6 김종혁,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6 (6): 2006

      7 수협중앙회, "한국 수산물 명산품 총람" 2000

      8 손승철,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학회 (39) : 205-260, 2011

      9 "중국 25史"

      10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1 "嶺湖南沿海形便圖"

      2 홍영의, "한국역사상 고·중세 島嶼(苫) 관련 기초자료DB 구축과 활용 - 도서(섬) 역사문화·지리학을 통한 해양권역 연구 활성화 -" 한국학연구소 46 : 1-30, 2016

      3 정문기, "한국어도보" 일지사 1977

      4 박구병, "한국수산업사" 태화출판사 1966

      5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6 김종혁,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6 (6): 2006

      7 수협중앙회, "한국 수산물 명산품 총람" 2000

      8 손승철,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한일관계사학회 (39) : 205-260, 2011

      9 "중국 25史"

      10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11 배우성, "조선후기 沿海·島嶼지역에 대한 국가의 인식 변화" 15 : 1997

      12 배재수, "조선전기 국용임산물의 수취 -전국지리지의 임산물을 중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 93 (93): 215-229, 2004

      13 한미경, "조선시대 물고기관계문헌에 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44) : 237-269, 2009

      14 박종기, "조선시기 관찬 지리지의 섬 인식과 변화" 한국학연구소 48 : 125-154, 2017

      15 홍기옥, "조개류 생물어의 어휘 분화 양상 연구 - 남해안 어촌지역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9) : 179-204, 2013

      16 행정안전부, "제3차 도서종합개발 10개년 계획" 2008

      17 김일권, "전통시대 생물분류체계와 관련 문헌자료 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38 (38): 118-159, 2015

      18 여찬영, "우리말 물고기 명칭어 연구" 9 : 1994

      19 김준, "우리나라 도서개발정책의 성찰과 지속가능한 섬만들기 전략" 도서문화연구원 (40) : 427-456, 2012

      20 강봉룡, "바닷길과 섬 : 그 실제와 활용" 민속원 2011

      21 국토해양부, "무인도서종합관리계획" 2010

      22 김문기, "동아시아 해양어류지식의 역사 ― 어보 출현 이전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41) : 107-150, 2014

      23 정은주, "고지도에 반영된 조선후기 연안 및 도서지역에 대한 인식" 한국고지도연구학회 3 (3): 55-72, 2011

      24 홍영의, "고려시대의 도서(섬)의 인식과 개발" 한국학연구소 48 : 33-72, 2017

      25 정요근, "고려~조선전기 전라도 서남해상 島嶼 지역의 郡縣 편제와 그 변화" 도서문화연구원 (39) : 75-110, 2012

      26 "黃海道邑誌"

      27 김중빈, "魚譜類에 나타난 19C초의 수산물 어휘 연구- 「玆山魚譜」(1814), 「蘭湖魚牧志」(1820), 「物名考」(1824)의 수록 어휘를 중심으로" 12 : 2004

      28 "高麗墓誌銘集成"

      29 "高麗圖經"

      30 "高麗史節要"

      31 "高麗史"

      32 "靑邱圖"

      33 "輿地圖書"

      34 고석규, "設郡 논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섬의 변화" 15 : 1997

      35 "萬機要覽"

      36 "耽羅志"

      37 정문기, "玆山魚譜-흑산도의 물고기들" 지식산업사 1977

      38 "玆山魚譜"

      39 "濟州邑誌"

      40 "漂海錄"

      41 "湖南島嶼圖"

      42 "海西京畿海路圖"

      43 "江都志"

      44 "江原道邑誌"

      45 "東輿圖"

      46 "東萊府啓錄"

      47 "東史綱目"

      48 "朝鮮王朝實錄"

      49 김경옥, "朝鮮後期 西南海 島嶼에 대한 국가의 정책 변화" 102 : 2003

      50 "朝鮮地誌資料"

      51 이건식, "朝鮮 前期 文獻 資料에 나타나는 魚類名 表記에 대한 硏究" 국어학회 (55) : 125-174, 2009

      52 "智島郡叢鎖錄"

      53 "新增東國輿地勝覽"

      54 "承政院日記"

      55 "戶口總數"

      56 "慶尙道邑誌"

      57 "慶尙道續撰地理誌"

      58 "慶尙道地理志"

      59 "慶尙左水營地圖"

      60 "忠淸道邑誌"

      61 "平安道邑誌"

      62 "島嶼白書"

      63 "大東輿地圖"

      64 "大東地誌"

      65 "增補文獻備考"

      66 "咸境道邑誌"

      67 "各島配囚案"

      68 "全羅道邑誌"

      69 "入唐求法巡禮行記"

      70 김명년, "佃漁志" 한국어촌어항협회 2007

      71 "京畿道邑誌"

      72 "三國遺事"

      73 "三國史記"

      74 "三南海防圖"

      75 이근우, "『韓國水産誌』의 수산물 명칭과 번역의 문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21-37, 2009

      76 김홍석, "「牛海異魚譜」에 나타난 借字表記法 硏究" 29 (29): 2001

      77 양보경, "16~17세기 邑誌의 편찬배경과 그 성격" 18 (18): 1983

      78 김규희, "'海圖': 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바다와 섬"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