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史書로서의 『삼국유사』와 『古記』 연구의 흐름 = How to Write ‘Buddhist History' with the Samguk Y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94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wo characteristics of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First of all, the quotes and evaluation on the Samguk Yusa,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today, are organize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and where the contents of the ...

      This research focused on two characteristics of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First of all, the quotes and evaluation on the Samguk Yusa,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today, are organize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and where the contents of the Old Record (古記),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Mysterious’ tales in the Samguk Yusa, were composed. With this, it was found that the historiography and emphasis points with the Samguk Yusa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and they wer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s on ‘Wondrous’ tales from the Old Recor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various kinds of the Old Record, for example, the Old Record of Samhan, Haedong and Baekje, etc. were transcribed and distributed and the Samguk Yusa quoted contents from them. Accounts in the Old Record might have been collected after the stories descended from the previous periods were modified such as Tales of the Extraordinary (殊異傳) by Inryang Park and Tales of Times Now Past (今昔物語集). Thus, how the contents in the Samguk Yusa were created, modified and recorded should be paid att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text of these changes, the understandings on the period and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reflected in each account are necessary. If the process of modifications is figured out, forgotte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early Goryeo and Buddhist culture would be better describ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三國遺事』의 인용 및 평가를 정리해보았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를 통한 역사 서술 및 강조점이 입장에 따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랐음을...

      본고에서는 먼저 조선시대부터 오늘날까지 『三國遺事』의 인용 및 평가를 정리해보았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를 통한 역사 서술 및 강조점이 입장에 따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랐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실록』에서 『삼국유사』의 지리 고증, 단군, 불교 수용에 관한 내용을 인용하였다. 특히 지리 고증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17~18세기의 유교 지식인들은 대부분 『삼국유사』를 ‘허탄하다’고 비판하면서 철저한 고증 하에 단군 등 고대사의 복원에 활용하였다. 한편 이 시기 불교계에서는 정통성에 대한 관심 속에 『寺誌』 등의 편찬이 유행하는데, 이때 『삼국유사』의 기록을 비판 없이 그대로 사실로 수용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일본 학자들의 ‘단군 부정론’ ‘『삼국유사』 비판론’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삼국유사』의 위상이 ‘조선 고대사의 최고 원천’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불교계에서도 여전히 『삼국유사』를 중시하였다. 근대 학문에서의 『삼국유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20세기 전반의 연구 풍토를 배경으로 하여 ‘신이한 이야기들’에 역사적 사실 또는 진실이 내포되어 있다고 인정하였다. 『삼국유사』는 삼국시대의 역사가 아니라 고려후기 역사의 反映이라는 비판도 있었다.
      ‘신이한 이야기들’의 典據인 『古記』 등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면, 『삼국유사』에서 ‘역사적 사실’을 추출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고려전기에 『삼한고기』․『해동고기』․『백제고기』 등의 제목을 단 『고기』들이 필사되어 유통되고 있었다고 하는데, 이 『고기』들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박인량의 『殊異傳』이나 일본의 『今昔物語集』처럼,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몇 단계의 변형을 거쳤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야기의 창작, 변형 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삼국유사』에 의거한 역사 서술은 이야기가 어떠한 역사․문화를 배경으로 창작되었고, 변형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건곤, "「신라수이전」의 작자와 저작배경" 34 : 1988

      2 이우성,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작과비평사 1976

      3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4

      5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6 표정옥, "최남선의 『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記憶의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375-404, 2013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오경후, "조선후기 『삼국유사』 인식과 그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81) : 249-275, 2017

      9 김경태, "이익과 안정복의 東國正統論 재검토" 고려사학회 (70) : 135-176, 2018

      10 문명재, "의 세계" 제이앤씨 2006

      1 김건곤, "「신라수이전」의 작자와 저작배경" 34 : 1988

      2 이우성,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작과비평사 1976

      3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4

      5 노명호, "한국고대중세고문서연구(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6 표정옥, "최남선의 『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記憶의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375-404, 2013

      7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8 오경후, "조선후기 『삼국유사』 인식과 그 가치" 불교문화연구원 (81) : 249-275, 2017

      9 김경태, "이익과 안정복의 東國正統論 재검토" 고려사학회 (70) : 135-176, 2018

      10 문명재, "의 세계" 제이앤씨 2006

      1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최남선전집 8" 현암사 1973

      12 김현양, "역주수이전일문" 박이정 1996

      13 존 루이스 개디스, "역사의 풍경 : 역사가는 과거를 어떻게 그리는가" 에코리브로 2004

      14 이기백, "순암 안정복의 합리주의적 사실 고증" 1 : 1999

      15 김인규,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역사인식" 온지학회 (36) : 105-128, 2013

      16 조수학, "수이전의 저술자 및 문체고" 17 : 1990

      17 김영태, "삼국유사의 체제와 그 성격" 13 : 1974

      18 김상현,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19 김두진, "삼국유사의 인용문과 그 성격" 한국사학회 (76) : 85-122, 2004

      20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36 : 1973

      21 김두진,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연구" 일조각 2014

      22 정천구, "삼국유사와 겐코오샤쿠쇼(元亨釋書)의 역사인식 비교" 동양한문학회 23 (23): 93-120, 2006

      23 고익진, "삼국유사 찬술고" 38 : 1982

      24 이강래, "삼국유사 인용 고기의 성격" 7 : 1992

      25 오경후, "사지와 승전으로 본 조선후기 불교사학사" 문현 2018

      26 김철준, "몽고복속기의 사학의 성격과 삼국유사" 4 : 1980

      27 김철준, "고려중기의 문화의식과 사학의 성격" 9 : 1973

      28 김승호, "聖談 혹은 怪談, 그 인식적 간극 - 古記소재 神話에 대한 지식인의 반응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81 : 47-70, 2014

      29 "端宗實錄"

      30 "海東高僧傳"

      31 박대재, "檀君紀元과 「古記」" 고려사학회 (61) : 7-46, 2015

      32 "東史綱目"

      33 "日本靈異記" 岩波書店 1967

      34 "新增東國輿地勝覽"

      35 고운기, "德川家 장서목록에 나타난 『삼국유사』 전승의 연구" 국학연구원 (142) : 271-313, 2008

      36 문명재, "今昔物語集의 전승방법" 보고사 2005

      37 "中宗實錄"

      38 "世宗實錄"

      39 남동신,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불교학연구회 16 : 45-70, 2007

      40 차광호, "三國遺事』인용『鄕傳』과『殊異傳』의 관련성 검토" 영남문화연구원 (27) : 183-209, 2015

      41 "三國遺事"

      42 이소라, "『삼국유사』의 ‘고기’에 대한 고찰" 18 : 2012

      43 이기백, "『삼국유사』 기록의 신빙성 문제" 2 : 1987

      44 하정룡, "『삼국유사』 所引 「고기」考" 23 : 1999

      45 김기봉,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역사와 문학의 만남" 인문학연구소 (16) : 67-96, 2009

      46 김상현, "『古記』의 사학사적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74) : 285-324, 2014

      47 琴榮辰, "『今昔物語集』の『日本靈異記』傳承に關する考察" 16 : 2001

      48 김수자, "20세기 신채호의 18세기 안정복에 대한 역사인식 - 안정복의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소 (33) : 253-28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2.45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