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한양도성에 조성한 南小門의 역사적 변천 = The ‘Secondary South Gate (南小門),’ erected in the Han’yang Capital of Joseon, and the Changes it went through over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3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mso-mun,” the ‘Secondary South Gate,’ was a Capital gate erected between the Gwang’hi-mun(光熙門) and Sung’rye-mun(崇禮門) gates, which were among the Eight gateways of the Han’yang Capital city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F...

      “Namso-mun,” the ‘Secondary South Gate,’ was a Capital gate erected between the Gwang’hi-mun(光熙門) and Sung’rye-mun(崇禮門) gates, which were among the Eight gateways of the Han’yang Capital city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Founder king Taejo. There is no reference to this gate in records like Annals of Taejo’s Reign (which contains records of the initial establishment of the Eight Capital Gateways) or the “Geography” section in Annals of Sejong’s Reign, as well as other Law Codes or Dynastic Ritual manuals either, but we can confirm its existence by records from the days of King Yejong, during which the shutdown(閉塞論) of this secondary South gate was discussed. This was the first time this gate was mentioned in records.
      Then coming into the days of king Sukjong, officials like Kim Jin-bal(金震發), Heo Jeok(許積), Gwak Je-sung(郭齊崇), An Jeong-gi(安鼎基) and others argued that this Secondary South Gate should be reopened, but their request was never heard. An Tal(安梲) suggested this again during king Yeongjo’s reign, but it remained shut down until the capital itself was damaged and destroyed by the Japanese aggressors.
      Namso-mun was originally erected to facilitate traffic between the Capital and the Han-gang river. But many records and maps from the Joseon period’s latter half indicated the names and locations of Namso-mun, Gwang’hi-mun and Sugu-mun(水口門) not only differently but also erroneously, and caused some confusion in the process. Sometimes Namso-mun was mistaken as Gwang’hi-mun, and sometimes it was never even mentioned. From such instances, we can see how the people of the time actually viewed Namso-mun, and what was its status compared to other gates of the capit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남소문은 태조대 한양도성에 조성된 8門 중 광희문과 숭례문 사이에 건립한 문이다. 그 존재는 도성8문을 세운 최초의 기록을 담은 『태조실록』과 그 뒤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

      남소문은 태조대 한양도성에 조성된 8門 중 광희문과 숭례문 사이에 건립한 문이다. 그 존재는 도성8문을 세운 최초의 기록을 담은 『태조실록』과 그 뒤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드러나지 않고 남소문의 폐쇄론을 논의하고 있는 예종대에 그 실체가 처음으로 발견된다. 법전과 국가전례서에도 남소문 관련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숙종대에 이르러 김진발, 허적, 곽제숭, 안정기 등이 남소문을 열자는 주장을 제기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영조대에 안탈이 개문론을 다시 주장했으나 이루어지지 못했고, 일본에 의해 도성 훼손이 이루어질 때까지 폐쇄된 채 남아 있었다.
      남소문의 건립 목적은 도성과 한강 사이의 통행의 편리를 위한 것이었다. 조선후기 여러 문헌과 지도에서 남소문․광희문․수구문 세 문의 명칭과 위치가 달라지는 등 혼선이 초래되었다. 남소문을 광희문으로 인식하기도 하고, 아예 그 존재조차 거론되지 않은 것에서 남소문에 대한 당대 사람들의 인식 및 다른 도성문에 비해 남소문의 위상을 드러내는 일면을 읽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下筆記(국역)" 민족문화추진회 1999

      2 "兩銓便攷"

      3 홍순민, "한양도성漢陽都城, 서울 육백년을 담다" 서울특별시 2016

      4 "한국문집총간 172"

      5 "한국문집총간 145"

      6 "한국고전종합DB"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8 "조선왕조실록"

      9 장지연, "조선 후기 都城圖를 통해 본 壇廟 인식" 조선시대사학회 (45) : 263-300, 2008

      10 이현진, "조선 현종대 후반~숙종 중반 정국 동향" 28 : 2010

      1 "林下筆記(국역)" 민족문화추진회 1999

      2 "兩銓便攷"

      3 홍순민, "한양도성漢陽都城, 서울 육백년을 담다" 서울특별시 2016

      4 "한국문집총간 172"

      5 "한국문집총간 145"

      6 "한국고전종합DB"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8 "조선왕조실록"

      9 장지연, "조선 후기 都城圖를 통해 본 壇廟 인식" 조선시대사학회 (45) : 263-300, 2008

      10 이현진, "조선 현종대 후반~숙종 중반 정국 동향" 28 : 2010

      11 장지연, "조선 전기 개념어 분석을 통해 본 수도의 성격" 서울학연구소 (52) : 33-66, 2013

      12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13 "장서각"

      14 김영수, "일제강점기 박문사 건립 과정과 건축적 특징" 서울역사편찬원 (90) : 231-266, 2015

      15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16 노영구, "영조 대의 한양 도성 수비 정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17 이현진,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18 "승정원일기"

      19 李燦, "서울의 옛 地圖"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20 하미옥, "서울 한양도성 정문(正門)과 간문(間門)의 위상 : 흥인문(興仁門)과 광희문(光熙門)의 형태 및 기능 비교를 중심으로"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21 허태구, "병자호란의 정치·군사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2 "문화재청"

      23 김영수, "근대기 한양도성 경계부 해체과정과 변화양상" 서울학연구소 (65) : 73-99, 2016

      24 "근대 신문기사"

      2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6 장지연, "고려·조선 국도풍수론과 정치이념" 신구문화사 2015

      27 장지연, "개경과 한양의 도성구성 비교" 15 : 2000

      28 崔柄憲, "高麗時代의 五行的 歷史觀" 13 : 1978

      29 "銀臺條例"

      30 "銀臺便攷"

      31 "芝峯類說" 景仁文化社 1970

      32 "與猶堂全書" 景仁文化社 1987

      33 "經國大典"

      34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1985

      35 "漢京識略"

      36 "海東地圖"

      37 "洌陽世時記(조선대세시기(Ⅲ))" 국립민속박물관 2007

      38 최종현, "朝鮮開國 초기 都城 城郭 築造에 관한 硏究" 한국도시설계학회 9 (9): 35-45, 2002

      39 "朝鮮王朝實錄"

      40 "春官通考(奎 12272)"

      41 "春官通考"

      42 "日省錄"

      43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新補受敎輯錄 : 조선후기 새 법령 모음" 청년사 2000

      44 "新增東國輿地勝覽(국역)" 솔출판사 1996

      45 "承政院日記"

      46 "宗廟儀軌續錄(奎 14221)"

      47 "大典會通"

      48 "增補文獻備考" 명문당 1985

      49 "國朝喪禮補編(奎 3940‚ 1758년본)"

      50 "國朝五禮通編"

      51 "國朝五禮序例(奎 2277)"

      52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민창문화사 1994

      53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各司受敎 : 조선중기 새 법령 모음" 청년사 2002

      54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법전연구반, "受敎輯錄 : 조선중기 새 법령 모음" 청년사 2001

      55 李丙燾, "南小門과 開閉問題" 1 : 1957

      56 "六典條例"

      57 張志連, "光海君代 宮闕營建-仁慶宮과 慶德宮(慶熙宮)의 창건을 중심으로-" 86 : 1997

      58 "京都雜誌(조선대세시기(Ⅲ))" 국립민속박물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