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기유물로 본 전북지역 가야의 교류 = The exchange of Gaya in Jeonbuk are examined based on iron artif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5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남원, 장수지역에 분포한 가야유적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 가야 정치체의 성격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는 남원 월산리·두락리, 장...

      최근 남원, 장수지역에 분포한 가야유적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 가야 정치체의 성격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는 남원 월산리·두락리, 장수 삼봉리·동촌리 등 총 390여기의 고분이 분포하며, 수장층 고분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위세품, 토기와 함께 철기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그동안 남원, 장수지역의 가야유적을 단순히 대가야의 확장에 따른 결과물로 규정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유물 역시 대가야에서 일방적으로 파급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발굴조사를 통해 대가야 이외에 다른 주변국과 의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는 철기유물이 출토되어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남원, 장수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마구와 철제무기를 가야, 백제 신라 등 주변지역 출토품과 비교·검토를 통해 상호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과 주변국 간의 교류관계와 의미 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남원에서 출토된 철기유물은 대가야뿐만 아니라 백제, 소가야, 신라, 왜와의 관련성이 있어 주변국의 철기문화를 다양하게 수용해 철기를 제작하거나 이 지역의 철기문화를 주변지역에 전파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갑주와 철촉에서 왜와의 연관성이 찾아지는 것으로 볼 때, 남원의 가야 정치체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철기 문화 전파에 한 축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수는 도굴로 인해 철기유물의 수량이 많지 않아 그 실상을 면밀히 파악할 수 없지만 남원보다 대가야의 영향력이 높았던 것으로 파악되며, 지역성을 보이는 철기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타 지역에서 출토되지 않는 희소한 철기가 남원, 장수를 중심으로 집중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 가야는 다양한 용도의 철기를 생산할 수 있었던 기술을 보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다양한 철기유물들은 당시 우리 조상들이 남긴 첨단기술의 산물로 이 지역의 역사를 복원·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열쇠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s the excavation work of the Gaya ruins located in Namwon and Jangsu is being conducted in depth, the characteristic of Gaya political group in the region is gradually being revealed. In particular, around 390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W...

      Recently, as the excavation work of the Gaya ruins located in Namwon and Jangsu is being conducted in depth, the characteristic of Gaya political group in the region is gradually being revealed. In particular, around 390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Wolsan-ri, Durak-ri in Namwon and Sambong-ri, Dongchon-ri in Jangsu. In this region, a plenty of iron ruins along with various kinds of articles representing its power and earthenware potteries were discovered in the old tombs.
      Up to now, the Gaya ruins in Jangsu has been simply recognized as a output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Daegaya force and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excavated iron ruins are spreaded from Daegaya in one-way direction. But a necessity of a study is suggested, because the iron ruins to imply the relation with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part from Daegaya is unearthed. Thus, the study examine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is region and the neighboring nations by comparing the harness and the iron weapons discovered at the Gaya ancient tomb in Namwon and Jangsu with the articles unearthed in the neighboring regions such as Gaya, Baekje and Silla in terms of interconnection. In addition, the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of the iron article and ownership aspect according to hierarchy by examining the burial aspect of the harness and the iron weapons.
      The findings show that the iron ruins unearthed in Namwon seems to be connected with Baekje, SoGaya, Silla and Wae, people who made the iron ruins in Namwon accepted widely the iron culture from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made their own iron articles or spreaded their iron culture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Particularly, judging from the trace of the connection with Wae found in armors and iron points, the Gaya political group in Namwon is presumed to play a role in spreading the iron culture as one axis by capitalizing on their geo-graphical advantage. We cannot exactly understand the real state of Jangsu ruins owing to the insufficient iron ruins caused by tomb theft. However, it seems that influence from Daegaya toward Jangsu is stronger than Namwon. The iron articles to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not discovered in the region.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rare iron articles never discovered in other regions are excavated intensively in Namwon and Jangsu, at that time, Gaya in the region is assumed to possess a technology to be able to produce the various iron articles. The diverse iron articles discovered in the Gaya ancient tomb were then cutting-edge products that our ancestors left to u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se ruins serve as a important key in restoring the regional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상갑, "후기가야 실전용철촉의 소유양상에 대한 일고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2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3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Ⅲ" 1992

      4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Ⅱ" 1990

      5 이남규,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 방법론Ⅳ" 국립문화재연구소 5-22, 2008

      6 박천수, "출토유물로 본 삼국시대 南原지역의 정치적 向方,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111-121, 2014

      7 전상학,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43 : 35-66, 2013

      8 成正鏞, "중서부지역 3~5세기 철제무기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42 : 107-142, 2000

      9 조록주, "중부내륙지역 백제 철 생산 유적의 성격"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10 곽장근, "전북의 가야문화유산 현황과 과제, 가야문화권 연구조사 및 정비와 국가균형발전" 전북연구원 21-44, 2018

      1 장상갑, "후기가야 실전용철촉의 소유양상에 대한 일고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2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3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Ⅲ" 1992

      4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Ⅱ" 1990

      5 이남규, "한국매장문화재 조사연구 방법론Ⅳ" 국립문화재연구소 5-22, 2008

      6 박천수, "출토유물로 본 삼국시대 南原지역의 정치적 向方,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111-121, 2014

      7 전상학,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43 : 35-66, 2013

      8 成正鏞, "중서부지역 3~5세기 철제무기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42 : 107-142, 2000

      9 조록주, "중부내륙지역 백제 철 생산 유적의 성격"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10 곽장근, "전북의 가야문화유산 현황과 과제, 가야문화권 연구조사 및 정비와 국가균형발전" 전북연구원 21-44, 2018

      11 조명일, "전북가야의 봉수 운영과 역사성" 호남고고학회 197-213, 2017

      12 유영춘, "전북 동부지역 출토 철제무기의 전개양상과 의미 -남원·장수 삼국시대 분묘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57 : 38-75, 2017

      13 조인진, "전북 동부 지역 석곽묘 출토 토기 연구 : 장경호와 기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1

      14 전상학, "장수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역동성" 호남고고학회 57 : 26-37, 2017

      15 (재)전주문화유산연구원, "장수 동촌리 고분군–1호분-" 2015

      16 곽장근, "임나사현과 기문의 위치, 전남지역마한 소국과 백제" 백제학회 289-308, 2012

      17 유영춘, "운봉고원 출토 마구의 의미와 등장배경 - 轡, 蛇行狀鐵器, 鐙子를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51 : 86-121, 2015

      18 이현주, "우정의 고고학" 진인진 326-370, 2015

      19 우병철, "영남지방 3~6세기 철촉의 지역성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20 이상율, "삼국시대 호등의 출현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65) : 46-73, 2007

      21 류창환, "삼국시대 철제등자에 대한 일고찰" 釜山考古學硏究會 (창간) : 289-312, 2007

      22 곽장근,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183-232, 2008

      23 연합뉴스, "무령왕릉 판박이 유물보존처리(2009년 12월 2일 기사)"

      24 정낙현, "마한·백제 철촉의 변천과 기능향상" 한신대학교 2015

      25 전북대학교박물관, "두락리 -32호분-" 2015

      26 우병철, "대가야 철제무기의 특성과 확산, 대가야 문물의 생산과 유통" (재)영남문화재연구원 62-93, 2015

      27 곽장근, "남원의 고고학적 연구성과, 가야와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61-84, 2014

      28 양영주, "남원 월산리 고분군 –M4·M5·M6號墳-,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남원시·호남고고학회 5-25, 2014

      29 이영범, "남원 월산리 M5호분 출토 금속유물의 제작기법"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14 : 593-604, 2013

      30 조명일, "금강 상류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과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67-90, 2012

      3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고령지산동고분군-518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2016

      32 이희준, "고령양식 토기 출토 고분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15 : 89-114, 1994

      33 박천수, "가야토기 –가야의 역사와 문화-" 진인진 2010

      34 류창환, "가야마구의 연구" 서경문화사 2012

      35 김혁중, "가야고고학개론" 진인진 410-441, 2016

      36 영남문화재연구원, "高靈郡 池山洞 古墳群Ⅴ" 2006

      37 斗喆, "韓國 古代 馬具의 硏究"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0

      38 김성태, "韓半島東南部地域出土 鐵鏃의 硏究" 한국상고사학회 (10) : 151-185, 1992

      39 權度希, "百濟馬具의 硏究 -轡를 中心으로-" 韓國古代學會 19 : 245-293, 2006

      40 류창환, "百濟馬具에 대한 基礎的 硏究" 백제연구소 (40) : 171-201, 2004

      41 김낙중, "榮山江流域 古墳 出土 馬具 硏究" 한국상고사학회 69 (69): 103-125, 2010

      42 전북문화재연구원, "月山里 古墳群 -M4·M5·M6-" 2012

      43 이상율, "新羅ㆍ大加耶 新式板轡의 成立"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4) : 115-142, 2009

      44 禹炳喆, "新羅 및 加耶式 鐵鏃의 成立과 擴散" 한국고고학회 (58) : 66-109, 2006

      45 全羅北道南原郡, "斗洛里" 1989

      46 李漢祥, "威勢品으로 본 漢城百濟의 中央과 地方" 중부고고학회 4 : 33-53, 2005

      47 고령군, "大伽倻古墳發掘調査報告書 ; 44, 45號古墳" 1979

      48 尹容鎭, "大伽倻古墳 發掘調査 報告書" 高靈郡 1979

      49 圓光大學校, "南原, 月山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1983

      50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公州 水村里遺蹟" 2007

      51 柳昌煥, "伽耶古墳 出土 鐙子에 대한 硏究" 韓國考古學會 33 : 91-147, 1995

      52 김길식, "三國時代 철모의 變遷 : 百濟系 철모의 認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4 : 51-77, 1994

      53 우병철, "5~6世紀 韓半島 南部地域 出土 日本列島系 鐵鏃" (재)영남문화재연구원 211-225,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